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이러스의 비밀 - 코로나19부터 유전자 치료까지, 우리가 알아야 할 신비한 바이러스 이야기
다케무라 마사하루 지음, 위정훈 옮김, 강석기 감수 / 파피에(딱정벌레)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3권을 되작이며 미소생명체, 그리고 그들이 인간생명체와 나누는 공생 풍경을 톺아보았다. 개탄스러운 무지를 확인하는 한편, 날카로운 깨달음과 구체적인 도움도 얻었다. 나는 3가지 큰 변화를 일구었다.

 


1. <10-왜 먹는가?>에서 말했듯 생애 최초로 식사습관을 바꾸었다. 장 미소생명과 공생을 섬세히 하기 위해서다. 아직은 적응 단계다. 몸 생명도 장 미소생명도 오랜 기존 습관을 벗어나는 데 시간이 필요한 모양이다. 무엇보다 매일 찾아오던 막걸리가 발길을 거의 끊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듯하다.^^

 

2. ᄂᆞ울(너나울) 삶으로 전환했다. 인간생명체만 주체로 생각해 라고 지칭했던 이 공생 생명체를 ᄂᆞ울(너나울)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ᄂᆞ는 너와 나를 아우르는 말이다. 나들만 모여서는 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나와 다른 나인 를 인정함으로써 하이핑hyphaeing을 통한 우리가 가능해진다. 그 너나울을 ᄂᆞ울이라 한다.

 

ᄂᆞ울은 인정, 감사, 신뢰, 경청, 질문, 요청, 숙성, 실천, 성찰, 다시 인정으로 순환하는 숙의 공동체다. 숙의를 일단 기존 용어로 기도라 부른다. 이 기도는 인간생명체 일방행위로서 거대신 앞에 머리 조아리는 간청기도와 전혀 다르다. 몸 미소생명체는 물론 자연 미소 생명체와 낭/, 돌꽃(지의류), 팡이(균류), (조류)에 이르기까지 온갖 생명체가 참여하는 쌍방행위로서 당당한 요청기도다. 요청기도에는 탐욕이 틈입하지 못한다. 얽매임 없는 자율주체들이 더불어 살기 위해 결곡히 부딪치고 곡진히 합의하는 탱맑은 장으로 진입하는 행위기 때문이다.

 

3. 변화된 기도를 실천하면서 나는 아주 커다란 깨달음을 얻었다. 일심-화쟁-무애라는 연역을 무애-화쟁-일심이라는 귀납으로 뒤집어 인식함으로써 원효사상이 지닌 해체와 구성 전모를 통찰하기에 이르렀다. 이 통찰은 역사적 맥락으로서 원효가 천명한 화쟁과 내 맥락으로서 천명할 화쟁이 비대칭인 대칭을 이룬다는 각성이다. 원효에게 가는 길 47년차 끄트머리에서 마침내 더는 없을 소식을 들은 셈이다. 소리 없는 천둥이 친다.

 


공부는 계속된다. 이제 남은 공부 내용은 이 책에 실려 있다: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멀린 셸드레이크가 지은 균이 만드는 지구 생태계의 경이로움에 대한 책이다. 균은 팡이다. 팡이와 말이 공생하는 돌꽃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를 전해준다. 물론 이 이야기에 관한 내 이야기를 곧 시작한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이러스의 비밀 - 코로나19부터 유전자 치료까지, 우리가 알아야 할 신비한 바이러스 이야기
다케무라 마사하루 지음, 위정훈 옮김, 강석기 감수 / 파피에(딱정벌레)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전자현미경에서 우리가 보는 바이러스 입자는 바이러스 진짜 모습이 아니다.......세포 안에 녹아 있는상태”(214)야말로 바이러스........ , 바이러스 진짜 모습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다.......이런 상태를 바이로셀virocell’이라 부르고, ‘이것은 하나의 세포성 생물이다.’_파트리크 포르테르(218)

 

바이러스 시선에서 보면 세포성 생물은 바이로셀 증식 장소일 따름입니다. 우리 세포성 생물은 바이로셀, 그러니까 결국 바이러스에게 진화 당해왔을는지도 모르겠습니다.(224)

 

바이러스가 주체적으로 생물을 만들었는지 여부는 제쳐두고, 바이러스가 있었기 때문에 인간이 이런 모습으로, 여기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분명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바이러스야말로 우리네 창조자로 보는 일도 가능합니다.......이 여지 자체가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질문을 내포한다고 생각합니다.(227~228)


 

깊은 수행이나 환각물질로써 자기 경계가 사라지고 거대 존재와 합일하는 영적 체험을 하면 인생 바뀐다는 소식이 고통 받는 인간에게 전해진 지 수 천 년이 지났다. 왜 아직도 깊이 수행해서 인간 해방한 자가 이리 귀하며, 환각물질 먹고 인생 역전한 자가 이리 드문가. 인생 역전과 인간 해방이 끽긴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 수행이나 환각물질로써 가 닿은 거대 존재가 허구여서가 아닐까?

 

거대 존재는 인간 망상과 언어가 날조한 허구다. 망상과 언어는 문명이 발명한 인간 자부심이다. 문명은 거대 허구에서 출발해 소미 실재에 도달하는 역순을 밟음으로써 거대 존재로써 거둔 성공이 소미 존재로써 실패할 위기를 자초했다. 15~17세기 거대 물질을 연구하는 천문학에서 시작된 이른바 과학혁명이 인간을 마침내 만물의 영장으로 만들었지만, 20세기 들어서야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한 소미 물질 바이러스는 인간을 돌연히 하얀 마스크 뒤에 숨은 겁쟁이 포유류로 전락시켰다. 인간은 시방 미증유 변화 칼날 위에 맨발로 서 있다. 제대로 깨달은 중용 존재가 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지 싶다.

 

깊은 수행이나 환각물질로써 작은 인간 경계에서 해방되어 큰 존재와 합일한다, 는 영성은 감각 오류 또는 표현 오류가 빚은 허구다. 자아 확장을 욕망하는 입자 인간이 닦은 큰길이다. 인간 크디큰 경계가 해체되어 작디작은 존재로 생명 사건 안에” “녹아든다, 가 진실이다. 자아 소거로 진욕進辱하는 파동 인간이 닦은 오솔길이다. 이 길은 깊은 수행이나 환각물질로는 찾을 수 없다.

 

오솔길에서 합일하는 신은 너무 거대해서 보이지 않는 존재가 아니라 너무 소미해서 보이지 않는 존재다. 정확히는 소미하다조차 차마 말할 수 없는 존재다. 전자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는 녹아 있는존재다. 녹아 있는 신은 질량도 아니고 에너지도 아니고 소식이다. 소식은 창조와 파괴, 그 진화 풍경을 펼쳐낸다. 풍경을 보며 인간은 질문한다. “생명이란 무엇인가?이 질문을 저자는 철학적이라 했다. 나는 이 부분 만큼은 동의하지 않는다. 철학 또한 거대 존재를 추구하던 문명의 발명품 가운데 하나다. 녹아 있는 창조자를 몸 안팎에 모시고 사는 생명에게 철학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오키도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러스의 비밀 - 코로나19부터 유전자 치료까지, 우리가 알아야 할 신비한 바이러스 이야기
다케무라 마사하루 지음, 위정훈 옮김, 강석기 감수 / 파피에(딱정벌레)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거대바이러스를 근거로 한 바이러스가 먼저라는 가설에서는 모든 생물과 거대바이러스 선조를 DNA리플리콘-거대바이러스 원형-으로 봅니다.......거기서.......무엇은 고 세균으로, 무엇은 세균으로, 무엇은 거대바이러스로 진화해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203~205)

 

프란치스코 교황이 문재인 대통령과 대화하는 중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같은 언어 쓰는 형제라고 표현했다.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염원이 담긴 말이다. 정작 조중동, 검판, 국힘 같은 대한민국 매판집단은 제 부모형제를 버리고 원수를 부모로 섬기며[儭日] 전쟁과 분단 장사에서 대박치려 미쳐 돌아간다.

 

참람한 짓은 이 나라 매판만 저지르지 않는다. 지구생태계로 보면 인류 전체가 매판이다. 강도 유일신과 마약 문명 일으킨 토건매판 인류가 형제 생명을 팔아 제 곳간 채우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바이러스에서 침팬지까지 한 조상에서 흘러나온 형제인데 모조리 사물로 치부해 함부로 대놓고 수탈하며 살해해 돈을 섬긴다.

 

남북 간 평화통일이 절실한 이상으로 인간 자연(미소생명) 간 평화통일은 긴절하다. 존망이 걸린 일이다. 국가 간 문제처럼 정상회담 뭐 이런 통로가 있을 수 없어서 어렵다. 가해자 공범의식 지닌 민중이 홀연 일제히 형제애 각성해 떨쳐 일어나기만을 빌고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