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 - 미국 독립 전쟁부터 걸프전까지, 전쟁의 승패를 가른 과학적 사건들
박영욱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4년 2월
평점 :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는 정말 재미있는 책이었다. 요즘 책읽기 동아리에서 세계 전쟁사를 함께 읽고 있다. [몽유병자들]이다. 이 책은 전쟁이 일어난 배경이나 각국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는 전쟁이 일어났을때 사용된 무기가 어떤 이유로 어떤 과학적 발견에 의해서 만들어졌는지를 역사의 흐름과 함께 알려주고 있었다. 세계사와 인물과 과학적 발견을 함께 보니 정말 흥미진진했다.
책 표지 뒷면에 있는 "우연히 일어나는 전쟁은 없다" 이 말을 어디서 본 것 같다고 생각했다. 곰곰 생각하니 인도 수상을 지낸 네루가 [세계사 편력]에서 했던 말인 것 같다. 그는 세계 대전이 자본주의 국가들의 농간에 의해서 일어났다고 했다. 산업혁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엄청난 소비재들이 쏟아져나온다. 그 중에는 일반 소비재도 있었겠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살상무기도 산업혁명이후 쏟아져 나온 물건 중 하나라는 것이다. 대량생산된 많은 물건들은 미쳐 소비되지 못하고 재고로 쌓일 수 밖에 없었고, 그 물건들을 소비시키기 위해서 자본가들과 위정자들이 전쟁을 일으켰다는 말이다. 이 말은 일견 지나친 비약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일리가 전혀 없는 말은 아닌 것 같다. 한국 전쟁이 일어 났을때 누가 가장 덕을 보았을까? 어쩌면 한국 전쟁도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도 말하지 않는가. "우연히 일어나는 전쟁은 없다."고.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는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점점 강력해지는 무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제목을 [과학이 바꾼 전쟁이 역사]라고 하기보다. [전쟁 때문에 생산되고 강력해진 무기의 역사]라고 해야 맞는 것 같다.
[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에서는 18세기부터 오늘날까지의 과학이 발전하면서 함께 발전해온 무기들에 관해서 소개하고 있다. 미국 독립전쟁, 그림전쟁, 1,2차 세계대전과 그 후의 미,소 냉전시대를 거치면서 무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고, 그 역할을 과학이 담당했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과학자들이 발견해 낸 업적이 인류 발전에 크나큰 보탬이 되기도 했지만 그와함께 인류를 파괴하는 무기를 만드는 데도 사용 되어 왔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원자 핵폭탄, 수소폭탄.
특히 이 책이 재미있었던 것은 어느 과학자의 발견이 어떤 무기를 만드는데 사용되었는지 시대 순으로 소개해 준 것이다. 군대의 발전과정이나 무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소개된 일화들도 엄청 재미있었다. 특히 대량 살상무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정말 마음아프고 안타까웠다. 한 명의 개인의 힘으로는 절대 해 낼수 없는 일들이 국가와 대기업, 또는 대학에서 지원 받은 과학자들이 산학협동으로 자국의 강력한 군사력을 위해 똘똘 뭉쳐서 만들어낸 일들이었다.
지금은 항공우주 공학이 대량살상 무기인 핵폭탄이나 수소폭탄을 쏘아 올릴수 있는 로켓기술로 경쟁하고 있다. 북한이 ICBM을 쏘아 올릴때마다 우리군이 비상에 걸리는 이유도 여기 있는 것이다.
미국이 패권국가로서의 지위를 놓치지 않으려고 더 강력한 무기들을 계속 만들어 내는 현실이 무섭기도 하고 싫다. 중국도 등달아 더 강력해지려고 안간힘을 쓰니 우리나라만 죽어나늘 것이다.
미국의 연간 국방비가 어마어마하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 비용 중 RND 예산도 어마무시하다. 유럽이나 미국 뿐아니라 세계 각국은 연구개발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 지금 우리 정부는 오히려 RND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우리나라만 거꾸로 가는 것 같아서 정말 아쉽고 걱정된다.
강대국들끼리 군비축소니 핵폐기니 외치지만 아무도 실천하지 않는 공허한 소리일 뿐이다.
세계가 더 강력한 무기를 가지려고 안달을 내는 현실을 보면서 인류가 다같이 죽음의 길로 가고 있는 것 같아서 정말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