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2031
˝다시 일어설 자신만 있다면, 한 번쯤 자신의 모든 것을 걸어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거라고 생각하오. ..…하지만 돈이야 문제될 게 없다고 쳐도, 그보다 더한 마음의 고통이 따를 수도 있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일 것이오.˝
에밀 졸라의 ‘루공 마카르‘ 총서 열한번째 작품인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은 그의 총서 중 유일한 해피엔딩 작품이라고 한다. 그런데 과연 해피엔딩이었을까?
주인공인 ˝드니즈˝는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아무 재산도 없이 남동생 둘을 데리고 무작정 파리로 상경한다. 그리고 일년전에 자신들을 챙겨주겠다는 큰아버지의 약속을 믿고 아무 연락도 없이 무작정 찾아간다.
하지만 장사꾼인 큰아버지의 집은 ˝드니즈˝ 가족을 받아줄 정도의 경제적 여력이 없었다. 큰아버지의 집은 바로 옆에 생긴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으로 인해 서서히 몰락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동네의 모든 가게의 이익을 흡수하는 백화점에 대해 큰 반감을 가진다.
하지만 동생들을 먹여 살려야 하는 ˝드니즈˝는 큰아버지의 반감에도 불구하고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에 취직한다. 하지만 시골에서 올라온데다 돈도 없었던 ˝드니즈˝는 낡은 신발 한켤레만 있었고, 꾸미지 못한 그녀의 외모 때문에 다른 직원들의 멸시를 받는다. 하지만 강직하고 의지가 강했던 그녀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끝가지 버틴다.
[내 말 잘 들어라, 얘야. 난 이 물병과 같아. 여기서 절대 움직이지 않을 거라고, 그들이 성공하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엔 파멸을 자초하게 될 거야! 그러니까 난 끝까지 버틸거야, 아무리 힘들어도!] 1권 P.356
이런 그녀를 남다른 눈길로 지켜보던 이가 있었으니 그는 백화점 사장인 ˝무레˝였다. 처음에는 연민이었는지도 모른다. 촌스럽고 가진것도 없었던 그녀에게 측은지심을 느낀 그는 그녀를 도와주고 싶어한다. 그리고 점점 그녀가 눈에 가득 들어온다.
[무레는 그녀를 어린아이처럼 다루고 있었다. 불쌍하고 서툴기 짝이 없는 한 여자아이에게서 어렴풋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여성적인 매력에 이끌리면서도 호감보다는 동정심에 더 가까운 감정으로 그녀를 대했다.] 1권 P.207
그동안 자신의 부와 지위를 바탕으로 많은 여자들과 놀아났던 그는, ˝드니즈˝ 역시 자신에게 넘어올 거라 자신하고 그녀에게 접근한다. 하지만 그녀는 그의 유혹에 굴하지 않고 그를 밀어낸다. 마음속으로는 그에 대한 연모의 감정이 있긴 했지만, 방탕하고 돈으로 매수하려는 그에게 반감을 갖는다.
[이제 무레는 제정신이 아니었다. 그의 유혹에 넘어오지 않은 여자는 그녀가 처음이었다. 그동안 그는 몸을 숙여 여자를 줍기만 하면 되었다. 주변의 모든 여자들이 순종적인 하녀처럼 그의 입에서 나오는 변덕스러운 말 한마디를 기다렸던 것이다. 그런데 이 여자는 그럴 듯한 핑계조차 대지 않으면서 단번에 그를 거절했다. 오랫동안 억눌렸던 그의 욕망은 그녀의 저항에 더욱더 자극받아 이젠 달아오를 대로 달아올라 있었다.] 2권 P.112
그토록 자신만만했던 ˝무레˝는 예상치 못한 그녀의 태도에 당황한다. 아무것도 가진것 없어 보이는 그녀가 자신을 거부하다니 말이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이란게 신기한게 그렇게 별볼일 없어 보이는 사람이라도 자신을 거부하니 오히려 더 관심이 가게 된다. 그리고 그는 자심으로 그녀에게 빠지게 된다. 그동안의 방탕했고 오만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그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그는 변하게 된다. 과연 그는 그녀와의 사랑을 이루게 될까?
[그녀는 무레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으며, 그녀가 지닌 강력한 힘은 그 사실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그 누구도 의심치 않았다. 그리고 그때부터 그녀는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의 유명 인사가 되었다.] 2권 P.209
여기까지만 보면 분명 해피엔딩 분위기이다. 하지만 ˝드니즈˝와 ˝무레˝를 제외한 백화점 주위의 소상공인들 삶은 그렇지 않게 그려진다. 그들은 백화점이란 자본 앞에서 파산하고, 가족을 잃고, 사랑을 잃고, 심지어 자살시도까지 하게 된다. 에밀 졸라는 ˝드니즈˝의 성공하는 삶과 대비되는 비참한 소상공인들의 삶을 함께 보여주면서 독자에게 삶의 명암을 암시하고 있다.
[그랬다, 저 백화점은 그들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갔다. 아비에게서는 재산을, 어미에게서는 자식을, 그리고 딸한테서는 10년 전부터 기다렸던 남편감을 앗아 갔던 것이다.] 1권 P.389
사실 개인적으로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 >이야기 자체는 재미있었지만, 2권 부터는 그렇게 흥미롭게 읽히지는 않았다.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모든 사람의 사랑과 존경을 받게 되는 ˝드니즈˝의 신데렐라 스토리는 비현실적으로 느껴졌고, 이름처럼 무례한 ˝무레˝의 갑작스러운 사랑꾼으로의 변화는 쉽게 납득이 안되었다.
그럼에도 에밀 졸라가 그리는 여인들의 돈과 욕망을 잡아먹는 ‘백화점‘의 실체에 대한 묘사는 감탄할만 했고, 소상공인들이 어떻게 자본 앞에서 무너지게 되는지에 대한 과정 묘사는 너무 사실적이었다. 주인공들의 사랑이야기 보다는 주변인들의 비극에 더 흥미를 가져서인지 결말이 다소 아쉬웠다. 역시 난 해피엔딩 보다는 새드엔딩이 맞나보다.
그리고 선입견이 무서운게 그래도 난 ˝에밀 졸라˝니까 결말 부분에 당연히 뭔가 큰 폭탄이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그런게 안나와서 약간 당황했다. 역시 선입견은 좋은게 아니다. ˝에밀 졸라˝의 색다른 작품을 느껴보고 싶은 분들께는 이 책을 추천한다. 이야기 자체는 재미있었다.
Ps 1. 루공 마카르 총서 열번째 작품인 <집구석들>과 열한번째 작품인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의 이야기가 연결된다고 하니, <집구석들>을 먼저 읽고 이 책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다음달에는 <집구석들>을 읽어야 겠다.
Ps 2. 에밀 졸라의 전작 읽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지금까지 읽은 에밀 졸라의 Top3는 인간짐승, 목로주점, 테레즈 라켕 순이다. 아직 읽을 책이 많아서 순위는 바뀔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