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하성란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을 읽은 후의 느낌은 지금까지 내가 어떤 이야기를 읽었는지 안개속을 헤매는 것과 같은 마음이다.
작가가 말하고자하 'A'란 도대체 무엇인가?
책 표지의 노란띠에 적혀 있던

천사(Angel)인가, 아마조네스 (Amazones)인가, 간통 (Adultery)한 자들인가. 비밀스런 집단 A의 꿈과 욕망, 그리고 추락! (책표지 띠 중에서) 
이 중의 하나을 이야기하는 것일까. 아니면 책 뒷부분의 작가의 말 중에 나오는
A 박수갈채를 보내다. A 꼬리없는 원숭이.  A 걱정 혹은 정열. A 날개를 빼앗긴 아르케. A 만물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이 책을 펼치는 당신에게도 감사드린다. 당신에게 A는 무엇일까, 나중에 나중에 듣고 싶다.  (작가의 말 중에서)
이런 말로 작가의 말을 끝맺으니, 독자들이 생각하는 A 란 그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개개인이 이 책을 읽고서 느끼는 그것을 A 라고 칭하는 것일까?
이 책의 작가인 하성란은 섬세한 필치로 이 소설을 써내려 가고 있다. 작품의 모티브가 된 것은 어느해 무덥던 날에 신문의 사회면을 온통 메웠던 오대양 사건이라고 한다. 무슨 이유인지, 왜 그런 죽음을 선택했는지, 아직까지도 명확한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지 않은 사교단체에서 집단 자살이 이루어졌다. 종교적 의미였는지 누군가가 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맨 마지막에 자살을 한 사건이다.

 
이 소설에서도 신신양회라는 시멘트 공장과 관광 상품인 조잡한 인형을 만드는 공예공장을 가진 단체가 함께 숙식을 같이 하면서 단체 생활을 한다.
그 단체의 여인들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아버지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아이들을 낳아서 기르면서 이 곳에서 살아간다. 그들의 자녀들까지도 단체생활을 하게 되는 셈이다. 그 어머니란 인물은 여러해 전에 이곳에 젊은 나이로 흘러 들어온 사람이고, 그 어머니가 주축이 되어서 신신양회는 돌아간다.
어머니의 지나친 욕심이 신신양회를 몰락하게 만들고, 그 몰락의 끝에 24 명의 집단 자살 사건이 일어난다. 그 집단 자살 현장에 있었던 '나'는 이 소설의 화자이다. '나'가 죽음의 현장에서 살아 남을 수 있었던 것은 앞을 못 보는 장님 소녀였기에. 그러나, 눈은 멀었지만 그 상황은 확실하게 머리속에 남아있다.
그들을 죽이고 맨 마지막에 목을 매서 죽은 사람이 그들이 말하는 삼촌이라고 부르는 사람이었다고 하지만,  그것이 아님을 3년후에 뿔뿔이 흩어졌다가 모여서 새로운 신신양회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어렴풋이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 이야기와 함께 이 집단의 아이들 중의 하나였던 영화배우 겸 가수인 김준에게 날아온 편지 봉투위의 주홍글씨 A 가 또 하나의 A 의 정체가 무엇일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해 준다.
주홍글씨 A 라고 하면, 나다니엘 호돈의 작품 '주홍글씨'에 나오는 간통을 의미하는 단어가 아니던가.
그러나, 편지봉투의 A 역시 꼭 간통을 의미하지는 않는 듯하다.
그렇다고, 신신양회의 여인들이 아이 아빠가 누군지도 모르고 낳아서 기르는 아이들에게서 느낄 수 있는 아마조네스의 A 라고 꼭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도 아닌 것이다.
주홍글자 A는 혹시 아마조네스의 A 였을까. 종족을 불리기 위해 자신의 딸들을 많은 남자들에게 선물로 보냈다던 아마조네스 부족처럼. 자신을 닮은 여자 역시 스스로 김준의 선물이 된 건 아닐까. 전설 속 부족인 아마조네스는 아들을 낳으면 남자들에게 돌려 보내고, 딸을 낳으면 자신들이 키웠다고 한다. 아이 아버지에게는 대신 푸른 보석을 보냈다고 한다. 푸른 보석과도 같은 여인들 (P 114)

24명이 집단 자살을 하게 되었던 신신양회의 몰락의 원인이었던 야욕, 그 야욕을 챙기기 위해서 성상납도 서슴치 않았던 그곳의 여인들. 
그리고, 새롭게 다시 재건되는 신신양회가 다시 기태영의 야욕에 휩쓸리면서 몰락의 수순을 밟아 가는 것에서 A 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것일까.
이 소설 속에는 어떤 내용의 문장이 여러 차례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여러 번 나오는 대목이 있다. 그것 역시 작가가 의도적으로 그런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만, 왜 그렇게 여러 차례에 걸쳐서 쓰여지는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의문도 풀리지 않는다.
오대양 사건에서 모티브를 찾았다는 내용을 보고, 사교 집단의 이야기라는 생각으로 읽었지만, 종교적 의미는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24 명의 집단 자살에 대한 원인도, 과정도, 그리고 '나'가 감지한 그 자살 현장의 남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이야기도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는다.
그것 역시 독자들이 알아서 생각해야 하는 것일까?
집단 자살을 한 사람들의 2세들이 새로운 집단 생활을 하면서 그 이유가 조금씩은 밝혀지지만, 명확하게 이것이다. 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는 것이다.
짙은 안개속에서 희미한 물체를 붙잡는 것처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