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로 먹고살기 - 경제학자 우석훈의 한국 문화산업 대해부
우석훈 지음, 김태권 그림 / 반비 / 2011년 8월
평점 :
# 문화로 먹고 살 수 있을까?
1박 2일, 무한도전, 스타킹, 무릎팍도사 등 버라이어티 예능 프로그램이 가득하다. 뉴스가 영화보다 더 스펙타클하고, 예능 말고는 삶의 낙을 찾기 어려운 사회, 현재의 한국 사회를 살고 있다. 먹고 살기 참 힘들다라는 말을, 지역에 관계 없이 나이에 관계 없이 많이 듣고 있다. 그렇다고 뚜렸한 대안이 있는가 하면 답이 보이지 않는다. 대기업, 공기업, 공무원이라는 3각 편대를 거부하고 나면, 갈 수 있는 길은 비정규직의 늪 밖에 보이지 않는다. 대안도 미래도 보이지 않는 상황, 거기에 내가 뭘 잘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는 상황에 맞물리다 보면 하루하루가 가시방석의 나날로 바뀐다.
# 토건, 개발에 집중하면서 소외된 문화를 엿보다.
대운하, 뉴타운, 세빛둥둥섬 등 토건과 개발에 정부가 집중 투자하면서, 대기업 살리기에 집중하면서, 서민들의 삶은 나락으로 떨어졌다. 내수가 전혀 성장하지 못하는 동안, 대기업은 SSM과 같은 골목상권까지 촉수를 넓히고 있다. 그냥 딱 죽겠다, 답이 보이지 않는다가 정답인 시대에 살고 있다.
저자는 방송, 버라이어티쇼, 드라마, 출판, 만화, 영화, 연극, 음악, 스포츠를 들여다보며 한국사회과 지니고 있는 문제와 한계를 바라보고 있다. 시사교양프로그램이 죽어가는 방송, 소설 이외에는 다 죽고, 소설 역시 몇 몇의 작가만이 모든 걸 가져가는 구조, 연극과 음악의 비정규직화, 엘리트 스포츠의 한계 등, 그냥 보기만 할 뿐, 놓치기 쉬운 부분에 대해 저자는 예리한 시각으로 문제들을 드러낸다. 또한 문화계 종사자를 두 배로 늘리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진지하게 고민한다.
방송에서의 이십대 피디들의 새로운 움직임도 신선했고, 스크린쿼터제가 폐지된 후 망해버린 영화산업을 다시 되살리는 건 브라질의 경우처럼 다시 성공한 케이스가 없다는 사실도 알았다. 사회과학은 다 죽고 문학, 소설만 겨우 숨쉬고 있지만, 다른 나라에서 문학시장이 없는 현실을 보았을 때, 한국의 문화시장은 크지는 않지만 잘 버티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어쩌면 잠재력 하나는 최고인 우리나라 시민들이 일에 묻히지 않고 즐겁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정부에서의 다각적인 지원이 현명하게 필요하다는 생각을 절실히 느꼈다.
# 승자가 아닌, 함께 걸어가는 사회.
엔터테인먼트도 한류로 보고, 산업역군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람들이 힘들때 위안과 희망을 주는 분야가 연예산업이라고 할 때, 단지 돈을 버는 시각으로만 그들을 바라보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생각한다. 오디션 프로그램이 많아졌다. 누군가는 스타가 되고, 승자가 되는 과정, 그 나머지는 다음 기회를 찾아야 하는 경쟁을 자극하는 프로그램들이 가득하다.
어쩌면 함께 즐기고 나누는 문화에 취지에 맞는 프로그램도 함께 공존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20대가 무언가 하기에, 기회도 없고, 비전도 보이지 않는 분야가 많다. 안타깝게 생각했던 고 최고은 작가와 방송작가의 투신 자살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더 성공하기 위해 애쓰는 시간만큼, 함께 공존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필요할지 진지하게 고민해 볼 시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