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급수한자 따라쓰기 7급 스스로 급수한자
컨텐츠연구소 수(秀) 기획 / 스쿨존에듀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단순 노동은 지루하다. 돈버는 일도 무한히 반복하면 힘들고 지친다. 공부도 그렇다. 공부를 해야한다는 걸 알지만 무한히 반복되는 지루함에 견디지 못하고 포기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 그래서 지겨운 반복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더해서 해 볼 수는 없을까 늘 고민한다.

한자 따라쓰기는 참 지겹다. 새로운 글자를 알게 되었다는 기쁨보다 따라쓰기를 무한 반복해야한다는 지겨움이 마음을 짓누른다.

나는 중학교에서 정식으로 한문을 배웠다. 물론 아버지에게서 배운 한문 빼고 교과목으로 배운 걸 말하는 것이다. 집에서 충분히 한문 공부를 한 나는 한문 시간이 너무 즐거웠다. 이미 다 알고 있는 쉬운 글자라 그냥 잘난체 하기에 딱 좋은 시간이었으니까. 그런데 친구들에게는 고역의 시간이었다고 했다. 한 자라도 틀리면 선생님이 빽빽이 숙제를 냈기 때문이다. 친구들이 빽빽이 숙제를 받은 날은 엄청 힘든 고문의 시간이었을 것 같다. 그렇게 연습장 한바닥을 빽빽하게 매워야하는 무한 반복의 시간은 아이들이 한자 공부를 싫어하게하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그래서 나는 한자수업시간에 틀린 아이에게 이런 숙제를 내지 않는다.

아무리 지루한 일도 함께하면 재미있게 할 수 있다. 한자를 따라 쓰는 것도 다르지 않다. 혼자 하게 하지 말고 같이 하는 것이다. 함께 하는 사람이 부모라면 더 좋을 것 같다.

서예에 문외한 이지만 서예 작품을 보면 글자가 풍기는 느낌이라는 게 있다. 나는 한자를 쓸때 글이 풍기는 느낌을 감상하면서 쓴다. 그러면 무한 반복하는 일이 즐겁다. 한자는 상형문자가 많다. 특히 낮은 급수의 한자일수록 더 그렇다. 그림을 그리듯 글자를 써서 감상하는 마음으로 읽으면서 또 쓰고, 그러다 보면 어느새 빈칸이 사라진다. 역시 손으로 써서 익힌 한자가 오래 기억되고 내것이 된다.

따라 써 보고, 단어 활용으로 실제 쓰임을 알아보면 한자 실력이 쑥쑥 자라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