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1 조선 천재 3부작 3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산 정약용의 이야기는 다양하게 읽어보았다. [다산 선생 지식 경영법]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1,2] [파란1,2]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등등.

그의 이름으로 저작된 책들은 어떤 형식의 글이든 묵직한 여운을 남겼다. 참으로 힘겹고 어려운 역경을 수없이 많은 저작으로 훌륭히 승화해낸 인물이 아닌가!

소설 형식으로 다산을 읽기는 처음이다.

이 소설에 작가의 상상이 얼마간은 들어갔겠지만 [다산1]은 그의 논피션이었다. 이미 알려졌던 내용그대로 다산 정약용이 정조의 총애와 노론의 견재 속에 벼슬살이를 해 나가는 과정들이다. 물론 그 벼슬살이가 결코 순탄하지 않았다. 워낙 반대 당파의 견재가 심했다. 때론 파직당하고, 때론 지방의 한직으로 밀려나기도 한다. 서학에 깊이 빠져들면서 환난을 자초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탁월함은 어떤 곳에서도 빛이 났다. '隨處作主 立處개皆眞'이라는 말이 있다. 내가 서 있는 곳의 주인이 되면 어느곳에, 어떤 환경에 있더라도 그곳이 진실 된 자리가 된다는 뜻이다.

다산은 학자이다보니 새로운 학문에 대한 열망도 대단했을 것이다. 그 시절 우리나라에 퍼지기 시작한 신학문인 서학에 천착하게 되면서 노론에게 공격의 빌미가 되기도 하고, 고난이 시작되기도 한다. 주위의 친한 벗들과 형제들이 먼저 받아들여 공부하고 믿으니 그냥 배척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도 천주교에 입교하였지만 정조의 뜻을 받아들이고, 살아남기위해 배교한다. 그의 형 정약종은 결국 천주교를 깊게 믿고 순교한다. 정조가 죽고 정약종 형제가 모두 잡혀갔을때 형제애가 그를 살렸다. 모든 죄는 정약종이 뒤집어 쓰고 형제들을 적극 옹호한다. 정약용과 정약전도 형제의 죄에 관해서는 서로 눈물만 흘린 뿐 국문하는 벼슬아치들에게 고변하지 않는다. 같이 잡혀간 이승훈 형제와는 아주 대조적이었다. 정약용과는 사돈이었던 이들 형제는 이승훈은 동생 이치훈을 고발하고 이치훈은 형 이승훈을 적극적으로 고발한다. 형제가 살아남으려고 서로에게 책임을 미루고 형제간의 죄를 밀고하기 바빴다. 결국 두 사람 다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게 된다.

[다산 1]은 정조가 죽고, 정약용이 귀양가게 되는 것에서 끝이난다.

이 소설을 쓰기 위해서 한승원 작가는 다산 정약용에 대해서 엄청나게 공부했을 것이다. 실존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쓰려니 세상에 알려져 대중이 잘 알고 있는 내용만으로는 쓸 수 없는 일이니까.

솔직히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인데도 무척 재미있었다.

[다산 2]도 매우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