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글쟁이들 - 대한민국 대표 작가 18인의 ‘나만의 집필 세계’
구본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정민(국문학, 한시), 이주헌(미술), 이덕일(역사), 한비야(기행), 김용옥(동양철학, 종교), 구본형(경영혁신), 이원복(교양만화), 공병호(자기계발), 이인식(과학), 주강현(민속), 김세영(만화작가), 임석재(건축), 노성두(미술), 정재승(과학), 조용헌(동양학), 허균(전통문화), 주경철(서양사), 표정훈(출판)
[한국의 글쟁이들]에 소개된 우리 시대의 글쟁이들과 그들의 전문분야이다.
아마 우리나라에서 독서좀 한다는 사람이라면 이들 가운데 최소한 한 명의 책은 거쳐갔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과장은 아닐 것 같다.
(간단히 말해서 이원복 교수의 [먼나라 이웃나라]를 생각해 보라)
따라서 이들의 책은 해당 분야에서 최소한 한 권 이상 베스트셀러의 목록에 올랐고, 또한 해당 분야의 스테디셀러로서 오래 남은 책을 쓴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어떻게 이들은 이렇게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글쟁이가 되었을까?
나는 무엇보다 이들이 ‘주변’에서 시작하였으되, ‘주류’가 가지지 못한 강점을 찾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주류’가 찾지 못한 강점이란.. 바로 자신의 전문 분야와 일반 대중들 사이를 대중의 눈높이에서, 대중의 언어를 가지고 연결해 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즉,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글을 썼다는 점인데, 이것은 결국 누구보다 열심히 많은 공부를 한 이들임에도 ‘뻐기는 글’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 소개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분야의 소위 ‘주류’에 있는 학자들로부터 가볍고 통속적이며 학문적 전문성이 없는 글을 쓴다는 비난을 들었던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그들의 책이 독자들의 호응을 얻고,
이들의 이름값만으로도 수많은 독자들이 책을 구입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오겠는가?
독자들로 하여금 ‘참 많이 공부한 사람이다. 그런데 그런 전문가란 사람이 나와 똑같이 느끼고 생각하고, 내가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하는구나!’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들이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글쟁이가 된 또 하나의 중요한 원인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에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저술가의 전문성은 두 가지 지점에서 나온다고 생각하는데,
그건 바로 그 분야에 대한 현장성과 자료조사의 철저성이다.
책상머리에서의 공론은 대중들의 마음을 흔들지 못한다.
이주헌의 미술관 기행이 공감을 얻은 것은 어린 두 자녀를 데리고 실제로 여행을 다니면서 기록한 것이기 때문이며,
이원복의 [먼나라 이웃나라]는 그의 실제 유럽생활에서 나온 것이다.
한비야의 책이 가지는 생명력은 두 말할 여지없이 현상성에서 나온다.
전문성의 두 번째 지점은 철저한 자료조사에 있다고 생각된다.
발품을 팔아 문헌을 얻든, 인터넷을 뒤지든, 사람취재를 하든 이들은 원하는 글을 쓰기 위하여 자신이 스스로 납득할만한 자료를 구한다.
이런 측면에서 거의 대부분의 저술가들은 메모광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 같다.
그들은 순간순간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고, 어떤 형태로든 기록으로 남긴다.
그리고 그 메모 속에서 생각이 싹을 틔우고 나면 그것을 ‘발효’시켜 책을 쓰는 작업에 들어간다.
이 ‘발효’시키는 과정이 바로 자료찾기이며, 발효가 제대로 된 음식에서 맛있는 음식냄새가 나오듯 책에서도 독자들을 끄는 향이 나게 된다.
물론 논란의 여지는 있다.
대중성에 치우친 글쓰기는 자칫 객관성이 훼손되고 선정적이고 대중영합적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으며,
과연 이렇게 ‘떠먹여 주는’ 글쓰기와 독서가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논란도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전문적인 학술서도 분명히 필요하지만, 그 전문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여 대중적 지평을 넓히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자신의 책상에만 갇혀서 학문적 엄숙함과 정통성만을 강조하고, 그렇지 못한 ‘재야’의 목소리는 무시하고 따돌리는 우리 학계의 잘못된 인습이 현재의 인문학의 위기를 불러온 것은 아닌가.
떠들썩하게 말해지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란 결국 ‘인문학 교수들의 위기’라는 저자의 쓴소리는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겠다.
또한 정재승 교수가 말한 새로운 인재상과 독서법에 대해서도 인문학자들은 진지하게 성찰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래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결국 한 우물만 파는 게 아니라 우물을 두세 곳 파고,
그 우물 사이에 지류를 내는 사람일 겁니다.
그런 사람이 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책읽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의 지식풍토가 ‘전문가’에 대한 맹신을 강조하고,
그들의 권위에서 나오는 주장에 절대성을 부여해 온 것이 사실이었다.
이제 전문가의 권위는 진실을 왜곡하지 않는 한 어느 정도는 해체하고,
새로운 학문분야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외연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는가하는 생각이 든다.
[한국의 글쟁이들]은 우리 사회 곳곳에 숨은 글쟁이들이 제공하고 있는 발전의 단초를 생각해 볼 기회를 주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