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3월28일
오늘의정진: 了卽業障本來空/요즉업장본래공/ 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함이여
- 100일 정진, 93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열세번째와 백 열네번째
구절은
<執指爲月枉施功/집지위월왕시공/손가락을 달로 집착하여 잘못 공부하니
根境塵中虛捏怪/근경진중허날괴/육근, 육경, 육진 가운데서 헛되이 괴이한 짓 하도다
不見一法卽如來/불견일법즉여래/한 법도 볼 수 없음이 곧 여래이니
方得名爲觀自在/방득명위관자재/마침내 이름하여 관자재라 하는구나> 였다.
영가현각스님은 비록 8살
어린나이에 출가를 했지만 지극한 효심을 지녔었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스님은 장성하였고 홀로 남은 어머니와
누님을 자신이 수행하던 개원사(開元寺)로 모셔와 봉양을 하였다. 당시 절에 함께 수행하던 스님들과 대중들은 영사스님의 이러한 행위를 비방하였다. 지금의 관념으로도 출가한 스님이 세속의 연을 끊지 못하고 속가의 가족을 절에다 들인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다. 그러나 영가스님은 아랑곳하지 않고 절의 한 구석에 공간을 마련하여 어머니와 누님을 모셨다. 영가스님은 출가를 했으나 속가와의 연(緣)을 끊지 않았다. 또 그렇다고 환속을 하지도 않았다. 스님의 이러한 모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스님이라면 반드시 세속과의
정을 끊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난 것이다. 그는 ‘스님’ 이라는 이름에 얽매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영가스님에게 깨달음은 어떠한
의미였을까?
오늘은 백 열 다섯번째와 백 열 여섯번째 구절
了卽業障本來空/요즉업장본래공/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함이여
未了還須償宿債/미료환상숙채/마치지 못하면 도리어 묵은 빚 갚아야 하니
飢逢王膳不能飡/기봉왕선불능선/굶다가 임금 수라 만나도 먹을 수 없으니
病遇醫王爭得差/병우의왕쟁득차/병들어 의왕 만난들 어찌 나을 수 있으랴
옷깃만 스쳐도 인연(因緣)이라고 했다. 부처님께서도 정각을 한 후 하신 설법이 12연기(緣起)였다. 나의 현재는 과거로 부터 왔고, 미래는 나의 현재로 부터 이어진다. 과거, 현재, 미래는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 인연은 갑자기 맺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현생에서 만나는 인연들은 먼, 어쩌면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 보다 더욱 머나먼 과거로 부터 이어져 지금
현생까지 온 것이다.
현재 나의 인연 중에 가장 깊고
중요한 인연은 누구보다도 부모 형제와 같은 친속들이 아닐까?
그렇다면 스님이라는 이름에 걸리지
않고 속가의 모친과 누님을 봉양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스님은 위로는 불법을 구해야 했지만
아래로는 묵은 빛을 갚아야 했다. 불법을 배우는 목적이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 즉 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비추어 보면 스님은 자신만의 불법을 실천한 것이다. 깨달음을 위해 가족을 버려야 하는 출가승이긴 하지만 정작 깨달음을 얻은 후 누구를 구원할 것인가? 깨닫지 못하면 오히려 업장만 쌓이고, 갚아야 할 빚만 늘어난다. 이는 마치 굶어서 임금의 수라상을 만나도 먹을 수가 없고, 병들어서
의왕을 만났어도 고칠 수 없는 상황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깨달음은 누구를 위한
것일까?
<일일 소견>
인연의 묵은 빚은 어떻게 갚아야
할까?
깨달음이란 거창한 이름을 떠나
내 곁의 소중한 인연들을 저버리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