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쟁 - 세계 경제 패권을 향한, 최신 개정판
왕양 지음, 김태일 옮김 / 평단(평단문화사)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율전쟁]이라는 책을 보는 순간 [화폐전쟁]을 떠올렸다. 제목에 '전쟁'이라는 말이 붙어서그런가? 분명 작가도 다르고 제목도 다르다. 그런데 어차피 환율도 화폐없이는 이루어지지 않으니 비슷한 책이라고 느꼈나보다.

[화폐전쟁]을 매우 재미있게 읽었었다. 그래서 [환율전쟁]도 기대를 가지고 읽기 시작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환율전쟁]은 품격이 다른 책이었다. 한마디로 두 책을 비교하면 안되는 것이었다. [화폐전쟁]은 대중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재미를 추구한 측면이 매우 강한 반면 [환율전쟁]은 소장하고 싶은 책이었다.

이 책의 구성은 4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번째 장은 환율에 대한 개론이다. 화폐의 역할에서부터 특징, 즉 교환의 매개체,가치 측정의 기준,부의 축적, 유통성 등. 이종 화폐간 교환비율로서 거래가 잘 이루어 지도록 돕는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네가지 환율제도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하고 있다. 고정 환율제도, 자동환율제도, 연동환율제도, 관리 변동환율제도. 각 정부에서는 재정정책, 화폐정책, 무역정책을 펴서 환율을 조정한다고 설명한다. 이런 설명을 읽으면서 경제뉴스에서 들었던 내용들이 간간이 생각났고, 우리나라는 화폐정책이나 환율정책을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지, 서민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있는지 머리 속에 마구 떠올랐다.

2장은 환율의 역사에 관한 내용이었다. 솔직히 2장이 제일 쉽기도하고 재미도 있었다. 중국 역사의 흥망에도 환율의 역사가 깃든적이 있었다니 놀랍고 흥미로웠다. 세계사에서 환율로 막대한 부를 쟁취한 페르시아나 아라비아 상인이 있었다니 신기했다. 전반적으로 동서양의 흥망성쇠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어서 무척 좋았다.

3장 '환율전쟁 근현대사:아킬레스건'에서는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유럽의 강성했던 금본위제가 몰락하고 달러가 기축통화가 되는 과정. 경제사를 공부하면서 이미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재미있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라틴 아메리카의 몰락, 동아시아 금융위기등이 소개 되었는데 ,우리나라의 imf시절이 생각나서 가슴 아팠다.

4장에서는 미국의 환율 정책뿐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 정책에 대한 비난과 반성, 조언이 눈길을 끌었다. 아무래도 작가가 중국인이다보니 미국의 대 중국 정책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이며 미국이 부당하게 느껴질 것이다. 물론 미국이 기침하면 우리나라는 폐렴에 걸리는 정도이니, 나는 매우 작가의 생각에 동감이다.

[환율전쟁]이 많은 사람들에게 꾸준히 읽히고, 재판까지 한 이유를 알것 같다. 정말 재미있고, 유익했다. 국제정세까지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책이라서 세상돌아가는 이치를 알고 싶은 모든 분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