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문해력] 을 살펴보면서 옛날 공부법을 생각해 보았다. 내가 초등학교를 다니던 시절, 1,2학년 국어 숙제는 거의 받아쓰기 위주였던 것 같다. 그리고 공부할 단원에 있는 교과서 내용 전체를 국어 공책에 똑같이 써오라고 하는 정도 였다. 3학년때는 잘 생각이 나지 않고 4학년때부터 비슷한말, 반댓말 찾기와 낱말 풀이를 해 갔던 기억이 난다. 나는 전과가 없었다. 그래서 주로 국어 사전을 찾아서 숙제를 했다. 그 시절 전과를 보고 숙제를 하는 건 성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내용을 요약하여 줄거리를 써가는 숙제도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그렇게 하는 게 엄청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줄거리를 써 가야하니 내용을 대충 읽어서는 안된다. 꼼꼼하게 읽어 보지 않을 수 없다. 내가 가장 어려워 했던 숙제가 줄거리를 써가는 것이었다.
하루 10분 [초등 문해력]의 내용은 옛날 내가 국어 숙제하던 방법을 떠오르게 했다. 그때처럼 낱말 뜻을 사전을 뒤져서 찾지는 않았지만 이 책에서 제시하는 공부법이 그때와 매우 흡사했다. 단어를 이루는 한자어를 먼저 익힌다. 그리고 그 한자어가 들어가는 단어를 여러개 보여준다. 그리고 단어의 뜻풀이 까지 알게 하는 내용이다.
예를 들자면 話를 눈으로 익히고, 話가 들어가는 여러 단어를 제시한다. 話법,대話,우話, 설話,신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