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에겐 12척의 배가 있나이다 - 상
최인 지음 / 글여울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소설을 읽기로 마음 먹은 이유는 한 시 때문이다. 이순신 장군이나 임진왜란을 다룬 소설, 영화는 차고 넘친다. 장군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는 내가 어릴때 보았던 [성웅 이순신]부터 끊이지 않고 계속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장군이 참전한 해전의 이름으로 영화가 만들어졌다. [명량]과 [한산]은 보았지만 [노량]은 보지 않았다.

소설은 [칼의 노래]와 [불명의 이순신]을 읽었다. 그리고 임진왜란을 다룬 소설로는 [7년 전쟁]을 읽었고, 징비록도 읽었다. 그러니 그 당시 조선에 무슨 일이 있었고, 이순신 장군의 고뇌가 어떠했는지를 모른다는 게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 [난중일기]를 읽지 않았다.

이번에 읽게 된 [신에겐 12척의 배가 있나이다(상)(하)]는 난중일기를 해석하듯이 쓴 소설이었다. 난중일기의 내용이 그대로 들어와 있기도 하고, 난중일기에 없는 내용들은 작가가 철저하게 고증해서 첨가하고, 글의 재미를 위해서 상상의 인물까지 만들어 소설의 재미를 더했다고 한다. 솔직히 말하면 [칼의 노래]와 [불멸의 이순신]을 읽은 입장에서 이 소설이 그 소설들보다 재미있다고 말할수는 없겠다. 그러나 나는 난중일기를 읽는 것 같아서 좋았다. 새롭게 느껴졌다.

이순신 장군은 武臣이면서도 文章이 출중했다. 한마디로 문무를 겸비한 장수였다. 모든 것이 한쪽만 뛰어나서는 최고가 될 수 없다. 바둑도 이론을 공부하지 않고 실전만 하는 사람은 어느 수준이 되면 늘지 않고, 실력이 정체된다. 한 단계를 뛰어 넘으려면 바둑 이론 공부를 해야한다. 사활이든, 행마든, 포석이든!

이순신 장군이 뛰어났던 것은 武도 뛰어났지만 늘 공부해서 文으로 탄탄히 내용을 굳혔던 것이다.

[신에겐 12척의 배가 있나이다]는 난중일기의 순서 대로 임진 왜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정유재란과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죽기까지의 이야기를 이끌고 있다. 그리고 그때 그때의 정취나 상황을 漢詩를 통해서 압축된 심리로 보여주기도 한다. 이 소설에 소개된 한 시 중에 절반은 최인 작가님이 직접 지었다고 한다. 작가님이 지은 한시를 내가 평가할 수는 없다. 평측이 맞는지도 모르겠고, 운자도 딱히 맞는 것 같지 않았다. 맞지 않는 시도 있었고, 맞는 것도 있었다. 한시에 사용된 한자가 생소하면 옥편을 찾아보기도 했다. 아예 모르면 그냥 넘어 갈 수도 있는데, 조금 안다고 모르는 걸 두고 그냥 넘겨지지가 않았다. 그래서 소설을 술술 읽지 못하고 공부하듯이 읽었다.

[신에겐 12척의 배가 있었다]는 이순신 장군을 재해석 한 소설이었다. 일기나 한시를 통해서 본 그의 심성이 잘 느껴졌다. 이순신 장군의 워낙 국민적인 영웅이다. 그래서 나는 오히려 가공의 인물이 첨가된 부분이 낯설고 어색했다. 공감이 잘 되지 않고 몰입을 방해했다. 그러나 한시는 꼼꼼히 읽었다. 여름방학때 시간을 내어서 소설 속 한시를 가지고 공부를 해 볼 생각이다. 평측이나 운자도 자세히 맞추어 보고 나라면 어떤 글자를 쓸지 고민해서 한시 교재로 사용하려고 한다.

[신에겐 12척의 배가 있나이다]를 읽었더니 난중 일기 원문을 찾아 읽어보고 싶어졌다. 한시와 함께 한자공부도 더 해야할 것 같다.

이 소설은 나에게 한시에 대한 새로운 도전 의지를 불러 일으켜준 소설이었다. 한시까지 넣어서 새롭게 이순신 장군을 해석해주신 최인 작가님께 정말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