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3월10일
오늘의정진: 不離當處常湛然/ 불리당처상담연/ 지금 있는 곳을 떠나지 않고 항상 담연(즐기는)하니
- 100일 정진, 75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일흔 일곱 번째와 일흔
여덟 번째 구절은
<一切數句非數句/ 일체수구비수구/ 일체의 수구와 수구 아님이여
與吾靈覺何交涉 / 여어영각하오섭 / 나의 신령한 깨침과 무슨 상관 있을 건가
不可毁不可讚/ 불가훼불가찬/ 훼방도 할 수 없고 칭찬도 할 수 없음이니
體若虛空勿涯岸 /체약허공물애안/ 본체가 허공과 같아서 한계가 없도다> 였다.
강을 건넜다면 배는 더 이상 타지 않아도 된다.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했다면 그동안 도를 닦는데 필요했던 수구(數句)와 비수구(非數句) 같은 개념도 이제는 더 이상 필요가 없다. 그 또한 방편에
지나지 않았다. 여태껏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썼던 모든 수행법이 사실은 다 방편이었다. 방편이 좋았다 나빴다 평가하고 분별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깨달은 이의 할 일이 아니다. 그러나 배가 없이 어찌 강을 건너고 수행 없이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을까? 방편이라고
하지만 그 또한 법이며 도가 아닐까?
오늘은 일흔 아홉 번째와 여든 번째 구절
不離當處常湛然/ 불리당처상담연/ 지금 있는 곳을 떠나지 않고 항상 담연하니
覓卽知君不可見 / 멱즉지군불가견 / 찾은 즉 그대는 보지 못함을 알겠노라
取不得捨不得/ 취불득사불득/ 가질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으니
不可得中只麽得 /불가득중지마득/ 얻을 수 없는 가운데 이렇게 얻을 뿐이로다
담연(湛然)이란 맑고 청정하다는 뜻과 평안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진리는 항상 나를 떠나서 있지
않는다.
지금 내가 있는 자리가 진리의
자리이다. 그래서 선지식들 께서는 나 이외의 다른 곳 찾아 헤매지 말라고 경책하셨다.
이에 관련된 어느 선사의 탐춘(探春) 이란 시(詩)가 있다.
<盡日尋春不見春 (진일심춘불견춘)-하루 종일 봄을 찾아다녔어도
봄을 보지 못하고
芒鞋遍踏朧頭雲 (망혜편답롱두운)- 신발이 다 닳도록
언덕 위의 구름 따라다녔네.
歸來偶過梅花下 (귀래우과매화하)- 이제 돌아와 우연히
매화나무 밑을 지나는데
春在枝頭已十分 (춘재지두이십분)- 봄은 이미 매화가지
위에 한껏 와 있었구나.>
나는 늘 분별 망상에 가려져 있다. 분별과 망상심은 언제나 항상 나의 마음에 꽉 차 있어 내 눈을 가리고, 귀를
막고, 입으로는 내 본 뜻과는 전혀 상관도 없는 소리를 뱉고 야 만다.
어찌 이럴 수가 있는가? 사실이 그렇다. 어리석음을 자각하게 된다면 마음을 우선 쉬어야 한다. 내 안에서 나를 흔드는 분별심과 망상심에 끄달리지 말고, 밖으로
허덕이지 말며, 그저 나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보지 못하는
가운데 볼 수 있고, 가질 수 없는 가운데 가지게 되고, 얻을
수 없는 가운데 얻는 도리가 생긴다.
<일일 소견>
스스로가 어리석다는 것부터 아는
것, 담연의 출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