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 프레젠테이션의 비밀
카민 갤로 지음, 김태훈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가에는 '스티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책들이 여러권 출간되어 있다. 그것은 '스티브 잡스' '세계 최고의 프레젠터'라고 부르는 것과 일맥상통할 것이다. 대중들은 왜 '스티브 잡스'에게 열광하는 것일까? 현재 유튜브에는 그의 동영상이 3만 5천개가 넘게 올라와 있다. 사람들은 아이팟에 열광하고. 맥북에 열광하고. 아이폰에 열광한다. 이것은 단순히 제품의 우수성에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청중을 사로잡는 프레젠테이션. 그가 보여주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은 프레젠테이션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완벽하고 날카로운 그의 일에 대한 열정이나 너무 청중을 의식하는 것과 같은 행동들이  때론 언론의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래도 우리들은 스티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인 것이다. 이 책에서는 커뮤니케이터로서의 잡스를 조명해 보기로 한다. 인간에게 집중 한계시간은 10분이라고 한다. 매 10분마다 청중의 이목을 다시 집중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10분 규칙' 나도 이 리뷰를 너무 길게 써서 읽는데 10분을 넘는다면 외면해 독자들은 외면해 버릴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간결하고 돋보이게 써야 하는데, 아마도 쉽지가 않을 듯 싶다. 이 책의 저자는 '카마인 갈로' 커뮤니케이션 코치로서 '뉴욕타임즈''월스트리트 저널'등에 쓰고 여러 매체에서 비즈니스 관련 연설과 세미나 진행을 맡아보는 사람이기에 그 누구보다도 '스티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 기법을 잘 알고 '잡스'의 기존의 프레젠테이션 발표 등을 사례로 '잡스'의 프페젠테이션의 비밀을 소개해 주고 있다. 여기에서도 '3의 법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때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인 '첫째는... 둘째는.... 세째는..... '이런 류의 방법. 그래서 이 책의 목차도 3막구조를 도입했다. 가장 간결하고 집중력을 요하는 방법이란다.

1막: 이야기를 창조하라.
2막: 경험으로 만들어라.
3막: 다듬고 연습하라.
그리고 프레젠터의 노트 (이것도 잡스의 기법이다. 나중에 한 가지 덧붙이는 것)는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나중엔 이것만으로도 O.K.


  잠깐, 떠오르는 생각. 내가 컴퓨터를 배운 것은 DOS 시대였다. 하나 하나 제시어를 화면에 쳐야만 프로그램을 열 수 있는 그런 시대. 인터넷이 아닌 PC통신이 있었던 시대. 힘겹게 배운 컴퓨터. 그런데, 나날이 발전하여 윈도시대가 되고 이어서 이것 저것 배우다 보니 '파워 포인트'까지 베우게 되었는데, 솔직히 언제 써먹을까 하면서도 열심히 배웠다. 그래서 겨우 2번 정도 사용했는데. 그것도 아들의 숙제를 함께 파워포인트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였다. 그때 어떤 바탕 화면을 할까? 어떤 사진이나 그림을 넣을까? 머릿글은 어떻게 할까? 글씨체는? 색깔은?
그런데, 역시 '스티브 잡스'는 슬라이드를 만드는 것보다는 줄거리(이야기)를 중요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가 있는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는 너무도 간결하다. '140자 이내의 헤드라인 만들기' '3의 법칙' - 슬라이더의 단어와 숫자는 메시지 전달을 위한 단어와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이다. 절제, 단순성, 여백의 미....
혹시 독자들은 '잡스'가 서예를 한다는 것을. 그리고 선불교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바로 여백의 미는 선(禪)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것은 청중의 마음에 와닿을 수 있는 이야기. 5GB 를 표현할 때에 청중들이 가장 잘 알아 들을 수 있는 표현은 무엇일까? '호주머니에 들어가는 1,000곡' 얼마나 멋지고 적확한 표현인가? 마니어를 제외한 일반인들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숫자의 나열은 무의미한 것이다. 구체적이고 생활과 밀접한 , 그리고 상황에 맞는 의미 부여가 청중에게는 훨씬 가까이 와닿는 것이다. 이렇기에 우리는 '스티브 잡스'를 '세계 최고의 프레젠터'라는 찬사로 부르는 것이 아닐까?  '스티브 잡스'는 프레젠테이션을 즐기는 것은 아닐까? 무대에서 연기를 하듯이, 청중들에게 극적인 상황을 찾아서 보여주는 것이다. 자신의 일에 애정과 열정을 가지고....  그러나, 이렇게 쉽게 보이는 스티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 발표도 수 시간의 연습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한다.

거의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탁월함을 추구하는 외고집 (P241)
연습만이 완벽한 발표를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그가 자주 쓰는 말들. '멋지지 않습니까?' '정말 대단하지 않습니까?' '놀랍지 않습니까?'  정말 그의 열정이 놀랍다.


지금까지 저를 지탱해준  유일한 힘은 제가 하는 일을 사랑했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려분도 사랑하는 일을 찾아야 합니다. (p282)
여러분의 시간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에게 맞는 삶을 사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선입견에 갇히면 안됩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대로 사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자기 내면의 목소리가 묻혀서는 안됩니다. (P283)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일은 열정과 직관을 추구할 용기를 갖는 것입니다. 열정과 직관은 여러분이 진정으로 되고 싶어 하는 것을 압니다. (...) 항상 배고프게. 항상 미련하게 사십시요. (Stay hungry  stay foolish) - 스티브 잡스 (p284)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혹시라도 멋모르고 '스티브 잡스'를 그대로 따라잡기 할 프레젠터가 있을 것 같아서 하고 싶은 이야기인데, '잡스'처럼 터틀넥에 물빠진 청바지, 흰 운동화를 신고, 슬라이드에는 간단한 숫자와 문자를 쓰고, 청중을 사로잡는다고 연극을 하듯이 호주머니에서 신제품을 꺼내면서 프레젠테이션을 했다가는 아마도 그날로 시말서를 써야할 위기에 봉착할 지도 모른다. 새로 배우는 입장에 놓인 사람들이라면 체계적인 과정을 밟아서 프레젠테이션을 해야 할 것이고, 그러면서 차츰 어떤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면 '스티브 잡스'의 방법을 그래도 따라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권위주의적인 CEO 밑에서 하는 프레젠테이션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그러나, 정말로 '스티브 잡스'에게서 배울 점은 너무도 많은 것이다. '프레젠테이션'을 떠나서라도.
그가 말한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사랑하는 일을 열정을 가지고 하기를 바란다.
내 인생에서 나를 가장 빛나게 할 수 있는 일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9-29 0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