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1 고양이 시리즈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간이 나왔다. [행성1][행성2]다. 제목을 보는 순간 '아, 이번엔 우주를 무대로 펼쳐지는 이야기겠구나' 하고 미루어 짐작했다. 그런데 막상 책을 펼쳐 드니, 상상과는 달리 우주가 아니라 지구라는 행성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였다. 단 인간 시점의 이야기가 아니라 고양이 시점으로 펼쳐진다. 

굳이 고양이 시점으로 이야기를 펼친 이유는 인류의 적이 '쥐' 가 되었기 때문이다.

지구에 사는 인간 종족들은 서로 죽고, 죽이기를 계속하다가 인류 멸망의 위기에 도달하게 된다. 인간이 서로 죽이게 되자, 온 세상이 인간 시체들로 넘쳐 난다. 그래서 온 세상의 쥐들의 천지가 되고, 한때 실험용 쥐였던 티무르는 실험실에서 특별한 메모리 칩을 몸에 심게 어 제3의 눈을 가지게 되었다. 영리한 쥐 티무르가 쥐들을 장악하게 된 것이다. 이제 세상은 쥐를 몰아 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쥐들의 천적이 누구인가? 바로 고양이다. 그러니 고양이가 주인공이 되어 세상을 구해야 마땅한 것이다. ESRAE라는 특별한 눈을 머리에 박은 인간보다 더 영리한 고양이 바스테트다.

유럽에서 쥐와 맞서서 싸우던 인간과 고양이,개, 등 애완동물 연합은 티무르가 이끄는 쥐들에게 패한다. 아메리카 대륙으로 향하는 희망호에 겨우 올라탄 특별한 고양이 바스테트 일행은 우여곡절과 모험을 하고 맨해튼에 도착한다. 그러나 뉴욕시도 이미 쥐들에게 점령 당해, 그곳도 안전하지 않다.  고양이 바스테트는 인류를 구하려 뉴욕의 대장쥐를 잡는 특공 작전을 펼치고... 


[행성1]에선 작전이 완전 성공하지 못하고 폴이라는 위기를 자초하기 까지 한다. 폴이 과연 [행성2]에서는 아군으로 돌아올지, 적군이 되어 있을지 여지를 남기고 [행성1]이 끝난다.

[행성1]은 여러 위기를 야기하고, 조금 성공하는 듯하다가 실패하기를 거듭하면서 이야기가 잔잔하게 재미있다. 하지만 고양이의 눈으로 보기는 하지만 너무 인간화 되어버려서 인간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어도 무리가 없었을 것 같다. 베르베르의앞선 작품들이 보여주었던 상상력에는 좀 미치지 못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많았다.  차라리 완전 동물의 감각이나 생태를 그대로 살려서 이야기를 이끌었으면 더 재미있었을 것 같다. 

그래도 [행성2]가 어떻게 전개 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