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파랑 - 2019년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
천선란 지음 / 허블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 책을 읽은 독자들과 만나서

 정말 많은 얘기를 나누고 싶어지는 책이다.

천선란의 < 무너진 다리>를 읽느라 밥 먹는 것도 잊었었던 작년 가을이 생각난다.

마지막장을 덮기 전 눈물이 흘렀고 먹먹함을 견뎌야 해서

 블로그 글을 여러차례 쓰게 되었고, 애장도서로 자주 되내인다.

그리고 지금​

무너진 다리가 좀 더 먼 미래라면

 그리 멀지않은 2035년의 미래인 <천개의 파랑>을 읽은

나의 마지막 소감을 먼저 얘기한다면 나는 또다시 먹먹했고 역시 울었다.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그려내고,

휴머노이드인 기계인간을 더 인간적으로 그려내며

책을 내려 놓지 못하게 하는 천선란이다.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이라는 수상이력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손내미는 작가님이다.
읽으며 휘갈기듯 써놓은 메모지엔 놓치기 싫은 감정의 파랑들로 가득하다.

그것은 천개의 단어를 통해 학습하고

언어를 구상할 수 있는 콜리가 만들어낸 파랑들이다.



보통 소설이 시작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주인공에게

 내 감정을 이입할 준비를 마치고, 응원하게 된다.

이 책이 특별 했던 것은 등장인물 모두에게 깊이 다가가게 한다는 것.



나는 경마장의 로봇 기수인 콜리를 응원하기 시작했고,

마사 관리인 민주, 수의사 복희에게도 그랬다.

 이야기의 시작인 경마말 투데이는 말 할것도 없었고,

연재, 은혜, 보경, 수지,편의점 주인까지도 다 나와 동일시 했다.

그렇게 2035년의 한국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
과학소설이지만 현실 괴리감이 전혀 없었다.

 미래 과학기술이 주는 막연한 두려움의 실체를 보경을 통해 대신 느꼈고,

 연재,은혜,수지,콜리를 통해 희망을 느낀다.

3%의 살수 있는 가능성이던 보경은

 소방관의 3%를 믿는 희망으로 살았고,

 80%의 안전 가능성은 소방관의 죽음을 설명하지 못했다.

남편이고 은혜와 은재의 아빠이던 소방관의 부재는

가족에게 가장 큰 상실이고 채울 수 없는 싱크홀이었다.

절망, 포기의 순간에 인간에게 희망의 불씨를 지피는 AI 로봇 콜리를

 꼭 만나고 콜리의 질문들과 인간의 답을 들어보길 바란다.

콜리가 선택했다는 것을, 그 누구도 모른채 마무리 되면서

콜리와 독자간의 비밀이 형성된다.

그래서 더 먹먹할 수 밖에 없었다.

콜리는 무엇을 선택한 것일까? 먹먹해진다.


​기수는 휴머노이드로 대체되었는데, 인간의 내기승부를 위한 말은 왜 그대로인가?

말 혼자 달리지 않는 이유? 사람과의 교감으로 달라지는 말이 달리는 속도는,

콜리와 투데이의 교감이 사람 이상이라서 더 감동스럽다.

저자는 휴머노이드에게 인간성을 입히는 것에 굉장히 능하고

 감동을 준다는 것을 <무너진 다리>로 이미 알고 있었지만,

 또 한번 기대이상 이다.

다른 방법이 있음에도 무턱대고 바뀌어가는 휴머노이드와 사이보그 신체,

부족해도 극복할 수 있음을 값싸게 만들고 무능역으로 만든 경제관념의 무분별을 꼬집는다.

 

빨리 달려야만 했던 투데이에게

천천리 달리는 법을 훈련시켜야 했다

혼자 견디던 사람들에게도 함께 하며

아픔을 딛고 일어서야 한다는 것을

콜리가 남겼다.




'콜리​'

타인의 고통을 읽을 줄 아는 콜리

행복이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는 콜리

인간이 잃어 버린 것을 찾아 주는 콜리

아무것도 대신 할 수 없었던 빈자리를 채워주는 콜리


'투데이​'

오늘을 살아내는 것이 내일을 살 수 있게 한다는

작가의 의도를 숨긴 말의 이름일거라 미소 지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