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십, 고전에서 역사를 읽다 - 삶의 변곡점에 선 사람들을 위한 색다른 고전 읽기
최봉수 지음 / 가디언 / 2022년 4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3/pimg_775285294341133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3/pimg_7752852943411339.gif)
고전은 읽고 싶지만 어려워서 접근하기 힘든 이들에게, 삶의 전환점에서 더욱 중심을 잡고 자신을 지켜야 할 이들에게, 호흡을 가다듬을 수 있는 여유와 함께 앞으로 걸어가야 할 이들에게 권하는 역사 고전이다.
이 책엔 평소 어렵게 느껴서 쉽게 다가가지 못했던 고전들이 담겼고 그래서 걱정을 좀 했는데 읽어보니 굉장히 잘 엮어낸 책이다.
내가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이렇게 재밌게 줄줄 읽은 게 오랜만이다. 스피드한 서술이 마음에 든다.
♡ 역사 사이사이를 순간접착제로 착착 이어주고 붙여주는 느낌이라면 이 느낌이 잘 전해지려나~^^
트로이 전쟁, 마라톤 전투, 살라미스 해전 등 교과서에 실린 세계사 이후로 진득하게 만난 적이 없기도 했다. 원래 잘 모르던 분야이기도 해서 오히려 더 재밌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늘 어렵게 느끼던 그리스 로마 신화와 유럽 전쟁사를 비롯해 동양 고전들까지 읽을 엄두를 못 내던 고전 중에 고전인데 처음으로 술술 읽혀서 신기할 정도였다. 앞으로 다른 책을 읽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유발 하라리의 대담한 작전이나 극한의 경험 같은 책을 이젠 읽어보고 싶어졌다.
1부 내 맘대로 읽는 서양 고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3/pimg_7752852943411340.jpg)
<알쓸신잡 3>를 함께 보며 이 책을 읽었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건축, 문화, 예술, 역사, 과학의 총체를 눈으로 보면서 한층 가까이 책을 느낄 수 있었다. 아테네 신전을 뒤로 두고 나누는 얘기들과 책의 내용이 절묘하게 맞아서 그리스를 여행하는 기분이었고 영상미를 이기는 책의 위트 있는 서술이 인상적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3/pimg_7752852943411341.gif)
고전을 읽는 이유
고전이라고 하면 까마득한 옛이야기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간은 저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인생을 되풀이한다.
역사는 반복된다. 지금 일어나는 일들은 옛 선배들이 모두 겪었던 일들의 변주이자 반복이다. 그래서 우리는 고전을 통해 되풀이되는 역사와 사람들의 발자취를 더듬을 수 있다.
고전을 펼쳐 그 안으로 들어가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삶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동서와 고금의 차이가 없다. 또한 같은 인물, 같은 사건, 같은 이야기, 같은 문장이라도 읽을 때마다 다른 느낌, 다른 상상으로 그려지는 것 또한 고전의 힘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시작으로 수천 년에 걸쳐 동서의 역사를 가로지르는 13권의 고전과 그에 얽힌 역사적 이야기를 전한다. 특히 고전을 집필한 각 저자의 ‘의도’에 주목하며, 이 의도를 알아가는 것이 바로 고전을 읽는 독자가 느껴야 할 재미라고 강조한 것이 이해되었다.
시작, 분노, 귀향, 운명, 결벽, 마음, 시비, 리셋, 가지 않는 길, 선택, 세월, 명분과 실존, 큐빅 맞추기의 13개 키워드로 독자의 눈높이에서 공감을 이끄는 책이고 그 안내가 매우 도움이 되었다.
1부 서양 고전을 읽은 이후에 문화 역사적 배경을 조금 더 알고 났더니 세상의 많은 재화와 건물의 이름들이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왔음이 보인다. 또 단테의 신곡을 제대로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513/pimg_7752852943411342.jpg)
2부 내 맘대로 읽는 동양 고전
우리의 교육은 서양 교육을 따르고 있고 서양 사상과 철학이 학습되어서인지 오히려 동양 고전이 멀고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의 스피드한 정리와 중간 중간 위트 있는 자자의 비유 글이 역사나 고전에 대한 무게감을 싹 잊게 해주면서 술술 읽히니 재밌어서 놀랐다. 관련 책들을 제대로 읽자고 치면 [사기]만 해도 엄청나지 않던가. 게다가 열국지, 초한지, 삼국지, 삼국사기, 일본서기 까지 몇 천 년을 아우르는 책으로 추천해 본다.
책 제목에 오십이라는 나이가 들어가서 한정적인 선택을 받을까 봐 걱정될 만큼 수험생 및 누구나 읽어도 괜찮을 책이라는 생각이다. 걱정보다 참 재밌고 잘 읽히는 것은 저자의 통찰과 글의 능력치인 것 같다.
읽고 싶은 책은 많고 닥치는 대로 읽다 보면 난잡해지고 휘발된다. 그래서 잘 정리된 이정표가 있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13개의 키워드로 갈림길을 나눠주고 있어서 특별히 눈에 들어오기도 했지만 소장하고 싶은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지원 받은 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