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량위기 대한민국 - 유엔 기후변화 전문가가 들려주는 기후파국의 서막
남재작 지음 / 웨일북 / 2022년 6월
평점 :
지은이가 이 책을 쓴 이유는 기후 변화 시대에 더욱 중요해진 우리나라 식량 시스템의 한계와 도전 과제를 살펴보고 우리의 식탁이 의존하고 있는 세계 식량 공급망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서 라고 한다. 책을 읽고 나니 왜 지은이가 그리 말한 이유를 알 것 같다.
난 우리 나라가 쌀이 남아 돈다고는 하는 데 농업인들의 평균 연령이 높고 청년 농부라 불리는 분들은 쌀농사가 아닌 다른 수익률이 높은 작물들을 재배하는 것 같아서 어떻게 될려나 생각했는데...
단순히 그것만이 문제가 아니라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 우리가 사는 데 문제점을 느끼지 못하여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알기 쉽게 쓰여져 있어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먹을거리에 대하여 여러 방면으로 생각할 거리가 생겼다.
많은 사람들이 읽어 보고 생산부터 소비 이후까지 전체 과정을 잘 생각해 봤으면 싶다.
“기후 위기는 유한한 지구에서 무한한 물적 성장을 하려고 할 때 일어난다.”
“기후 위기는 먼 미래에 닥쳐올 내일의 위협이 아니라 오늘 실재하는 위협이다.”
“육지와 해양은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의 56퍼센트만 흡수했고, 이 비율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인간은 자연이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거의 2배를 배출하고 있다.”
“토양은 1센티미터가 형성되는 데 대략 200년이 걸린다<총균쇠>”
“토양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4F(식량 food, 사료 feed, 섬유질 fiber, 연료 fuel)을 생산하는 기반이다.”
“인류 생존에 기본이 되는 농경 활동 자체가 기후에 영향을 줄 만큼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산업으로 바뀌었다.”
“환경오염과 생물 다양성 감소라는 대가를 치르면서 식량 생산은 꾸준히 늘어났고, 따라서 인구도 늘어났다. 인구가 늘어나니 더 많은 식량이 필요했다.”
“화력발전소와 달리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넓은 면적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간헐성‘이라는 문제를 극복해야만 한다.”
“에너지가 변한다는 것은 모든 것이 변함을 의미한다. 우리 삶을 지탱하던 경제 시스템이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의 흥망성쇠와 일자리가 모두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무로 집을 지으면 그 목재는 집을 다시 지을 때까지 탄소를 보유하게 된다. 우리가 목재를 더 잘 활용할수록 숲은 화재로부터 더 안전해지고, 기후변화도 되돌릴 수 있다.”
“지구 평균기온이 1도 올라갈 때마다 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은 3~7퍼센트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규모 단일 재배가 늘어날수록 병해충의 공격에 취약해지고 농약의 사용량도 따라서 늘어난다. 수질오염과 농약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생물의 종 다양성은 떨어진다.”
“식품 폐기에는 두 가지 개념을 함께 포함한다. 식량 손실(food loss)과 음식물 쓰레기이다. 여기서 식량 손실은 농장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과정에서 손실되는 식품과 농산물을 말한다.”
“식량 손실과 폐기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애초에 만들지 않는 것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증가한 지금은 1초에 원자폭탄이 3~6개 터지는 것과 같은 에너지가 지구에 축적되고 있다.”
“지구 환경의 수용량은 유한하고 자연의 회복력을 초과한 성장은 파국을 맞이할 수 밖에 없다.”
“최소한의 생물 다양성이 인류의 생존을 위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