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쉬는 항아리 - 솔거나라 전통문화 그림책 6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2
정병락 글, 박완숙 그림 / 보림 / 1995년 1월
평점 :
절판


'숨쉬는 항아리' 제목에서 느껴지는 것부터 자연의 맛이 느껴진다. 요즘 우리 어린이들은 주변에 널린 플라스틱, 스텐레스 통, 이런 것들만 보고 자라는 데 흙으로 빚은 우리 진짜 항아리에 관한 이야기라 어린이들에게 많이 읽히고 느끼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늘 새롭고 기계적이고 서구적인 것들만 좋은 것처럼 비춰지는 요즘. 우리 땅에서 난 우리 흙으로 빚은 항아리가 어떤 것인 지 안다는 것은 우리를 잘 알게 되는 것이다. 특히나 자연에서 시작하여 자연으로 되돌리는 우리 문화가 얼마나 위대한 지 알게 해준다.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우리 문화를 말이다.

책 내용을 살펴 보면 좋은 진흙을 구해서 밟고 치고 다듬어서 만드는 항아리. 비록 겉모습은 그럴듯하지 않아서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없을 지 모르지만 그 쓰임새는 다른 어떤 대체용품 보다 뛰어난 것임을 알게 해준다. 요즘 한참 뜨고 있는 드라마에서 우리 고유의 발효 음식을 담는 항아리가 어떤 기능을 하는 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책 제목이 '숨쉬는 항아리'라고 하니 무척이나 신기해 하고 궁금해 했다. 더구나 책을 읽으면서 흙을 떠오는 모습을 연결하여 두겹으로 만든 것이나, 항아리를 구울 때 어떻게 하는 지를 보여 주기 위해 뚜껑을 덮어 상상력과 확인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다 이용한 것. 모든 것들이 정말 정성껏 마음을 기울여 만든 책임을 알 수 있었다.

무미건조하게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들춰보면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세심하고 배려한 이 책이 참 좋다. 어른인 나도 그렇지만 듣는 조카도 너무 좋아해서 요즘은 잠자리에서 꼭! 한번씩은 읽어 준다. 지난 번에 구입해서 읽은 '아무도 모를거야, 내가 누군지' 에서도 책의 맨 뒷면에 종이 탈을 만들어 붙여 놔서 아이를 책 속으로 푸~욱 빠져 들게 만들었었는 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조금 아쉬움을 적자면 생략된 부분으로 잿물에 입히는 거나 그림을 넣는 부분을 조금만 더 자세히 넣었더라면 정말 좋았을텐데 하는 마음이 든다. 어쨌거나 우리 문화와 전통을 아이들에게 쉽게 전달하고 자긍심을 갖게 하여 세계인으로 키우는 데 훌륭한 밑거름이 되리라 믿으며 다른 책도 관심있게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챙김
수완 스님 지음 / 북하우스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흠! 첫번째 리뷰라... 맨 처음 리뷰를 쓸 때만 해도 첫번째에 대한 두려움이 없었는 데 이제 거의 90편 정도를 쓰다 보니 조심스러운 마음이 생긴다. 뭐 내가 쓴 리뷰를 보고 가부를 정하진 안겠지만 혹여라도 하는 생각에서 마음을 가다듬게 된다.

'마음 챙김' 순전히 우리 말인데 그 뜻은 참으로 깊고도 넓다. 마음을 늘 챙긴다는 것은 기독교적 표현을 쓰면 늘 깨어 있으라고 한 예수님 말씀과 동일한 뜻이라고 생각한다. 늘 자신을 챙겨서 자아를, 본성을 찾으라는 말씀. 단순한 이야기이고 생각하기에 따라 못 할 것도 없지 싶은 데 왜 그것이 그리도 어려운 지...

이 책에서 지은이는 이러한 어려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가면서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우린 일상에서 본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가 출가 전 평범한 일상인으로 사시던 분이라서 그런 지는 몰라도 우리 일상 속에 살아 숨쉬는 마음 챙김을 일러 주신다. 스스로 실수 하신 경험을 들어서 같은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도록 알려 주시는 것이라든가, 고거를 되짚어서 예를 들어 일상 속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일러 주시는 데 무조건 어렵게만 생각되는 것을 어떻게 하면 되는 지 그 방법을 알려 준다. 앉은 자리가 기도처라고 하는 그 말뜻을 절감하게 해 준다.

종교적인 색체를 떠나서 현대 우리 속에 필요한 자아 찾기가 아닌가 싶다. 너무나 복잡하고 이해에 얽혀 있어 앞만 보고 무조건적으로 달려 가는 우리들에게 옆도 보고, 뒤도 돌아 보면서 내가 지금 어디쯤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 지 알 수 있는 방법을 우리 생활 속에서 느낄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우리 삶을 아름답고 넉넉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책이다.

성경이 종교에 관련 없이 읽어도 좋은 책인 것처럼 이 책도 누구나 다 읽어도 좋은 책이라고 생각된다. 늘 생활하는 속에서 스스로를 다스리고 본연의 모습을 찾는 일을 누구나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색의 유혹 1 - 재미있는 열세 가지 색깔 이야기
에바 헬러 지음, 이영희 옮김, 문은배 감수 / 예담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색! 과거에는 물론 현재에 굉장히 중요한 문화이다. 가장 쉽게 생각해서 광고 속 색감들.
사람들에게 튀면서도 호감을 얻는 색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생각들을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을 좋아해서 좋은 책은 꼭! 사서 보는 경향이 있는 난 질감과 색감, 디자인이 좋은 책을 보면 기분도 좋아질뿐만 아니라 그 책이 더 좋게 느껴지기도 한다. 우리를 둘러 싼 환경에서 색을 빼고는 이제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색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럴 때 색에 관한 이야기라고 해서 읽게 되었다.

제목은 <색의 유혹>이라 하는 데 글쎄 유혹이라... 색이 만들어진 경위라든가 시대별로 색에 대한 사람들의 호감 정도라든가, 같은 노랑, 빨강, 하양 등이 나라와 시대에 따라 얼마나 다르게 작용하는 지 잘 보여주고 있다. 설문을 통한 자료를 근거로 만들어진 책인데 지은이가 지은이라서인지 한 방향으로 몰린 듯한 느낌도 없지 않다.

새롭게 알게 된 사실 하나는 우리 고정관념상 빨강은 여자색으로 알고 있고 기실 어린이들도 빨강은 여자색이라고 하는 데 원래(?)는 남자색이었다는 것이 특이했다. 또한 색이 사람 이름으로 쓰였는 지도 처음 알게 된 사실 중 하나이다.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색이 시대와 동서양에 따라 얼마나 다르게 쓰여지고 표현되는 지, 과거에 화가들이 색을 쓰는 데 얼마나 고심을 했는 지, 염색하는 데 엄청난 비용이 들었다는 얘기 등. 어찌 생각하면 역사를 공부하는 듯한 느낌도 든다. 쉽게 술술 읽히는 책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좀더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은 책을 읽을 때 조금씩 정리하면 색에 관한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팜므 파탈 - 치명적 유혹, 매혹당한 영혼들
이명옥 지음 / 다빈치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팜므 파탈이란 게걸스럽게 색을 탐하는 여성이나 냉혹하고 잔인한 요부, 흡혈귀처럼 남성의 정액과 피를 빨아 생명을 이어가는 사악한 여자를 의미한다고 한다.

후~ 무거운 제목이다. 특히 여자들한테는 헌데 책을 읽어 보면 참으로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팜므 파탈은 여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 대부분은 상대가 되는 남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물론 같은 상황에서 그녀들 같은 행태를 보일 지는 잘 모르지만 여러 상황이나 남성 위주 사회에서 그녀들은 대부분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같은 여자를 놓고도 남성의 시선에 따라 성녀같은 모습이나 귀부인 같은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아주 몹쓸(?)인간형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시대나 조류를 떠나서 인간사를 살펴 보면 늘 존재하는 모습인 듯 싶다. 과거의 여인들은 남성 시작에 의해 이렇게도 저렇게도 그려졌는 데 현대의 여인들은 어떤 지.... 여기서는 서양화를 위주로 살폈기에 동양의 양귀비 같은 여인이 등장하지 않는다. 동양에도 만만치 않은 인물들이 존재했을텐데 그림으로라도 볼 수 있을런지...

어쨌든 그녀들은 정말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가 내게로 왔다 1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시가 내게로 왔다 1
김용택 지음 / 마음산책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시는 잘 모른다. 가끔 아주 맘에 드는 시를 발견하는 일이외엔 시에 대해 그다지 아는 게 없다. 쉽게 구입해서 읽지도 않으니 더욱더 그렇다. 더구나 요즘 처럼 많은 시집들 속에서 정말 마음에 드는 시집을 골라서 사는 일이 쉽지 않다. 그렇다고 이름난 시인의 시집만 사서 읽는 건 편식(?)을 하는 거 같아서 조금은 꺼리게 되기도 한다. 때문에 시집을 사서 그 중에 마음에 쏘옥드는 시가 한 두편 정도만 있어도 성공한 경우라고 생각하는 데 이 책은 일단 여러 시인들의 시가 골고루 들어 있어서 좋다. 각기 다른 색깔의 시를 접할 수 있기에. 더구나 이 시를 채록해서 책을 만든 사람의 적절한 코멘트도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이 책에서 제일 마음에 와 닿았던 시는 정현종 시인의 '나무에 깃들여' 이다.

나무에 깃들여 - 정현종

나무들은
난 대로가 그냥 집 한 채.
새들이나 벌레들만이 거기
깃들인다고 사람들은 생각하면서
까맣게 모른다 자기들이 실은
얼마나 나무에 깃들여 사는지를!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이 시를 알게 된 것은 큰 수확이다. 때문에 난 시집 선택에서 성공한 것이다. ^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