아버지의 세계에서 쫓겨난 자들 - 장화홍련전 열네살에 다시보는 우리고전 2
고영 지음, 이윤엽 그림 / 북멘토(도서출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난 우리 고전이라면 꼭 다시 읽으려고 노력한다. 

이야기야 이미 알고 있지만 원문을 보거나 재 해석해서 풀어쓴 내용들이 궁금하기도 하다.

그리고 예전에 알고 있던 내용이 얼마나 바른가도 궁금하다.

 

옛 이야기 중 [장화 홍련전]은 내가 참 싫어하는 내용 중의 하나였다.

아무리 계모라 하지만 전처 소생의 자식들을 모함해서 살해한다는 것이 너무 끔찍했다.

그리고 배다른 동생이라고는 하나 그래도 친 동생인데 누나를 죽인다는 것도 싫었다.

어려서 읽었을때의 느낌이 너무 좋지 않았다.

그리고 최근에 영화에서 패러디해서 공포스릴러로 만들어서 더 무섭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다.

난 공포영화를 좋아하지 않아서 영화로 만들어진 [장화홍련]은 보지 않았다.

그 영화를 보지 않은 것은 공포영화라는 점도 크게 작용했지만 이미 전작의 내용이 싫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다.

 

이번에 읽게된 장화홍련전은 여러 면에서 고무적이었다. [

가재사실록]나 다른 여러 문헌에서 실화를 비교하며 어떻게 [장화홍련전]이 탄생하게 되었는지부터 사건을 해결하는 정동우,

즉 정동흘이라는 인물에 이르기 까지 잘 알려주고 있다.

특히 정약용이 흠흠심서에서 잘못된 판결의 예로 백필애,백필랑사건이 장화홍련과 많이 유사하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다. 

물론 이 사건에서는 [장화 홍련]과 는 다르게 백씨자매를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은 나쁜 계모가 아니라 친 오빠들이었고, 계모는 무고하게 희생된 것이었다.

그래서 [흠흠심서]도 읽어보고싶다는 야무진 욕심까지 생겼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이 그냥 장화홍련전의 재해석이 아니라 [아버지의 세께에서 쫓겨난 자들 - 장화홍련전]이라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의 저자도 말하고 있지만 장화와 홍련은 가부장의 권위가 절대적이었던 시대의 희생양이었다고 말이다.

아버지는 나는 몰랐다며 책임을 회피하고 두 딸을 지켜주지 않다.

이 이야기를 읽고 계속 답답했던 것은 장화 홍련의 억울함이 다 해소 되지 않았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작가의 말처럼 오늘날 한국 사회 또한 그녀들 못지않게 억울하기 때문인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