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요일 오후 광화문으로 가는 일은 이제 제의로 굳어진다. 박근혜 때 스물세 번을 꼬박 갔는데 이번에는 또 얼마나 가야 끝나려나. 시민 발언과 가수 노래를 들으며 그때와 이제를 비교해 보니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복잡한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그리고 그래야만 한다, 지긋지긋한 식민 그늘을 벗어나려면.
서울서부지법에서 윤석열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광신도들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일요일 아침, 나는 현장으로 향한다. 상황이 일단락된 뒤 풍경을 통해 오는 전언을 듣기 위해서다. 거리 곳곳에 저들이 누구인지 알려주는 반증이 나뒹군다. 군데군데 여전히 남아 수군대거나 떠들어댄다. 슬프고 가여운 생명들이다.
자신이 짝퉁 키세스 전사임을 아는지 모르는지 일당 받고 나온 할멈 예닐곱이 뜨끈한 국물을 나누며 시시덕거린다. 자신을 여기로 끌어들인 사악한 자들은 지금 아늑하고 풍요로운 공간에서 돈 세고 있을 텐데 무슨 영화를 누리겠다고 저러는지. 아린 눈길을 접고 나는 다시 국사당으로 향한다. 지난주 남겨둔 아쉬움을 거두러.





고건축 전문가에 따르면 국사당은 전체로 견실 간소한 조선 후기 건축 방식을 따르지만, 세부로 들어가면 우아한 면을 찾아볼 수 있는 중앙 경공(京工) 솜씨가 드러난다고 한다. 나중에 덧붙인 부분과 제대로 가꾸지 못한 주위 경관 탓에, 옹색하고 심지어 너저분한 느낌까지 들긴 해도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이만하기도 어렵다.
본디 국사당은 조선 수호신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봉해진 남산 꼭대기에 있었던 서울 수호 신당이다. 초기에는 신주도 있었으며 국가에서 제사도 지냈다고 하니 규모나 미학 측면에서 만만치 않은 건물이었음이 틀림없다. 왜놈에게 쫓겨나 이리로 오면서 원재료를 거두어 복원했다고 하는데 제반이 위축됐을 가능성이 크다.
왕궁과 대찰에 비하면 초라하기 짝이 없는 국사당 앞에 한참 서서 나는 무속이 걸어온 침하(沈下) 역사를 돌아보고 또 오늘날 우리가 처한 사회문화, 정치경제, 생태계 문제 전반을 둘러본다. 유구한 우리 산천 신앙을 범주 인류학 서사로 재탄생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는 깨달음에 든다. 현실 무속, 딱 그 짝 거대종교는 망조다.
명신이를 부추긴 무속과 석열이를 부추긴 개신교는 신벌을 받아야 한다. 물론 천공이 놈이 믿는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도 광훈이 놈이 믿는 여호와도 가짜 신이니 그들이 벌을 내릴 리는 없다. 그들을 벌할 신은 인민, 깨어 있는 시민이다. 시민을 깨어 있게 하는 신령들이다. 그 신령 가운데 신덕왕후께 절하고 국사당을 떠난다.


국사당 떠나 인왕산 남쪽 자락을 따라간다. 끄트머리 직전에 마을 길 거쳐 자하문로를 걷다가 이내 창의문로 건너편 칠궁으로 향한다. 한눈팔지 않고 곧장 육상궁으로 간다. 어제오늘 일을 고하고 팡이실이 신령을 청한다. 이렇게 새로운 순례길을 짠다: 국사당-육상궁-정릉. 버림받은 지성소가 연대해 반제 전의를 드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