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디프, 바이 더 시 - 조이스 캐럴 오츠의 4가지 고딕 서스펜스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이은선 옮김 / 하빌리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 지 제목만 보아서는 도저히 짐작이 안 되었다. 책 소개 글에서 "탈출과 복수에 관한 4가지 가족 잔혹 극"이란다. 하지만 '카디프, 바이더 시' 어딘지 모르게 서정적이다. 시를 읽는 느낌. 작품을 읽다보면 알게 되겠지만 작가인 조이스 캐럴 오츠는 시에 대한 이해가 상당히 높다. 물론 문학과 철학에도 꽤 깊이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소설은 정말 소설일까?' 마치 실화를 담담히 기록해 놓은 것 같은데. 어떻게 이렇게 심리 묘사를 생생하게 했을까 싶을 정도였다. [카디프, 바이 더 시] [먀오 다오] [1972환영처럼][살아남은 아이] 모두 소제목은 그냥 평범한 이야기인 것 같이 느껴진다. 그러나 한편 한편 이야기 속에 담긴 내용이 너무 묵직하다. 가슴아프고, 끔찍하고 안타깝다. [카디프, 바이 더 시]와 [먀오 다오]를 읽은 후에 [환영처럼]을 읽기가 망설여졌다. 또 어떤 끔찍한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을까하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었다. 책장을 넘길수록 뒷이야기가 궁금하고 끝까지 읽고 난 뒤에는 허탈했다. [살아남은 아이]편은 제목부터 두려웠다. 물론 [살아남은 아이]에서는 대놓고 엄마가 동생과의 동반 자살에서 아이가 살아남았다고 까발리고 시작한다. 그래서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하고 '슬픈 이야기겠구나'하고 읽어나갔다.

모든 이야기를 다 읽고 나서 솔직한 심정은 아직도 여성은 남성들에게 억압받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 주위에는 소설 속 남자들보다 훨씬 인격적으로 괜찮은 사람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꽤 많은 남성들이 여성에게 억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고 보면 나는 참 복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친정아버지는 생전 어머니께 반말도 하지 않으셨던 분이고, 시아버님도 참 자상한 분이셨다. 내 가족 중에는 가부장적이거나 폭력적인 남성은 없는 것 같다.

우리 딸이 이 소설을 읽고나면 어떤 생각을 하게될까? 남성에 대한 편견을 갇게 되는 건 아닐까? 물론 나의 기우이기를 바란다. 30세에 가까운 딸이 어떻게 생각하든 거기까지 내가 관여할 수도 없고,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지도 않겠지만 말이다. 그래도 읽어보라고 권했다. 아주 좋은 작품이라고.

"네가 좋아하는 [브론드]의 작가가 새 책을 냈다. 단편이다. 가볍지 않은 주제이니 마음을 단단히 먹고 읽어라."

딸아이는 [브론드]를 쓴 작가라는 말에 호기심을 보였다.

이 작품을 통해 조이스 캐럴 오츠라는 정말 좋은 작가를 알게 된 것이 가장 큰 수확인 것 같다.

누군가는 조이스 캐럴 오츠를 에드거 앨런 포의 여성형이라고 했다. 나는 감히 애드거 앨런 포를 넘어서는 작가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