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한 사람이 책을 보다가 반도 못 보고는 땅에 던지며 말했다.
"책만 덮으면 바로 잊어버리는데, 본들 무슨 소용인가?"
현곡 조위한이 말했다.
"사람이 밥을 먹어도 뱃속에 계속 머물려 둘 수는 없다네. 하지만 정채로운 기운은 또한 능히 신체를 윤택하게 하지 않는가.
책을 읽어 비록 잊는다 해도 절도 진보하는 보람이 있을 것일세" 말을 잘 했다고 할 만하다.
이익 <성호사설> 중 - 조현곡(趙玄谷) - 에서
밥을 먹으면 입을 거쳐 위장과 대장을 지나는 동안 영양분은 몸으로 스며들고 찌꺼기는 대변으로 배출된다.
책을 읽으면 눈과 입을 통해 머리와 가슴을 거치는 동안 그 의미를 곱씹고 되새긴다. 나머지는 기억의 창고에서 흔적도 없이 지워진다.(...중략...)
육신의 기름기만 생각하고 영혼의 허기는 돌아보지 않는다.
배고프면 아무데나 주둥이를 들이미는것은 짐승도 다 그렇다. - 본문 41~42쪽
"책만 덮으면 까먹는 데 뭐하러 읽나?" 라는 말을
"돌아서면 배고픈데 밥은 왜 먹냐"라는 말로 비유한 글입니다.
밥을 먹으면 영양분은 몸으로 스며들고 찌꺼기가 대변으로 배출되듯이
책을 읽으면 곱씹은 뜻은 머리와 가슴에, 나머지는 기억에서 잊혀집니다.
제대로 먹지 못하면 몰골이 초라해지는 데 반해, 책은 읽지 않아도 겉으로 드러나는 게 없습니다.그래서 사람들은 읽지 않습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뭔가를 "보여주는"세상에는 더욱 더 그러하지요.
독서는 학창시절의 공부와 많이 다릅니다.
순수한 몰입입니다. 정민 작가는 무엇을 위한 독서가 될 때, 목적을 전제로 하는 독서로는 거둘 것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 독서는 입만 열면 현하(懸河)의 열변을 토해내도, 산지식이 아니라 죽은 지식이고 내 가슴속에 아로새겨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삶을 변화시키지 못한다고 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학습능력이 좋은 사람들이 얼마나 그 무기를 엉뚱한데 썼는가를 돌이켜 보면
학습능력과 인성이니 덕성은 반대로 가기 일쑤지요.
책을 읽는 이유에 대해 고금의 작가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의견을 내놓습니다.
몇 가지의 이유로 압축되지요.
그런데요.
여러가지 이유 중에 전 솔직히 "순수한 몰입에의 쾌감"보다 더 큰 이유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앞으로도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아마도 공감하시는 분도 아닌 분도 계실껍니다.
마치 영양가 있고 맛있는 음식이 입안으로 들어오면 쾌감을 느끼고 서서히 배가 부르듯이,
깊고 중후한, 아주 논리적이고 흡입력 있는, 때론 경쾌하고 산뜻한 문장들을 만나면 짜릿한 쾌감을 느끼고 뿌듯해집니다.
그 문장이 내가 당장 써 먹을 수 있는 실용적 지식이 아니더라도 뭔가 충만한 느낌을 얻지요.
이처럼 성호 이익선생이 말씀하신 "영혼의 허기"는 목적이 없는 순수한 몰입의 독서로만 채울 수 있을 것 같네요.
아래는 김정운 교수의 책 <에디톨로지>를 읽다가 정민 교수 이야기가 나오는 대목을 발췌했습니다.
"나는 요즘 한양대 국문과의 정민 교수가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다. 신문에 연재하는 내용이나 출간하는 책을 보면, 참 고수다. 틀에 박힌공자, 맹자 이야기가 아니다. 내 연배에서 그 정도 수준을 유지하는 이는 드물다. 그에 비하면 내 성과물은 참 우울하다. 그다지 겸손할 이유가 없는 나지만 그의 저작물을 보면 기가 많이 죽는다. 그에게는 동양고전이라는 해석의 근거가 무한하다. 고전을 다룰 줄 아는 이는 기본적으로 한 자락 깔고 들어가는 거다."
- 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