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머란 무엇인가 - 농담과 유머의 사회심리학
테리 이글턴 지음, 손성화 옮김 / 문학사상사 / 2019년 8월
평점 :
희극의 관심을 잡아끄는 것은 조금 떨어져서 바라보는, 공통된 행동양식과 자각적으로 반복해서 나타나는 인간사의 일반적인 그림이다.·······관심의 초점을 한 개인에서 전체적인 패턴으로 전환하고·······거리를 두면서 정서적 반응을 솎아내는 것이다.·······즉 단일 현상을 처리하는 데 쓰이는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는 고통이 아니라 재미를 발견할 수 있는 이중화doubling다. 우리는 각각의 상황이 서로 다르리라 예상한다. 우연히 뜻밖의 동일성을 발견하면 어긋나 있고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는데, 바로 그렇기 때문에 재미있다.(87-88쪽)
이 문맥의 핵심 문구는 뜻밖에도 “정서적 반응을 솎아내는 것”이다. “행동양식” “반복” “패턴” “이중화” “동일성” 같은 중요한 단어는 정서적 반응을 솎아내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다.
정서적 반응을 솎아내는 것은 “감정이입”(89쪽) 또는 “공감”(89쪽)을 차단하는 것이다. 감정이입이나 공감을 정확한 한 단어로 바꾸어야 한다. 감동. 우스개가 일으키는 재미는 「감동感動 없는 동감同感」이다.
동감이 없으면 우스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선행하면서 더 중요한 것이 감동이 있으면 재미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감동은 “단일 현상을 처리하는 데 쓰이는 에너지”, 그러니까 “깊은 감정”(64쪽)을 요구한다. 그 깊은 감정이 재미를 잡아먹는 포식자다. 그 포식자를 일거에 날려버리는 한 소식이 우스개다.
우스개는 “서로 다르리라 예상한” “각각의 상황”에서 동일성을 찾아내 상황의 심각성을 제거함으로써 안심하고 재미 속으로 뛰어들게 한다. 까꿍 놀이를 가지고 이치를 들여다보자.
엄마 얼굴이 사라지고 그것이 끝이라면 아기의 공포와 울음으로 상황은 종결된다. 공포가 울음을 폭발시키기 직전 엄마 얼굴이 “까꿍” 소리와 함께 나타난다면 아기는 놀람과 기쁨의 웃음을 터뜨린다. 이 최초의 “까꿍”은 우스개가 아니고, 아기 웃음은 즐거움이 아니다. 여기는 아직 감동의 누리다. 한 번 더 반복되면서부터 “까꿍”은 우스개로 작용하며, 아기는 즐기기 시작한다. 이제 여기는 감동 없는 동감의 누리다.
이쯤에서 오늘 이야기를 접어도 되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본다. 까꿍 놀이를 통해 아기가 즐기는 것이 헤어졌던 엄마를 다시 만나는 환희인가? 설마. 그럴 리가. 그 환희는 헤어짐을 전제한다. 다시 만나는 것이 패턴으로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헤어짐을 즐기는 것이다. 심지어 우스개가 바라보는 곳은 더 너머까지다. 엄마와 헤어지는 공포와 슬픔의 운명을 알아차리고 받아들이게 하는 바로 그것. 우스개를 통해 운명에서, 놀이를 통해 현실에서 심각함·진지함의 독을 빼는 일이 우스개의 천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