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덕후 사전 2 : 덕후력 강화 - 인류 달 착륙 50주년 특별 기획 우주 덕후 사전 2
이광식 지음 / 들메나무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로그
https://m.blog.naver.com/kih451145/221603047492


이책 우주 덕후란 제목이 참 마음에 든다.
우주 얘기를 덕질이라고 얘기하며 쉽게 접근하고 즐길 거리로 만들어 주는 이 책은
1.2권으로 총 200개의 물음과 답으로 우리를 우주덕후의 세계로 초대한다

우주하면 너무 방대해서 과학자들이나 생각해 볼 지식이라 생각했다. NASA나 카이스트, 과학고 정도는 소속되어야 즐길 수 있는 분야라 생각했다

나는 어린시절 별자리 조금 외워보다가 큰 재미를 느끼지 못했었고, 부자집에서 천체 망윈경을 사 줄 수 있는 환경의 사람들이나 별을 보고자 했다는 것이 내 어린시절 추억이었다.

일반인들은 하늘의 별조차 왜 있는지 깊게 생각해 보지 않는다. 최첨단 시대가 되고 스마트폰이 있고 유흥거리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하늘에 있는 별에 관심을 가지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별을 싫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런 우주 얘기를 덕질이라고 얘기하며 쉽게 접근하고 즐길 거리로 만들어 주는 이 책이 교과서에서 배우던 태양계와 아주 다르게 다가온다.

덕질의 종류는 참 많다. 우리가 흔히 말하던 취미상활에 조금의 집요함과 전문성을 더해서 파고드는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덕질.

그중에도 덕후라고 손 꼽히는 사람들의 전문성은 감히 흉내 낼수 없는 수준이다. 배움으로 다가 가는 지식이 아니라 즐거움으로 다가가는 지식의 폭이 오히려 크고 깊다. 정말 좋아야만 발휘하게 되는 초능력의 경지랄까?
덕질이 직업으로까지 이어진다면 더할나위 없이 행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저자 이광식은 우니나라에서 손꼽히는 우주.천문 과학 분야 저술가이다.
열살 남짓의 소년에게 우주 덕후의 씨앗을 심어준건 스무살 청년이던 큰형이었고 마음에 품었던 그 씨앗을 누군가의 마음에 다시 옮겨주고 싶다고 했다.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50주년을 맞아 우주를 꿈꾸는 사람이란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고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과 특히 청소년들이 우주를 꿈꾸어 주길 희망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우주를 알고 넓은 시야를 가지기를 기대한다.

그러기에 이책은 굉장히 적합한 책이다.
책의 목차만 보더라도 배가 부르고 벅차다.아는만큼 보인다는 진리가 있듯이 이책을 통해 즐겁게 배우고 나면 이 우주 전체가 나를 축복하고 있다는 감동을 받게 될 것이다.


과연 지구의 모래와 우주의 별은 어떤게 더 많을까?
놀랍게도 지표에 있는 모든 모래알 수보다 우주의 별이 더 많다는 천문학자의 계산서가 나와있다.

이쯤에서 모래알보다 많다는 별! 그중에 나의 별하나를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어느때 어느 계절 어느 시간에만 볼 수 있어서 나만이 찾아 낼수 있는 별이 있다면 우주의 매력에 빠지지 않을까? 우주의 별을 개인이 살수 있다면 지금의 부동산 열기를 버금가게 우주에 관심을 가질텐데 하는 생각도 해본다.

사람들에게 아주 강력하게 있는 본능인 소유의 욕구가 발동 된다면 .너도 나도 우주를 지배하고 싶어 할지 모른다. 많은 국가들이 우주를 연구하는 것 역시 이런 소유개념이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테슬라 초고경영자 일론 머스크, 버진 그룹 회장 리처드 브랜슨의 공통점은 어린시절부터 우주 덕후였다는 점이다.

우주를 탐험한 덕분에 그들은 남다른 상상력과 꿈을 갖게 되었고 그것이 놀라운 부를 쌓는 기초가 되었다.

밤하늘에서 맨눈으로 볼수 있는 별은 몇개나 될까?
6등성까지 맨눈으로 관측 가능하니까, 온 하늘에서 1등성 21개, 2등성 48개, 3등성 171개, 4등성 513개, 5등성 1602개, 6등성 4800개로 모두 7100개가 맨눈으로 볼 수 있지만 우리는 하늘의 반만 볼수 있으므로 약 3500개의 별을 볼수 있다.
요즘처럼 불야성을 이루는 대도시라면 1등성 17개 정도만을 볼수 있다고 한다. 빛공해가 심해 우주의 별도 제대로 볼수가 없다니 안타까웠다.

대체 별자리는 누가 만들었을까요?

별자리의 원조는 옛날 중근동 아시아에서 짐승들을 지키기 위해 밤에 잠 안 자고 보초 서던 목동들이다. 한 5천 년 전쯤 양떼를 지키기 위해 드넓은 벌판 한가운데서 밤샘하던 사람들눈에 들어온것은 밤하늘의 별들뿐이었다. 그 별들을 따라 죽죽 선으로 잇다 보니 눈에 익은 꼴이 더러 나오게 되고 염소니 황소니 양이니 하는 짐승들의 이름들이 대세가 되었고, 양치기가 사랑한 처녀자리도 생겨났다,
별자리가 과학자 천문학자에게서 불리워진 것이 아니라는것을 처음 깨달았다.
너무도 낭만적이고 슬프기도 하고 아름다운 개개인의 사람이 서로가 서로에게 전해져 온것이 바로 천문학의 시작인 것이다.

이런식의 간단하지만 모르는 질문 100개가 이책과 함께 한다. 이책을 읽고 우주에 관 100가지의 물음에 간단하게라도 답할 수 있는 정도만 되어도 우리는 우주덕후로 완성되어질 것이다.

그런 과정이 참 재밌게 다가오고 하나를 알고 나니 둘이 궁금해지면서 우주닥후 될 동기를 주고 있다.

이책은 소설처럼 단번에 읽어내는 책은 아니다.
이 글 역시 이 책을 다 읽고 쓴 글이 아니다.
그래 이거 궁금했어 하는 질문부터 읽어가도 좋다. 질문만 읽어 봐도 우리가 우주에 대한 어떤 생각을 해볼수 있는지 정리해 주는것 같아서 좋다. 무엇보다 이 책이 주는 즐거움이 있다는 걸 꼭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