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3월7일
오늘의정진: 一月普現一切水/ 일월보현일체수/ 한 달이 모든 물에 두루 나타나고
- 100일 정진, 72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일흔 한 번 째와 일흔 두 번째 구절은
<雪山肥膩更無雜/ 설산비니갱무잡 / 설산의 비니초 다시 잡됨이 없어
純出醍醐我常納 / 순출제호아상납 / 순수한 제호를 내니 나 항상 받는도다.
一性圓通一切性/ 일성원통일체성/ 한 성품이 뚜렷하게 모든 성품에 통하고
一法徧含一切法 / 일법편함일체법/ 한 법이 두루하여 모든 법을 포함하나니> 였다.
제호관정(醍醐灌顶tí hú guàn dǐng) 이란 성어(成語)가 있다.
제호는 어제 언급했다시피 희말라야에서
자라는 비니초를 먹은 소(牛)에서 나온 젖이 원료다.
즉 우유(牛乳)란 말이다.
이 신성한 우유는 마치 성수(聖水)와도 같다.
관정은 본래 불교의 한 종파인
밀교(密敎)계통에서 행해지는 의식으로 알려져 있다. 제자가 스승에게 귀의 하면 스승은 제자의 머리에 물을 뿌린다. 이러한 밀교의 입문식을 관정이라고 한다.
관정을 하는 의미는 '일체 중생에게 본래 갖추어진 불성이 부처님과 스승의 가피로 있는 그대로 드러나라' 는 염원이
담겨 있다. 제호관정은 관정의식에 사용하는 성수 대신
제호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제호관정이란 관정을 받는 사람이 부처와 같은 깨달음을 얻게 되리라는 희망이 담겨 있다. 굳이
꼭 깨달음이 아니더라도 평범한 사람이 관정을 받고 아주 빛나는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는 뜻도 된다.
관정의식을 언급하니 기독교 의식중에 세례(洗禮)의식과 상당히 비슷하지 않나 싶다. 세례는 물을 통해 죄를 씻고 영혼의 정화를 상징한다. 관정은 내
안에 본래 있는 불성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신성한 물로 인간의 영혼을 정화를 시키고 각성한다는 의미에서는 서로 통하는 면이 있다고 생각된다.
오늘은 일흔 세 번 째와 일흔 네 번째 구절
一月普現一切水/ 일월보현일체수/ 한 달이 모든 물에 두루 나타나고
一切水月一月攝 / 일체수월일월섭 / 모든 물의 달을 한 달이 포섭하도다.
諸佛法身入我性/ 제불법신입아성/ 모든 부처님의 법신이 나의 성품에 들어오고
我性還共如來合 / 아성환공여래합/ 나의 성품이 다시 함께 여래와 합치하도다
하나의 달이 수 없이 많은 강물에
비춰진다.
강물에 비춘 달들은 모두 하늘에
떠있는 달이 본체이다.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라.
부처의 법신이 나의 성품에서 나왔고, 나의 성품이 바로 부처이다.
성품이 각각 다르다 하지만 본래
성품은 하나.
세상은 본래 화엄(華嚴)세상이다.
두두물물 부처 아님이 없다.
<일일 소견>
관정과 세례는 서로 다른 종교 의식이지만 그 본질을 구하는 점은
놀랍도록 같다.
그런데도 종교의 참 뜻이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