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3월16일
오늘의 정진: 心是根法是塵/ 심시근법시진/ 마음은 뿌리요 법은 티끌이니
- 100일 정진, 81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여든 아홉 번째와 아흔
번째 구절은
<眞不立妄本空/ 진불립망본공/ 참됨도 서지 못하고 망도 본래 공함이여
有無俱遣不空空/ 유무구견불공공/ 있음과 없을 다 버리니 공하지 않고 공하도다.
二十空門元不着/이십공문원불착/ 이십공문에 원래 집착하지 않으니
一性如來體自同/일성여래체자동/ 한 성품 여래의 본체와 저절로 같도다> 였다.
금강경(金剛經)은 공(空)에 관한 경(經)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금강경에는 ‘공(空)’이란 글자는 한 글자도 나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강경이 ‘공’을 설(說)한 경임을 부인하는
불자(佛子)는 아무도 없다.
공을 설하면서 공을 쓰지 않는 경, 그것이 금강경이다. 금강경은
대반야경이라는 대승경전에 속하는 경이다. 우리가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르는 대장경에서 반야경의 분량은3분의 1을 차지한다. 그
방대한 반야경의 내용을 핵심만 추려서 260자로 압축한 경이 바로 반야심경이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이란
반야심경의 구절처럼 사실 공은 단순하지 않다. 반야경에서는 공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나오는데 공은 사실
하나가 아니다. 내공, 외공에서 부터 공공, 대공, 승의공, 유위공, 무위공을 거쳐 무성공, 자성공, 무성자성공에
이르기까지 공에 대하여 모두 20가지로 세세하게 관찰하고 분류했다. 빌
공(空)은 텅 비웠다고 표현하지만, 텅 비었다는 그 상태가 상황에 따라 각각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공은
텅 빈 충만함이라고 했었다. 그 비어 있는 곳에 충만함에 따라 공에 들어 가는 문도 달라지는 것이다. 증도가에서는 반야경에 나오는 이십공문(二十空門)이나 되는 공에 대한 견해도 집착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오늘은 아흔 한 번째와 아흔 두 번째 구절
心是根法是塵/ 심시근법시진/마음은 뿌리요 법은 티끌이니
兩種猶如鏡上痕/ 양종유여경상흔/둘은 거울 위의 흔적과 같음이라
痕垢盡除光始現/흔구진제광시현/흔적인 때 다하면 빛이 비로소 나타나고
心法雙亡性卽眞/심법쌍망성즉진/마음과 법 둘 다 없어지면 성품이 곧 참되 도다.
우리는 마음을 볼 수 없다. 그렇다고 마음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마음은 언제나 나와 함께
하고 있지만 나는 항상 마음을 놓치고 산다. 그렇다. 우리가
숨을 쉬고 있지만 숨을 항상 의식하며 쉬는 것이 아니듯 마음도 항상 우리와 함께 하고 있지만 늘 인식하지 못하며 살고 있다. 나무의 뿌리가 흙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뿌리가 있음을 우리는 안다. 마음도 나무 뿌리와 같다. 우리의 참 성품은 흙에 가려진 나무 뿌리와 같다.
나무는 뿌리가 있기에 땅 위에서 자라서 가지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한다. 나의 참된
성품도 그와 같다. 내 마음의 뿌리가 곧 부처의 성품이다.
우리에게 부처의 성품이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하는 것은 내 마음에 뿌리가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하는 것과 같다. 부처의 성품은
곧 내 마음의 뿌리이다. 그러니 우리는 부처가 될 수 있음을 믿어야 한다.
다만 시간이 조금 걸릴 뿐이다. (우주의 시간으로...)
<일일 소견>
내 마음의 뿌리를 믿는다면 부처가
될 수 있을까요? 여시(如是)! 진실로 믿는다면, 그런데 진실한 믿음을 그대는 어떻게 증명할 수 있겠느냐? 백척간두진일보(百尺竿頭進一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