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 그런 나는 없다
홍창성 지음 / 김영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얇다. 디자인도 깔끔하다.

불교의 핵심 진리인 '무아'에 대한 책이다. 제목도 '무아' 라는 뜻에 걸맞게 하얀 바탕에 드러나지 않는 음각으로 인쇄가 되어있다.

이책의 흥미로운점은 불교라고 해서 어려운 한문풀이나 구구절절 고리타분한 교리에 관한 내용이 아니다. 요즘 세대들도 쉽게 읽을수 있는 문체로 되어있어 편하게 볼수 있다. 철학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볼만한 책이다.

이책에서는 먼저 '나는 누구인가?' 라는 궁극적인 철학적인 질문에서부터 문제를 제기한다. 이 질문이 과연 타당한것인가? 라는 작가의 견해가 흥미를 끈다.

이후 기독교의 '영혼'과 소위 '나' 라고 일컫는 실체에 대해 파헤쳐본다.

파헤치는 도구는 언어철학, 불교의 연기론, 근대 데카르트의 서양 철학등을 동원한다.

그리고는 비교와 분석을 통해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무아를 역설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작가의 철학적인 분석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의도는 충분히 볼만하다.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고난 후 몇가지 아쉬움이 사라지지 않는다.

먼저 작가가 강조하는 '무아' 는 글자 그대로 '내가 없다'는 무기공(無記空)에 치우친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왜냐하면 작가는 '참나'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참나' 라는것은 힌두교의 '아트만'과 같은것으로 간주했고, 작가의 시각으로 보는 일부 불교계에서 주장하는 '참나' 라는것은 부처님께서 설한 '무아' 와는 위배가 된다는 것이다.

이게 왜 아쉽냐면은 작가는 무아에 대한 단순히 평면적인 해석(내가 없다)을 한것이 아닌가 싶었다.

대행 큰스님께서는 무아에 대한 개념에 대해 '나를 무엇이다' 라고 딱 '나' 라고 고정할수 없어서 '무아'라고 설하셨다. 즉 '고정됨이 없는데 어찌 나 라고 세울수 있는가?' 하셨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무아' 라는것은 단순히 내가 없다는 개념이 아니라 '에고로서의 나' 를 없애면 자연히 참성품이 드러난다는 것 까지 포함된것 일것이다.

참성품은 곧 부처님께서 설법하신 법화경에서의 우리 모두에게 내재되어 있는 '불성' 인것이다. 작가가 '참나'를 인정 하지 않겠다면 '불성'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인지? 그점이 모호하다.

만약 '불성'도 없는것이고 다 '무아' 라고 한다면 부처님께서 설하신 '누구나 다 불성이 있고 부처가 될수 있다' 는 법화경의 설법은 무엇이란 말인가?

조주선사의 선문답, 개에게도 불성(性)이 있습니까? 에 대한 대답 '무()' 라고 한것 처럼, 우리의 불성도 '무' 라고 받아 들여야 하는건지?

책에서는 정작 중요한 불성과 마음에 대한 언급은 전혀없다.

또한 부처님 열반시 '법등명(燈明) 자등명(燈明)' 하라는 부촉(咐囑)을 남기신것은 불자라면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여기서 자등명 즉 '자신을 등불 삼아 밝히는것' 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된다는 것인지? '무아' 이므로 '밝혀야할 나' 는 없게 되는것인가?

이처럼 작가의 무아론을 확대하면 단순하고 피상적인 철학적 논리로는 부족해서 좀더 해설이 필요하지 않았나 싶었다.

더구나 책에서 마지막 해설중에 진제(참된 진리)라는 면에서는 무아가 맞지만 속제(세속적인 진리)라는 면에선 '실용적인 나' 의 일면도 존재한다고 인정했다. 이것으로 작가 나름의 결론인지 제안인지 모호한 설명을 내놓은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나' 라는 존재에 대해서 작가가 일관되게 주장해온 '무아' 와 함께 어설픈 절충안을 내놓은것 같은 느낌마저 들었다.

불교는 수행의 종교이자 실천의 종교이다.

분명 불교가 철학적인 면이 있는건 사실이지만 목적은 마음의 불성을 깨닫고 부처가 되고 자유인이 되는데 있다. 또한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한다)' 이라 하지 않던가?

불교는 분명히 서양 철학식의 분석과 비교로 배우고 깨닫는 종교가 아니라고 본다.

게다가 불교 또한 종교이기 때문에 믿음을 기본적으로 가져야 된다.

더구나 그 믿음이 절대자를 향하는게 아니라 자신 자신에 대한 믿음, 즉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자기불성에 대한 믿음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철학적으로 '무아'가 이치에 맞는다 하더라도 마음으로서 믿음과 수행이 깔려있지 않는다면 '사상누각(沙上樓閣)' 이 되는게 아닐까 싶다.

이책의 작가' 홍창성' 은 현재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학의 철학과 교수님이시다.

작가가 주장하는 진리는 신비한 무언가가 아니고 오히려 단순하다는 명쾌함은 동의를 하지만 <무아가 곧 깨달음이고 행복이요 자유>라는 불성을 배제한 '무아만능론' 에 가까운 주장에 대해서는 납득이 잘 안간다.

철학과 교수님답게 서양철학으로 불교 철학을 해석하신점은 탄복하지만 마음을 떠난 믿음과 수행이 바탕이 되지않은 문자 논박에 치우친점은 많이 아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나들이 2023-10-04 0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핵심적인 사항을 잘 배웠습니다. 수준높은 글입니다. 초심자에게 배움을 주시니, 매우 감사드립니다.

마힐 2023-10-09 11:07   좋아요 0 | URL
저도 아직 배우는 중입니다.부족한글에서 배우셨다니 저도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