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여 넘어진 나무가 마지막 꽃송이를 맺었다. 세월호 엄마의 눈물 같다. 하마 4년이 흘러갔다. 그저 사고가 아니었다. 다만 구조하지 않은 것이 아니었다. 기획된 것이었다. 진실이 뚜벅뚜벅 걸어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삶은 

죽음과 살갗을 맞대는,

그런 것이다 




명, 것은 죽음의 행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년 4월 16일, 우리 생명공동체에게 카이로스 통증을 일으켰던, 아직도 입에 올리는 것조차 고통스러운 크로노스 통증이 되어버린, 그 기억의 지표에서부터 나는 죽기 살기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4년 동안, 3백 쪽짜리 책 50권 분량을 썼다. 책으로 출간될 상품성 갖춘 것이 아니었으므로 철저하고도 처절한 익명의 글쓰기였다. 어깨가 ‘나갔다’.


처음에는 미세한 국소적 근육의 존재감으로 시작했다. 일시적인 현상이라 여겨 그대로 놔두었다. 시나브로 영역이 확대되면서 삼각근 전체로 통증이 일어나 번져갔다. 통증의 결과 겹도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마침내 견갑대 전체에서 승모근으로, 팔과 손으로 스무 가지가량 통증이 찰나마다 갈마들며 날뛰기 시작했다. 문제 삼아야만 할 시점에 도달했다.


무엇보다 먼저 통증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는 일에 주의를 기울였다. 통증이 어떻게 일어나 변하고 잠잠해지는지 관찰했다. 몸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조용히 지켜보았다. 일어날만해서 일어난 통증이므로 함부로 서둘러 진통치료를 하지 않고 기다렸다. 물론 통증은 사라지지 않고 점점 더 심해졌다. 잠자다가 깨는 일이 차츰 잦아졌다.


몸의 자기치유력을 존중하는 것만으로는 통증 사건 전체를 경험할 수 없다고 판단한 때부터 나는 조금씩 몸을 돕기 시작했다. 손으로 두드리고 문지르고 주물렀다. 자다가 아파서 깨면 일어나 스스로 침을 놓았다. 그러면서 통증의 곡절과 전언을 생각하기 시작했다. 왜 왼쪽에서 시작되었나? 어깨는 몸에서, 삶에서 무엇인가? 몸은 마음과 어떤 관계인가?


숱한 상념들이 일어나고 스러졌다. 단계마다 새로운 깨달음으로 질적 차이를 지닌 시간이 흘러갔다. 마음 문제에 치우쳐 있는 내 삶의 경사, 개인의 삶에서 짊어져온 십자가의 과중을 거쳐, 이윽고 공적 참여를 위한 익명적 희생에 이르자 통증 사건이 전모를 드러냈다. 이 깨달음은 통증을 제거하는 묘약이 아니라 삶의 변화를 가리키는 이정표였다.


40년 전 신체 일부를 생으로 잘라내는 카이로스 통증과 급격히 조우하면서 내 인생은 격변의 길로 들어섰다. 그 통증은 제거할 수 없는, 해서는 안 될 생명의 징조였다. 그 징조에 감응함으로써 나는 40년 동안의 인생 제2기 la Critique 부정否定과 파괴의 시대를 견뎌냈다. 이제 나는 100일 동안 크로노스 통증을 겪으면서 전혀 다른 징조를 읽어낸다.


제거할 수 있는, 해야 할 통증과 직면하면서 마침내 인생 제3기 la Naïveté seconde 부정不定, 그러니까 무애자재의 시대로 넘어가는 변화를 예감하고 있다. 생명과 그 감각을 갉아먹으며 부단히 엔트로피를 끌어올리는 통증을 분별하여 선선한 손길로 털어버리는 노년의 운수雲水야말로 대大자유의 삶일 것이다. 어찌 하면 선선한 손길을 지닐 수 있을까?


이 100일의 끄트머리 닷새 동안 나는 낯선 나라에 머물렀다. 도착한 날 한밤중에 나는 홀연히 잠에서 깨어났다. 아내의 숙면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욕실을 거쳐 화장실로 들어갔다. 빛이 완벽하게 차단되는 공간이었다. 완벽한 어둠 속에서 나는 어둠을 응시했다, 어둠은 좀처럼 물러나지 않았다. 아, 그렇구나. 응시한다고 해서 물러날 어둠이 아니다!


어둠은 어떻게 물러나는가. 내 몸에서 나오는 빛을 받고서야 물러난다. 인간의 몸에는 세포마다 광자photon가 있다. 완벽한 어둠 속에서 이치를 따라 기다리면 몸이 내는 빛으로 말미암아 주위 어둠이 이치만큼 물러난다. 기계적인 즉각 반응이 아님은 물론이다. 응시의 힘은 더더욱 아니다. 나는 그 동안 응시에 마법적 힘을 부여해왔다. 잘못이다.


있는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인다고 해서 통증이 물러나는 것은 아니다. 기작과 의미를 깨닫는다고 해서 통증이 물러나는 것은 아니다. 몸 전체에 깃들어 있는 생명력을 일깨우고 북돋워 반생명적 통증에 맞서야 물러난다. 물러날 때까지 손을 써야 한다. 이것이 선선한 손길이다. 선선한 손길이 삶에서 엉긴 열을 내려 가벼이 흐르게 한다.


백일통오百日痛悟는 결국 손으로 귀결되었다. 손은 마음이 몸의 마음이라는 진실을 확인해주는 상징이다. 인간인 한 이 손을 떠날 수 없다. 손에 깃드는 진실을 터득하기까지 통증에 예의를 갖추려고 지난 100일의 어느 시점부터 나는 글 읽기와 쓰기를 멈추었다. 기존 삶을 멈추고 새로이 감지한 내 삶의 어떤 경이로움에 가만 손대어 본다. 덤덤하게 설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앞태 연분홍

뒤태 진분홍

진달래로 온다

봄은 




all that spring




the one that spr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읽지 않는다

쓰지 않는다

듣고 맡아서

살기로 하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