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성 없는 소립자들
전경린 지음 / 섬앤섬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야지 하고 골랐는데, 많은 생각을 불러들인 산문집이다.

이디스 워튼이 초반에 언급되어 있어서 무척 반가웠다. 아무래도 읽는 행위는 사슬같아서 읽다보면 연결되고 연결된다는 것이 매력적이고 즐거운 경험이 된다.
글 중 소개된 허연 시인의 <칠월>이라는 시가 너무 좋아서 연결의 사슬로 시집 한권을 사들였다.

다 읽지 않은 채로 여럿에게 이 책을 권했다.

그러니 새로움이란 얼마나 아픈 것인가. 또 다른 방법을 찾기 위해, 다른 시간으로 건너가기 위해 우리는 늘 깎이고 잘리고 생채기가 나고 자기 상실을 겪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해서 우리는 나이 들어가면서 동시에 새로워지는 중인 것이다. - 작가의 말 중.

미국 여성 작가 이디스 워튼은 삼십 세 이후 여성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은 이십 세기를 바라보는 작가로서 직면했던 도전의 일부였다고 말했습니다. 작가가 된 이후 나 역시 그런 도전 의식을 가졌으며, 여성의 내면적 역사에 관심을 가져왔어요. 정확히 말하면 하나의 시대와 여성적 삶의 구조 속에서 여성의 상황을 살며, 여성의 역할을 하고 여성으로서 대응하고 여성적 고뇌를 하는 인간에 대한 관심이죠. - 17

잔인한 봄인 줄 알면서도, 다시 움직이기 위해, 밭을 갈아엎고 욕망을 깨워 일으켜야 하는 것이다. 욕망이 아니고서는 이 잔인한 삶의 중력을 이기고 다시 가벼워질 방법이 없다. 욕망이란 다름 아닌 자기 안의 능동성이다. - 21

너의 정서에 맞게 결정하렴. 네 인생의 흐름에 맞게, 모든 관계는 예속을 가져오거든. 네가 얻는 만큼 그것에 대해 기여해야 하는 거야. 네가 가진 타인에 대한 용량은 얼마일까. 타인에 대한 너의 의존도는? 타인과의 적정한 간격은? 타인도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탐닉이지. 타인이라는 존재도 알코올이나 도넛만큼 달콤하고 위협적이고 받은 만큼 주고 준 만큰 받아야 하는 갈등을 가져오는 민감한 사안이거든. 더 많은 관계를 갖는 것이 더 나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 중요한 건 삶에 대해 갖는 자기만의 독특한 체계가 아닐까. 난 삶의 형태에 관해 우리가 좀 더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생각해. 그리고 타인에 대해서도. - 65

시간은 찬란하던 기쁨의 빛도 사위게 한다. 삶이 낯선 여자의 생애처럼 점점 객관화되는 기분이다. 그 상실감은 나를 평화롭게 한다. 이젠 좀체 흥분할 일 같은 건 없을 것만 같다. - 96

우리는 자신이 누구인지 기억하지 못한다. 이곳이 저곳인지 알지 못하고 내가 당신인 것을 알지 못하고, 어제가 내일인 것을 알지 못한다. 알지 못하기에, 모래 구멍 집에서 사력을 다해 달아났던 사내는 다시 그 구멍속으로 돌아온다. 삶이란 게 늘 미봉책일 뿐 이렇게도 방법이 없다. - 190

2018. se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몰입
패티 스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마음산책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펀드를 통해 구입한 책이다.
출판 시장의 성장과 다양화를 위해 적극 지지 할 만한 방식이라 여겨진다. 종종 관심있는 책에 펀딩을 하는 것도 재밌겠다. 아마도 초기에 참여해서인지 책에 이름도 작게 실렸다. (자랑입니다)

앞 뒤로 에세이가 있고 중간에 소설이 하나 있는 형식이다.
뮤지션이자 작가이자, 시각예술가, 공연예술가인 저자. 다재다능이라는 말에 내가 느끼고 있는 어떤 감정이 있는데, 아마도 다재하나 다능한지는 잘 모르겠다?는 점.

헌신이라는 소설은 좋다할 수 없는 어떤 점이 있기에- 어린 여성에 대한 성적 착취 부분이다.- 기대 이하가 되어 버렸다.


침묵. 지나치는 자동차들. 덜컹거리는 지하철. 새벽을 부르짖는 새들. 집에 가고 싶어, 나는. 칭얼거린다. 그러나 나는 이미 집에 와 있다. - 49

2018. au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뇌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4
차오위 지음, 오수경 옮김 / 민음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중국의 희곡.

중국의 근대라는 시절을 생각하다보니, 현대의 중국과 경제력, 세계 속의 위치등을 제외하면 과연 무엇이 달라진걸까 싶다.

이 이야기는 그야말로 막장 드라마다. 온갖 불행과 부정이 작품안에 존재하지만, 그런 막장이라는 것은 문학이 피해갈 수 없는 소재라고 생각한다. 뭐 이런... 이라는 생각에 앞서 이미 서양의 고전들도, 아니 현대의 문학들도 온갖 막장 소재를 다루고 있으니까.

자본가 집안과 노동자 집안에 얽힌 가문의 비밀과 사랑 죽음.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것은 하나의 피를 물려받은 로미오와 줄리엣이지만, 그 안에 간과할 수 없는 매력을 보여주는 이가 자본가의 아내 조우판이다. 구식 중국여인이고, 시문을 좋아하지만 야성적인 욕망이 들끓는 사람. 아마도 작가가 가장 공들여 만든 인물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줄리엣인 루쓰펑, 그의 속물적이고 봉건적이며 가부장적 아버지, 슬픔의 역사를 가슴에 품은 어머니, 혁명적 노동자의 현신이 오빠. 로미오 조우핑, 역시 속물적이고 봉건적이며 가부장적 자본가 아버지, 역시 슬픔을 품은 어머니, 순수한 내면을 가지고 있는 동생 조우충.

작가 스스로 평하길 근본적 기쁨과 원시적 생명감을 다뤘다고 하니 그렇게 생각하고 읽는다면 편리하게 이 작품을 흡수 할 수 있다. 스스로 운명을 개척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인간들을 이런 저런 트랩에 넣어 뒤흔드는 이야기라고.
다만 서막과 미성을 넣은 구성은 딱히 신선함 없는 과거의 유물같았다.

이 작품은 나에게나 생경했지 이미 1940년대에 국내에서 공연되었고, 걸출한 연출가들의 손을 거쳤다니, 꽤나 역사안에 확실한 위치가 있는 작품이라 느꼈다. 그리고 작품 해설안에 그 이윤택도 언급이 되어 있어, 새삼 그가 가졌던 “권력”의 힘을 가늠할 수 있는 계기도 된다.(동떨어진 얘기지만 이윤택은 꼭 죄만큼 값을 치루길 바란다.)

어쨌든 재밌게 읽은 중국 근대 희곡은, 지나가고 있는 이 여름 태풍 후 몰려온 ‘뇌우’의 영향으로 읽게 되었다.

얘야, 이 어미한테 딸이라곤 너 하나뿐이다. 내 딸은 이 엠처럼 살아선 안 돼. 사람 마음이란 믿을 수가 없는거야. 사람이 나쁘다는 게 아니라, 너무 나약해서 쉽게 변한다는 거지. - 189

2018. au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의 새가 말하다 2
로버트 매캐먼 지음, 배지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력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앞에 마구 펼쳐진, 나라는 어설픈 물건, - 백년 동안 새로운 노년 중

음미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걸리는 단어가 툭툭 튀어나왔다.

2018. au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