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고 싶지만 서울대는 가고 싶어
박일섭 지음 / 작가의집 / 2025년 3월
평점 :
[죽고 싶지만 서울대는 가고 싶어] 이 책을 읽게 된 까닭은 내가 이루지 못한 꿈을 이 사람은 어떻게 이루었나 궁금해서였다. 나는 어릴때 꽤 공부를 잘했다. 그렇지만 서울대는 너무 아득히 멀었다. 나름 서울대를 못간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죽고 싶지만 서울대는 가고 싶어]를 다 읽고 나니 단지 핑계에 불과했던 것 같다.
작가 박일섭씨는 매우 불우한 환경에서 자랐다. 아버지의 폭력을 견디다 못한 어머니는 집을 나가 버리고 할머니 손에 자란다. 그에게 할머니라도 있어서 정말 다행이었다. 방앗간 일을 하는 할머니는 혼자 동네 구멍가게의 오락기 앞에서 노는 손자가 안전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동전 몇개만 있으면 그곳에서 하루 종일이라도 놀아주니까 얼마나 다행이었을까? 어쩌면 부모의 섣부른 관심보다 적당한 무관심이 박일섭 작가가 일찍부터 스스로를 책임질 수 있었던 힘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자신의 미래는 오로지 자기가 책임져야하니까 앞날에 대해서 많이 생각했을 것이다.
그는 군대를 갔다와서 경북대 전자공학과에 복학하지않고 서울대 약학과를 가기 위해 다시 공부를 한다. 경북대도 엄청 좋은 대학이라서 그곳에 안주할 수도 있었을 텐데 다시 도전하는 용기가 정말 놀라웠다. 그리고 진짜 집중해서 공부하는 의지의 한국인이었다. 40점이던 수학점수를 90점으로 끌어 올리다니. 말이 쉽지 그 과정은 진짜 힘들었을 것이다. 하루 18시간씩 수학만 공부했다고 하지 않는가!
나도 박일섭 작가와 비슷한 방법으로 공부한다. 일단 강의를 열심히 듣고, 교과서를 통으로 읽는다. 그리고 개념이 서면 문제풀이를 한다. 이 방법은 단기간에 점수를 따야하는 경우엔 좋은 방법이 아니다. 그래서 학교다닐때 나는 벼락치기 공부는 하지 않았다. 적어도 시험 2주 전부터 했다.
몇년 전 국가고시 자격증 시험 때도 두달동안 그렇게 공부했다. 퇴근하면 저녁준비를 하면서 강의 동영상을 들었다. 이어폰을 귀에 꽂고, 폰을 주머니에 넣고 식사준비를 했다. 저녁을 먹고 나면 다시 계획한 만큼 교재를 보고 , 시험 일주일전부터는 기출 문제만 풀었다.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지만 합격했다. 그래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차곡차곡 알차게 준비했던게 주요했다고 생각한다.
박일섭 작가는 20대 초반, 죽을 만큼의 노력으로 오늘날 그가 되었다. 박일섭 작가가 엄청나게 경의롭다. 지금 마음으로는 박일섭 작가처럼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막상 해보면 잘 안 된다. 1년은 짧지 않다. 처음 한 두달을 마음 먹은대로 잘 실천지만 달이 지날수록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요즘 세상은 유혹도 많고, 재미있는 일도 얼마나 많은가!
어떤 목표를 가지고 뭔가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이 책을 읽고 큰 용기를 얻었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