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아인슈타인
하인리히 헴메 지음, 김희상 옮김 / 청어람메이트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기적인 천재 과학자인 '아인슈타인'에 관한 위인전은 많이 읽어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대표적인 물리학 이론인 '상대성원리'는 그 공식을 보는 것만으로도 머리가 지끈지끈 할 것이다. 그러나 '친절한 아인슈타인'의 저자인 '하인리히 헴메'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상대성 원리에 접근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래도 복잡한 공식들과 수식들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냥 그것들을 네모칸 안에 가두어(?) 놓고, 상대성 원리에 이르기 까지 많은 발판이 되었던 과학자들의 이야기와 과학 이야기들만 읽어 내려가도 유익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의 저자인 '하인리히 헴메'는 독일출신의 물리학 박사이며 물리학 교수이다. 그러나 그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에 접근하는 방식은 차근차근 아주 작고 쉬운 이야기로부터 시작을 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독자들을 '상대성 원리의 아주 특별한 세계로 초대할' 것이다.
그만큼 1905년에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기존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완전히 뒤집어 놓은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갈릴레오의 지동설이 그당시에 상당한 충격을 주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또한, 상대성이론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아인슈타인 혼자만의 노력이라기보다는 그 이전의 과학자들의 많은 실험과 이론들이 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이야기 중간 중간에 그 이야기와 관련된 과학자들의 생애를 간략하게 다루어 준다.

 
 

상대성이론을 알기 위해서 가장 첫 출발은 '상대'라는 단어를 알기 위한 첫걸음부터 시작된다. '상대'와 '절대'의 차이, '상대'의 의미...
그리고, 속도, 빛, 에테르. 이 모든 설명이 왜 이루어져야 하는지는 책의 내용을 읽어 보면 알게 되는 것이다.
마침내, 6 번째 꼭지에서 '세계를 놀라게 한 젊은 천재의 등장' 아인슈타인'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아인슈타인'하면 흔히들 성적이 나빠서 학업을 중단한 적이 있다는 내용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가 김나지움에 다닐 당시에 담임 선생님과의 심한 갈등을 겪게 되었는데...
아인슈타인이 "잘못한 게 없다." 고 하자, 선생님은 " 네가 있는 것만으로도 반 전체가 꼴도 보기 싫어" 라는 너무도 교사로서의 자질을 의심케하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이후 아인슈타인은 학업을 중단하고, 독일 국적을 포기하고, 유대교 신앙 공동체를 탈퇴하게 된다. 스위스의 취리히로 건너가 연방 폴리테크닉 대학교에 입학하려고 하니, 김나지움 졸업장이 없어서 다시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1년만에 대학 자격인 이비투어를 땄다고 한다.
그런 이야기가 와전이 된 것이 아닐까 한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에 대한 하나의 에피소드에 해당하는 이야기이고, 그의 생애와 과학자로서의 연구와 활약에 대한 이야기는 중간 중간에 다시 연결이 된다.
 
 
이렇듯, '친절한 아인슈타인'은 그의 생애나 연구과정, 상대성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모든 페이지를 다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다른 이야기들과 함께 다루어지는 내용들인 것이다.
그래서,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