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 노트
주디스 버틀러 지음, 김응산 외 옮김 / 창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가 수행성을 띤다 할 때 그 의미는 젠더가 특정 종류의 상연이라는 뜻이다. , 우리는 현재젠더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어떻게 상연할지를 결정한다는 말이다. 상연은 그렇게 존재론 일부이자, 젠더 존재 양태를 재사유하는 한 방식이다. 따라서 언제, 어떻게, 어떤 결과로 이어지면서 그런 상연이 일어나는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 모든 일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바로 그 젠더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89)

 

성별性別을 표현하는 용어 섹스sex는 생물 개념이다. 이와 마주한 사회 개념인 젠더gender는 심지어 여성조차 모르기 일쑤다. 그만큼 섹스는 성불평등 현실을 반영하고 젠더는 반대한다. 본디 이치가 그렇기 때문이 아니라 남성 패권 사회가 생물 섹스에 불평등을 사회적으로 뒤집어씌웠기 때문이다. 부패한 사회가 언어를 부패시키는 이 상황을 전복하려면 비상한 사회적 수행성이 요구된다. 그 수행성을 이끌려고 세운 언어가 젠더다.

 

1995년 처음 등장한 이래 젠더 수행성은 부단히 그 형상을 만들어왔다. 수행성 형상은 본성상 상연을 통해서만 모습을 드러낸다. 상연은 현재 존재를 서술하는describe 일이 아니다. 미래 당위를 이미 이루어진 관지에서 규정하는prescribe 일이다. 프랑스어로 치면 전미래 시제 행동이다. 전미래 시제 행동인 상연은 존재 양태를 재사유하는 한 방식이며 변화를 구동하는 제의다. 제의는 미래 기억을 오늘 기념하는 거룩한 놀이다.

 

거룩한 놀이는 접히고 구겨진 성 평등 진실을 활짝 펴는 옹글고 우렁차고 요란스러운 몸짓, 연기演技로 구성된다. 우람한 연기는 이제까지 얼마나 어떻게 아프고 슬픈가를 한껏 실컷 드러냄과 동시에 인제부터 얼마나 어떻게 즐겁고 기쁠까도 한껏 실컷 드러낸다. 이 비대칭대칭 경계에서 미래는 과거를 재구성해 현재로 도래한다. 바로 이 누리가 수행성의 진경이다. 젠더 맥락에서 밝혀진 수행성 진경은 다른 모든 맥락을 관류한다.

 

숙의치료도 연대하는 신체들이 행하는 거리 정치에 해당한다. 당연히 수행성 원리가 적용된다. 보통 두 사람으로 이루어지는 치유연대는 따로 또 같이 우람하게 연기해 마음 아픈 사람이 미래로써 과거를 재구성해 현재에 살도록 이끈다. 내 경험상 치유연대 대상은 거의 대부분 여성이었다. 젠더 맥락이 어떻게 가까운 곳에서 구체적으로 작동하는지 몸으로 느껴온 시간은 나를 더 결곡한 성인지적인 사람으로 만들어주었다. 복된 삶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_@irightaxi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 노트
주디스 버틀러 지음, 김응산 외 옮김 / 창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 규범이 어떻게 구성되고 유지되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유하기 위해 우리는 그 규범이 만들어내는 규약 외부 입장을 취해야 한다, 이는 비인간 심지어 반인간이라는 이름으로 나서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인간 형태 삶으로 환원되지 않는, 그리고 인간본성 혹은 인간 개인에 대한 그 어떤 강제적 정의로도 적절하게 지칭할 수 없는 사회성과 상호의존 입장을 취해야 한다. 인간 삶이 무엇인가에 대해 말하는 일은 이미 인간 삶의 방식이 비인간 삶의 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인정하는 일이다.......만일 인간이 비인간 없이는 인간일 수 없다면, 비인간은 인간에게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 본질로서 위치한다 할 수 있다.(63~64) 인간이라는 동물 영역을 넘어서 존재하는 다른 생명과 맺는 생물학적 네트워크 없이는 그 어떤 자아도, 그 어떤 인간도 살 수 없다.(65)

 

인간 생명은 비인간 생명에서 왔다. 비인간 생명은 비생명에서 왔다. 인간 생명은 비인간 생명 없이는 존재하지 못한다. 비인간 생명은 비생명 세계 없이는 존재하지 못한다. 비인간 생명은 인간 생명 없이도 존재한다. 비생명 세계는 비인간 생명 없이도 존재한다.

 

인간 생명은 모든 다른 존재가 베푼 은총을 받아 가장 나중 세계에 왔다. 그 크나큰 은총은 가장 육중한 생물학적 천명과 짝을 이룬다. “우리는 잘해야 한다. 이는 도구적 당위........”(스튜어트 A. 카우프만 무질서가 만든 질서169) 우리는 잘하고 있는가?

 

스튜어트 A. 카우프만이 쓴 도구적 당위instrumental ought 개념은 인문사회학적 인식 틀 안에서 잠자는 나를 깨운 죽비소리였다. 내가 아는 당위Sollen는 인간사회 규범 개념으로서 존재Sein 자체에서 도출할 수 없다. 이 이원론을 도구적 당위가 무너뜨린다.

 

도구적 당위는 비인간 생명이 지닌 본성이다. ·풀에게는 존재와 당위 사이 격절이 있을 수 없다. 윤리적, 법적 당위는 두려움, 게걸스러움, 어리석음을 극대화한 인간 문명에서나 요목이 된다. 요목으로서 당위 자체가 인간 영락과 곤경을 드러내주는 증거가 된다.

 

인간에게 다른 생명과 맺는 생물학적 네트워크가 필수인 한, 비인간이 인간 본질로서 위치하는 한, 우리는 생명과 생애 전체에 비인간, 특히 낭·풀 본성 잘 상연하는 수행성을 도구적 당위 한복판으로 이끌어야 한다. “우리는 잘해야 한다.” 잘해도 아주 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 노트
주디스 버틀러 지음, 김응산 외 옮김 / 창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일 수행성이 종종 개인 수행performance과 결부되어왔다면, 우리는 오직 조직화한 행동을 통해서만 작동하는 수행성에 다시 주의해야 한다, 즉 복수 형태 행위와 저항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실천을 재구축하는 일이 조건이자 목적인 수행성 형태들에 다시 주의해야 한다는 말이다.......이런 행위는 내 행위도 아니고 네 행위도 아니다; 우리 사이 관계에서 발현하는 무엇이다; 나와 우리 사이를 가로지르는 모호한 실재다.(17~18) , 그 자체로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어떤 통일된 개체로 융합되지 않고서도 동시에 우리.(77)

 

동아시아 사유에는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 그러니까 .......동시에 우리.라는 통찰이 오랜 전승으로 내려온다. 개체와 전체, 그러니까 나와 우리 사이를 가로지르는 모호한 실재를 진즉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문제는 모호한 실재를 다자보다 일자 쪽에 치우쳐 이해한 측면이 압도적이라는 사실에 있다. “그 자체로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어떤 통일된 개체로 융합되지 않고서도라는 말에 기울인 주의가 너무 소홀했다. 그 결과 중국은 공산당, 일본은 자민당, 북한은 노동당, 남한은 매판카르텔 일극지배가 입때껏 드세다.

 

이 일극지배는 극소수 권력중독집단이 우리를 전유한 현상이다. 전유 수단이 바로 통일된 개체로 융합하는 폭력이다. 통일된 개체, 즉 융합된 들은 전체인 우리를 이룰 수 없다. 똑같은 들의 집합은 전체가 아니라 덩어리개체일 뿐이다. ‘아닌 를 자유롭고 평등한 독립 존재로 인정할 때, ‘다른 나가 성립하고, 가 수행성을 창조할 때, ‘우리가 된다. ‘우리라는 개인이 문안으로 들어오거나 문밖으로 나가며.......혹은 노상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음을 깨달을 때,.......소환”(76)되는 바다.

 

동아시아 전승 맞은편에 서구, 특히 미국이 있다. 미국 독립선언문은 개체와 전체가 충돌할 때 개체가 우선한다는 이념을 천명했다. 미국은 실제로 이 이념을 축으로 융성해 패권국가가 되었다. 세계 통치도 이런 이념을 따른다. 물론 이때 개체는 오직 미국이다. 미국에는 외국 개념이 사실상 없다. 미국 하원의원 86%가 여권을 소지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그 증거다.(우치다 타츠루 소통하는 신체202~203) 개체 간 경쟁에서 일등 개체만 개체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그 아래 무릎 꿇어야 하는 세계 체제를 구축해 한창 구가 중이다.

 

개체를 전체에 매몰하든, 일등 개체가 전체를 장악하든 결과적으로 같은 수탈구조다.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이 이치로 현실화하는 이유는 인간이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두려움과 게걸스러움과 어리석음을 폭발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는 한 수행성은 불멸화두다. 수행성은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에서 기원해 일즉다 다즉일로 향해 가는 현재진행형 근사approximation운동이다. 현재진행형 근사운동은 낭·풀 본성에서 발원했다. ·풀 본성은 곰팡이 본성에서 발원했다. 곰팡이 본성은 원핵생명체 공생에서 발원했다. 정치는 그 은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