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드비히 B.
데즈카 오사무 지음, 조민경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제목: 루드비히 B.

지은이:  데즈카 오사무

 : 돌아온 아톰과 돌아오지 않을 루드비히 B.


나의 세대에서 '아톰'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다.

국민학교 다니던 시절, 텔레비젼에서 방영했던 아톰은 우리 초딩들에게는 희망이자 꿈이었다. 

"번개 주먹 번쩍이며~랄라라, 용감하게 싸우는~랄라라, 돌아온 아톰~아톰,돌아온 아톰!"

저녁 시간, 동생과 함께 텔레비젼 앞에 모여서 아톰 주제가를 따라 부르며 흥분했던 그 기억들...

자그맣고 귀여운 외모에 감춰진 엄청난 힘, 그리고 무지하게 덩지가 큰 로봇들을 상대로 이리저리 날아다니면서 싸우는 모습은 그 당시 우리에겐 아톰은 영웅이었다.

아톰의 라이벌 이었던 형 아틀라스와의 대결, 그리고 10만 마력의 아톰이 100만 마력의 프루트와 대결을 벌이는 에피소드는 지금도 기억난다.

(아주 훗날 도리야마 아키라(1955~2024) <드래곤 볼>을 보면 전투력 설정이 나오는데 프리저의 전투력 53만 이란 수치가 이걸 참조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리고 어린이날 선물로 아톰 장난감을 받았던 것은 나에게는 최고의 선물이었다.

훗날 아톰이 우리나라 만화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듣고 나의 동심(童心)은 파괴되었다.

아톰 뿐만 아니라 70~80년대 방송에서 방영했던 대부분의 만화가 일본 만화 였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했었다.

내가 중학교에 다닐 때가 되서야 우리의 국산 만화들이 방영 되기 시작했다.

88서울 올림픽 즈음 하여 '달려라 하니, 떠돌이 까치, 머털 도사, 아기 공룡 둘리' 같은 만화가 방영 된 것이다.

어쨌든 내 동심을 파괴 했던 충격적인 추억이었지만 지금도 아톰은 내 어린 시절의 소중한 추억을 남긴 만화인 것은 변함이 없다. 


아톰의 원작자는 일본 만화계에선 만화의 신이라 불리는 '데즈카 오사무(手冢治虫 Osanmu Tezuka 1928~1989)  란 작가이다.

나중에 확인해 보니 그의 작품은 아톰외에도 '사파이어 왕자' 라는 남장 여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과 디즈니 만화 라이언 킹의 모티브가 된 '밀림의 왕자 레오' 같은 작품등이 국내 T.V에서 방영 되었었다.


이번에 읽은 책은 <루드비히 B.>는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가 그린 악성(樂聖)'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에 대한 만화이다.

오늘날 우리는 보통 베토벤을 지칭할 때 그냥 통상적으로 '베토벤' 으로 부른다.

베토벤, 그 이름 하나에 그에 대한 모든 것을 함축적으로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베토벤은 성()이다. 그의 이름은 '베토벤' 앞에 붙여진 '루드비히' 가 된다.

이번 데즈카의 작품에선 '베토벤' 이라는 성으로 불려지기 보다는 이름인 '루드비히' 로 불려지는데  그 이름이 가장 중요한 소재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품의 제목이 '루드비히 B.' 인 것 이다.

작품에서는  '루드비히' 이란 이름 때문에 베토벤과 적대적 관계가 된 '프란츠 크로이츠 슈타인' 이란 귀족이 등장한다.

프란츠 크로이츠 슈타인은 루드비히를 평생 괴롭히는 악인인 동시에 사실상 주인공급 으로 캐릭터에 대한 입체적 당위성을 작가는 잘 살려 냈다고 본다.

작품은 평민 루드비히와 귀족 프란츠 간의 대립과 갈등이 만화의 중요한 맥락을 형성한다.

또한 베토벤에게 음악가로서 평생 고통을 주었던 청각 상실의 원인이 프란츠로 인해 벌어진 것이라는 작가의 해석은 흥미롭다.

이런 설정은 만화 작가의 상상이기 때문에 가능한 설정이라 생각 된다.

그리고 평민 출신인 베토벤이 귀족들에게 굽신거리지 않고 당당하게 자신의 음악을 만드는 호기로움도 주목할 만 하다.

베토벤의 탄생에서 부터 실제 역사의 순간 마다 발생했던 에피소드 위주로 역사적 사실과 만화적 상상이 잘 조화롭게 그려졌다.

특히 음악 소리가 표현이 되지 않는 지면(紙面)의 한계를 만화적으로 재해석하여 독자가 그림을 통해 소리를 상상하게 만드는 장면들은 정말 감탄할 만하다.

특히 베토벤의 피아노 월광 소나타나 전원 교향곡 같은 작품을 만화로도 충분히 표현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각을 통해 청각을 이해하게 하는 작가의 역량을 보면 역시 만화의 신이란 호칭이 절로 나온다.





명불허전(名不虛傳)! 과연 만화의 신이라는 칭호가 결코 허언이 아니였던 것이다.

이렇게 재미있는 작품이라 생각 했는데 너무나 황당하게도 마지막에는 그냥 미완으로 끝나버린다.

작가는 이 작품을 1987 6월에서 1989 2월까지  <코믹톰>이라는 잡지에 연재를 했는데 2 9일에 갑작스레 서거를 하게 되어 미완으로 절필이 된 것이란다.

작가 나이61,  이 작품이 작가의 마지막 유작(遺作)이 된 것이었다.

아마도 작품의 흐름상 작가는 뒤의 스토리를 충분히 짰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너무도 아쉽게 되어 버렸다.  

, 차라리 보지 않았더라면....

무척 아쉽게 끝을 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참으로 아쉽다.


아톰의 아버지 데즈카 오사무는2차 대전으로 패망한 당시의 일본의 암울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려는 목적으로 만화를 그렸다고 알려졌다.

혹자는 그가 미키 마우스의 아버지 월트 디즈니(1901~1966) 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그들은 전세계 수 많은 어린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 떠났다는 것이다

어쩌면 데즈카는 루드비히를 통해 또 한번의 희망과 용기를 보여 주려 했을 것이라 나는 믿고 싶다.

이제 미완을 통해 완성으로 나아가는 희망을 내 마음 속에다 홀로 그려 넣어야 겠다.




루드비히! 루드비히 반 베토벤이라...네가 내 눈에 든 것은 운이 나빴어...
방금 전에 너라는 인간은 내 평생의 적이 되었어.
오늘 부터 생판 남이 아니야. - P61

음악은 인간 모두의 것이에요.
귀족만의 것이 아니라고요. 음악가도 귀족의 하인이 아니에요.
저는 .... 살아 았는 동안 반드시
제 음악 앞에 귀족을 무릎 꿇게 만들 겠어요! - P131

나는 언젠가 이 <환희의 송가>를 전부 작곡하겠어.
그래. 나의 최고의 걸작으로 만들 거야. - P189

<이 인생에 불별의 존재는 없지만 당신에 대한 제 마음은 결코 변치 않을 것입니다. 루이 베토벤> - P4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