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슬링
이상권 지음 / 특별한서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려동물을 키워 본 사람이라면 동물이나 사람이나 똑같다고 생각하는 면이 많을 것이다. 개는 더욱 그렇다. 어린 시절 우리집에서도 강아지를 키웠다. 족보가 없는 잡종이었다.

우리집 8남매중 끝의 여섯번째가 애정을 쏟았다. 나보다 세살이 많은 오빠는 그 강아지를 정말 좋아했다. 지금은 강아지 이름이 메리였는지, 쫑이였는지도 생각나지 않는다. 지금처럼 사료를 먹이던 시절도 아니었다. 우리가 먹던 음식을 남겨서 개밥을 만들어 먹였던 것 같다. 개를 방안에 들일 생각도 절대 품어보지 않았고, 바깥에서 길렀다. 마당에 작은 개집을 만들어 주었던 건 기억난다.

그 개가 어느정도 자랐을때 이웃집 아저씨에게 팔려갔다. 젊잖기로 소문난 아버지가 그 개를 파셨는데 왜 팔았는지 잘 모르겠다. 이웃아저씨가 먼저 요청했던 것 같다. 약으로 쓰려고 한다고. 그 시절만해도 개를 식용으로 키우던 때였으니 당연히 그 개는 개소주가 되었거나 보신탕이 되었을 것이다.

초등학교 2학년 오빠가 엄청 울던 모습이 아직도 내 눈에 선하다. 나도 슬펐지만 오빠처럼 난리를 치지는 않았다. 그 뒤로 우리집에서는 애완 동물을 기르지 않았다.

[휘슬링]은 수채라는 소녀의 성장 이야기다. 수채네 집에 개를 처음 분양해온 건 초등학교 6학년 말이다. 중학생이 된 수채가 중1학년부터 고등학교때까지니까 딱 6년을 반려견 덤덤이와 함께 살면서 벌어진 이야기다. 수채네는 개를 기르기 위해서 서울 외곽의 주택으로 이사한다. 마침 도서관에 근무하는 아버지의 직장이 그곳으로 발령이 난것도 한 몫했다.

이사간 동네에는 개를 키우는 집이 많다. 수채네 집뒤에는 반려견 덤덤이와 산책할 수 있는 언덕이 있다. 수채는 덤덤이와 자주 산책을 하고 그 언덕에는 들개들이 있다. 수채는 그 곳에 사는 들개과도 친해지고, 나중에는 온 동네 개들과도 휘파람으로 교감을 한다.

중학생이 된 뒤 이사를 온 수채는 친구가 없다. 수채는 내성적이고 소심한 아이다. 적극적으로 다가가 친구를 사귀는 성격이 못되는데 수채에게 먼저 다가온 미주와 친해진다. 아무튼 친구들과 갈등이 생기고, 부모들의 개입으로 학교 생활이 힘들때 한결같이 수채를 위로해 주는 존개가 개들이었다.

[휘슬링]을 읽으면서 부모의 역할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 보았고, 어떤 면에서는 나름 뿌듯하기도 했다. 물론 때론 반성도 했다. 수채 부모도 수채를 보호하고 싶어서 실수도 하고 걱정도 많다.

수채엄마를 보면서 우리아이들이 사춘기를 보내던 때가 생각났다. 나도 수채 엄마와 별반 다르지 않은 부모였을 수도 있었지만 그러지 않았다. 아이들 의사를 존중하고 인격적으로 대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육아를 하면서 아이들이 어릴때부터 부모교육을 받은 덕인것 같다. 해마다 상,하반기 두차례의 부모교육을 받았다. 각종 책들도 엄청 읽었다. 이제 모두 성인이다. 아이들이 자기 인생을 나름 주도적으로 잘 살아내고 있는 것 같다.

아무튼 어른도 모르면 공부하는 수 밖에 없다.

부모도 모르면 상담하고, 공부하고, 교육받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