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으로 보아야만 잘 보인다. 중요한 것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 문장 하나로 이 책은 끝이다. 아마 북플하는 분들 중 이 책을 안읽은 사람이 있을까? 어린시절 소설의 재미와 감동을 알게 해준 책 <어린왕자>, 이제는 더이상 동심이 없게 된 나이임에도 다시 읽은 어린왕자는 여전히 감동이었다.
나이를 먹을수록 숫자와 남들에게 보여지는 것에 민감해 지는 걸 느낀다. 안그럴려고 노력해보지만 쉽지많은 않다. 이제는 더이상 어리지 않기 때문인걸까? 순수하지 않아서 인걸까? 그래도 이러한 행동에 부끄러움을 느낀다는 것 만으로도 위안을 삼아야 겠다.
책을 읽고 나서 길들여진다는 것에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내가 길들인것, 그리고 내가 길들여진 것에 대해서. 무언가에 대해 소중함을 느낀다는 건 내가 그렇게 했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손을 내밀었기 때문이다. 내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에 대해 책임을 갖고 대해야 겠다. 누군가에게 ‘단 하나밖에 없는‘ 것이 된다는 것은 정말 신비로운 일이다.
PS. <열린책들 35주년 세트> 20권 중 이제 <벨킨이야기>, <자기만의 방>, <백야>,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 네 작품이 남았다. 열린 책들 40주년 세트도 꼭 나왔으면 좋겠다.

"어느날 난 마흔네 번이나 해넘이를 보았어. 아저씨도 알 거야. 그렇게도 슬플 때는 누구나 해 가 저무는 게 보고 싶지."
"마흔네 번 해넘이를 본 날, 그렇다면 너는 그만큼 슬펐단 말이냐?"
그러나 어린 왕자는 대답하지 않았다. - P34
너는 아직 내게 세상에 흔한 여러 아이들과 전혀 다를 게 없는 한 아이에 지나지 않아. 그래서 나는 네가 필요 없어. 너도 역시 내가 필요 없지. 나도 세상에 흔한 여러 여우들과 전혀 다를 게 없는 한 여우에 지나지 않는 거야. 그러나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우리는 서로 필요하게 되지. 너는 나한테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것이 될 거야. 나는 너한테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것이 될 거고. - P93
가령 오후4시에 네가 온다면 나는 3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 거야. 시간이 갈수록 난 더 행복해질 거야. 4시가 되면, 벌써, 나는 안달이 나서 안절부절못하게 될 거야. 난 행복의 대가가 무엇인지 알게 될 거야. - P95
너희들은 내 장미를 전혀 닮지 않았어, 너희들은 아직 아무것도 아니야, 누구도 너희들을 길들이지 않았고, 너희들은 누구도 길들이지 않았어. 너희들은 옛날 내 여우와 같아, 수많은 다른 여우들과 다를 게 없는 여우 한 마리에 지나지 않았지. 그러나 내가 친구로 삼았고, 그래서 이제는 이 세상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여우가 됐어. - P96
네 장미를 그토록 소중하게 만든 건 네가 너의 장미에게 소비한 시간 때문이야. - P98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 우물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야. - P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