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현대인은 종 고독이라는 크나큰 아픔을 겪고 있다(522)

 

세밀하게 말하는 이들은 고독solitude이 외로움loneliness과 다르다고 한다. 고독은 객관적 조건으로서 홀로 있음이거나 그 홀로 있음을 정서적으로 문제 삼지 않음을 가리키고, 외로움은 홀로 있음을 쓸쓸하게 여기는 정서 상태를 가리킨다, 정도로 이해할 수 있겠다. 둘을 사실상 동의어로 이해했던 사람에게 이 분별은 명쾌한 느낌을 선사하는 세밀함이 된다. 기왕 세밀함 안으로 들어왔으니 온전히 세밀해져야겠다. 정말 객관적 조건으로서 홀로 있음이 있을 수 있는가? 그 홀로 있음을 정서적으로 문제 삼지 않을 수 있는가?

 

더불어 있지 않는 존재가 인간일 때, 여기서 특별히 문제 삼을 일은 없다. 그 곁에 나무가 진득하니 섰고, 풀이 하늘하늘 춤추고, 새가 낭랑하게 지저귀고, 시내가 졸졸 흐른다면, 이를 홀로 있다 할 수 있는가? 없다. 그럼에도 인간이 그렇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그들과 교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 고독인가? 그렇다고 할 때, 인간은 정말 아픔을 겪고 있는가? 적어도 대부분 인간 생각에는 그렇지 않다. 현대인 가운데 누가 자연과 교류할 수 없어서 아픔을 느낀다고 하는가. 병식 유무와 병 여부는 다르다, 에 주의한다.

 

많은 병이 병식을 동반하지 않고, 많은 병인이 병식을 지니지 않는다. 병식 있는 병과 병식 없는 병 둘 중에 어느 병이 병인에게 더 위험한가? 잘라 말하기 어렵지만 생사를 좌우하기도 하는 병에 병식이 없을 경우 대개 죽기 직전에 알아차리게 된다는 점에서는 병식 없는 병이 더 위험하다. 이런 점에서 보면 현대인이 종 고독을 아픔으로 느끼지 못한다는 사실은 위험하다. 거꾸로 말하면 병식이 없어서 위중한 병이다. 병식 없는 종 고독이 기후재앙을 증강시킴으로써 인간의 대멸종을 초래할 수도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종 고독이란 병을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이는 일이 화급하다. 통증이 있으면 쉬운데 아무런 느낌이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전방위·전천후 자각에 도달할 수 있는가? 인간 행위가 폭로하는 비윤리성을 확인하면 된다. 병의 지성소에 모셔진 악을 대면하면 된다. 생리 통각이 마비되었을 때에는 윤리 통각을 깨운다. 종 고독은 인간 일극집중논리로 자행하는 다른 종에 대한 살해·수탈 그 자체와 결과를 인간 관지에서 붙인 이름, 즉 악의 지성소에서 불러낸 병의 얼굴이다. 병의 얼굴에서 악의 심장을 보는 눈이 어둠을 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는 입을 수 없을 만큼 해져서 마지막 바느질을 한다. 여태까지 바느질은 옷에 대한 경외를 표하는 방식이었다. 오늘 바느질은 마직을 만들어내는 삼이나 아마, 그 풀에 대한 경외를 표하는 제의다. 지난 1년 새 달라진 내 삶의 관지가 빚은 새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지독히 조심하지만, 나는 우리도 여느 사람만큼 유죄임을 안다.(521)


 

기독교리얼리즘 운동을 이끈 개신교 신학자 칼 폴 라인홀트 니부어(1892-1971)는 저서 도덕적 인간 비도덕적 사회(1932)에서 비도덕적 사회에 속한 개인이 도덕적일 수 있는지를 묻는다. 열정적으로 현실에 참여한 그인 만큼 원리 아닌 윤리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한다.

 

신약성서 요한복음 87절을 떠올린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근본주의자를 내리친 철퇴다. 종교 문제에서도 마찬가지거니와 사회정치 문제에서 근본주의 좌파는 자신이 마치 공동체 밖에 있는, 그러니까 100% 순결한 듯 말한다. 유죄 스펙트럼을 단일화해 비판, 아니 비난한다. 근본주의적 비판은 쉽다. 근본주의적 비난은 더 쉽다. 그 비판으로는 현실을 바꾸기 어렵다. 그 비난으로는 현실을 바꾸기 더 어렵다. 근본주의자는 현실에 참여할 전선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나는 우리도 여느 사람만큼 유죄임을 안다.고 고백함으로써 윤리적 수리, 그러니까 유죄 스펙트럼에 저항적·역동적 참여를 시작한다. 몸으로 참여해야만, 알 수 있고 할 수 있는 일, 알 수 없고 할 수 없는 일에 단도직입으로 직면한다. 단도직입으로 직면할 때 비로소 진실이 살아 숨 쉬는 다양한 결에 가 닿는다. 칼 폴 라인홀트 니부어가 쓴 <평정 기도문Serenity Prayer>을 음미한다.

 

주여, 우리에게 은혜를 내려주소서. 그리하여, 바꿀 수 없는 일을 받아들이는 냉정함과, 바꿀 수 있는 일을 바꾸는 용기를,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분별할 수 있는 지혜를 허락해주소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자연주의자들은 상처 세상에서 살아간다. 상처는 그들만 볼 수 있다.(521)



 

한약 지으러 왔다는 환자한테 현재 몸 상태에 관한 상세한 의학 이야기를 30분가량 한 뒤, 내가 말한다. “첩약은 보험 안 돼 비싸니 최후 선택입니다. 일단 침 치료만 받고 한 달 동안 운동, 식이조절부터 하세요. 그런 다음 다시 오십시오.” 그를 소개한 친구가 저녁 사겠다기에 따라 나선다. 소주를 따르며 그가 친구에게 말한다. “우리 선생님, 돈 버시긴 틀렸네.” 내가 파안대소하자 그가 정색하고 명토 박는다. “한 달 뒤 다시 오면 꼭 약 지으라 하셔야 됩니다.”

 

젊은 시절 나는 혈관운동신경성비염을 치료하러 뜨르르한 전문의를 찾아간 적이 있다. 그는 목례로 인사한 뒤 짧게 절진하자마자 대뜸 알아먹을 수 없는 글씨로 처방을 써내려갔다. 벨소리에 간호사가 들어오자 처방전을 건넸다. 간호사가 치료실로 안내하겠다면서 나를 일으켜 세웠다. 나는 그의 말을 한 마디도 듣지 못한 채 자리를 떠나야만 했다. 내가 머무른 시간은 3분가량이었다. 정체 모를 약 말고 어떤 의학에도 나는 접근할 수 없었다. 약 효과도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생명의 아름다운(막으로 둘러싸인) 기관 속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결합되고 빛과 엽록소가 작용하면 당과 산소가 생성된다.

 

다름 아닌 광합성이다.

 

.......

 

미토콘드리아로 불리는 생명의 아름다운 (막으로 둘러싸인) 기관에서 당과 산소가 결합하면 우리를 처음 출발한 곳이산화탄소와 물으로 데려간다.

 

다름 아닌 호흡이다.......식물의 호흡은 동물에게 생명을 주고 동물의 생명은 식물에게 생명을 준다. 내 숨이 네 숨이고, 네 숨이 내 숨이다. 이는 주고받음, 세상에 생명을 불어넣는 위대한 호혜 시다.......자신을 지탱하는 공생관계를 이해할 때 비로소 인간은.......감사와 호혜를 발휘할 수 있다.(502)

 

엄밀한 진실은 이렇다.

 

1. 광합성은 식물 호흡이 아니다. 식물도 인간과 똑같이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쉬는 호흡을 따로 한다. 호흡에서는 호혜가 아니다.

 

2. 광합성은 동화작용이고 호흡은 이화작용이다. 동화작용은 합성이고 이화작용은 분해다. 식물 광합성은 당을 합성해 인간에게 공급한다. 인간은 식물에게서 받은 당을 분해해 에너지로 쓴다. 그러므로 이 둘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주고받는 사건은 동등한 호혜가 아니다. 일방적으로 받은 당 만큼 인간은 생명을 식물에게 빚지고 있다. 식물 없이는 인간도 없지만, 인간 없이도 식물은 있다.

 

호혜를 일부로 품고 호혜 너머 큰 은혜 네트워킹을 일으킨 식물에 대한 존재론적 감사는 인간이 인간답기 위한 근본조건이다.

 

감사는 우아한 실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