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감에 대하여 - 저항과 체념 사이에서 철학자의 돌 1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돌베개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몸이 나이를 먹어 가면 갈수록 살덩이라는 질량이 되어버리고 힘을 잃어버리는 것처럼,·······정신 역시 마찬가지다. 정신은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둔중하고 무거워지는 나머지 새로운 표시의 도전을 받아들이기 어려워진다.(154쪽)

 

인근에 사시다가 제법 먼 경기도 어느 도시로 이사 가신 뒤에도 한사코 제 진료실을 찾아오시는 70대 여성 한 분이 계십니다. 침 치료 중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나눈 대화입니다.

 

“무엇으로 소일하세요?”

“TV 끌어안고 살아요. 하루 종일 종편 틀어놓고 정치 얘기 보면서 열 올렸다 내렸다 해요. 난 야당 싫어요. 무조건 박근혜 대통령 편이에요. 국가가 중요하잖아요? 입대하는 오빠한테 엄마가 울면서 여비를 태극기로 싸주시던 어릴 적 기억이 지워지지 않아요.”

“자신의 삶 안에서 생각하기 마련이지요. 제 증조부는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항일의병장이셨습니다. 조부는 30년 넘게 일본경찰에 쫓겨 다니셨죠. 집안이 쫄딱 망했습니다. 제가 독립군 때려잡던 일본군 장교 딸 편을 들 수 없는 이유지요.”

“·······”

 

그 분이 제 말을 듣고 무슨 생각을 하셨을까요? 분명히 알 수 없습니다. 이렇게 말하지 않고 설득하거나 비판하려 했다면 그 분은 저를 반국가적 인물, 심지어 빨갱이쯤으로 여겼을 것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특별히 이상한 분 아닙니다. 대한민국 노인의 평균적인 모습입니다. 왕과 국가를 동일시했던 봉건적사고 틀을 여전히 지닌 채 살아가는 대한민국 노인, 그들은 21세기의 화석입니다. 화석이 자주와 민주라는 “새로운 표시의 도전”을 받아들일 리 없습니다.

 

노인의 보수화, 아니 노화의 또 다른 이름인 보수화는 보편적 현상입니다. 유난히 대한민국에서 극단적인 양상을 띠는 것은 민주주의 혁명을 가로막고 등장한 식민지 경험에서 일차적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식민지교육을 받은 세대가 어버이연합 따위로 상징되는 대한민국 노인의 주류적 정체성을 구축하였습니다. 마지막 총독 아베 노부유키가 한 저주의 예언은 적중했습니다.

 

“일본은 패했지만 조선이 승리한 것은 아니다. 장담하건대, 조선이 제 정신을 차리고 찬란하고 위대했던 옛 조선의 영광을 되찾으려면 100년보다 훨씬 더 긴 세월이 걸릴 것이다. 우리 일본은 조선국민에게 총과 대포보다 무서운 식민지교육을 심어 놓았다. 결국 조선인은 서로 이간질하며 노예적 삶을 살 것이다. 보라! 실로 조선은 위대했고 찬란했지만 현재 조선은 결국 식민지교육의 노예로 전락할 것이다. 그리고 나 아베 노부유키는 다시 돌아온다.”

 

우리사회 지배층과 그 마름집단에서 우리는 아베 노부유키의 아바타를 수없이 목격하고 있습니다. 그 아바타들은 매판의 자본을 거머쥐고 떵떵거리며 삽니다. 사회 각계의 뜨르르한 명사celebrity가 되어 명예를 누리고 있습니다. 식민 지배를 대놓고 예찬합니다. 독립혁명의 전사들을 테러리스트, 여자 깡패라 비아냥거립니다. 단 한 번도 독립혁명에 가담한 적 없는 이승만을 국부로 치켜세웁니다. 역사 교과서를 날조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의 보수 세력은 자기 나라를 위해 역사를 왜곡하건만 대한민국 보수 세력은 자기 나라를 침략하고 지배했던 나라들을 위해 역사를 왜곡합니다. 이처럼 비참한 국가적·국민적 노예노화奴隸老化는 지구상에 다시없을 것입니다.

 

이 치욕의 세월을 견디고 마침내 이겨내려면 우리 부디 늙지 말아야 합니다. 늙지 않으려면 “새로운 표시의 도전”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새로운 표시의 도전”을 받아들이려면 진실의 경이로움 앞에서 깨어 있어야 합니다. 깨어 있는 사람이 스스로를 깨뜨릴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깨뜨릴 수 있는 사람이 불의한 세상을 깨뜨립니다. 할喝!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5-04-08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 아메리의 책 일고 좀 멍했드랬습니다.
내가 유태인 수용소에 있었더라면 과연 버텨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