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들을 접시에 담다 - 약이 되는 잡초음식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25
변현단 지음, 안경자 그림 / 들녘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 프로그램중에 맛기행과 관련된 프로그램이었는데, 방랑식객이라고 일컫는 임지호 요리사가 산과 들을 헤메면서 내가 보기에는 잡초와 같은 풀들을 씹어보고는 그 풀들을 망태에 담아서는 어느 민가에 들어가서 살짝 데치기도 하고,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튀기기도 하면서 요리를 만드는 모습을 여러 번 보았다.
내 눈에는 풀에 불과한 그 잡초들이 한 접시의 음식이 되는 것은 "아는만큼 먹을 수 있는 것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했다.
봄이 되면 우리 아파트 근처의 낮은 산에도 쑥을 캐는 아줌마들이 간혹 보인다. 그들이 캐는 것은 쑥이 아닌 다른 풀들인 경우도 때때로 보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나물인지 잡초인지 모르는 풀들이 우리 식탁에 올라 올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책이 '숲과 들을 접시에 담다'이다.

  
이 책의 저자는 방랑식객처럼 산과 들에 있는 풀들을 식탁의 접시 위에 담아 내고 있는 것이다. 그는 연두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곳이 바로 잡초와 자연이 공존하는 자연스런 농사를 실험하는 곳이기도 하다.
연두농장에서는 한방찌꺼기를 모아서 퇴비로 쓰고 천연농약과 비료를 만들어서 농사를 짓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이런 착한 농사법을 하시는 분에 들어오는 지천에 널린 풀들. 그 풀들은 우리의 식탁위에 올라올 수 있는 방법을 이 책에서는 가르쳐 준다.
거기에 화가 '안경자'의 풀들의 세밀화는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아니, 이 풀은 내가 산책길에서 마주치는 그 풀인데...." 하는 생각들이 연방 터져 나온다.
봄이 되면 아파트 화단의 돌 틈새로 보랏빛 얼굴을 내미는 제비꽃. 아주 작은 그 제비꽃의 새 순도 나물이 될 수 있는 것이고, 노란 민들레도, 개망초도, 쇠비름도, 질경이도, 엉겅퀴도  모두 우리 밥상의 착한 반찬으로 변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집은 다른 집보다는 나물을 많이 무쳐 먹는 편이어서, 비름나물이나 유채나물, 드릅나물, 취나물을 즐겨 먹는데, 이런 나물은 너무 보편적인 나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잡초 50가지를 선정하여 그 잡초들의 조리방법, 그리고 약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잡초들은 그 효능과 약으로 먹는 방법, 그리고 차로 마시는 방법 등도 소개된다.   



 
흔히 가을날의 산국 (국화)를 말려서 차로 마시는경우는 있지만, 제비꽃의 꽃, 해바라기의 꽃 등도 좋은 차 재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음식 못 하는 사람들의 특징이 양념을 많이 넣는 것일지도 모르겠는데, 산나물, 잡초나물은 '단순 식재, 단순 조리법, 단순 밥상'을 그 원칙으로 생각하면 좋을 듯 싶다. 그들마다의 향과 맛이 색다르니, 양념은 되도록 적게, 그래야 제 맛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여름이 되면 시립미술관을 가는 길에 주황색 원추리가 너무도 아름답게 핀다. 바람에 살랑살랑 넘실거리는 원추리, 그 원추리도 새 순이 나올 때에 나물로 먹으면 좋다고 한다.


이런 내용의 이야기도 함부로 말하기가 겁이 난다.
한때는 민들레가 몸에 좋다고하니까, 산과 들의 민들레들이 수난을 당했다고 한다.
그리고, 아주 유익한 정보 중의 하나.
여기 저기 지천으로 널려 있는 '꽃다지'
 
  (사진출처: 네이버) 
 
바로 이 '꽃다지'를 나물로 무쳐서 오래 식용하게 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병이 저절로 낫는다는 설이 있다고 하다. 만병통치약이라고 해야할까.
그만큼, 잡초들에는 우리 몸에 좋은 약재와 같은 성분이 들어 있다는 말이겠지.
우리가 직접 산과 들을 돌아다니면서 잡초를 캐고, 새 순을 따서 나물로 먹지는 못할지라도, 가끔씩 재래시장을 둘러보다가 아주머니들이 한 바구니씩 삶아 온 나물들이 있으면 계절의 미각을 맛보기 위해서 구입해서 먹어 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잡초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