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잉 아이 - Dying Eye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렇게 만들 널, 용서할 수 없어!
 
 
  교통사고처럼 무서운 게 있을까. 아무리 내가 잘 한다고 해도, 타인이 내게 돌진하면 사고를 막기 어렵다. 『교통경찰의 밤』을 쓴 작가 답게, 교통사고를 소재로 섬뜩하고 묘한 분위기의 소설이 탄생했다. 비오는 날 자전거를 타고 가던 한 여성이 뒤에서 달려드는 차로 인해 생긴 죽음을 인정하지 못하고, 강한 눈빛으로 자신을 그렇게 만든 이를 쳐다보는 장면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1년 전 교통사고를 낸 신스케는 자신이 낸 사고의 사망자의 남편에게 둔기를 막고 기억상실증에 걸린다. 1년 전 사고에 대한 죄책감이 없었다는 사실에 놀란 신스케는 사건의 전말을 이해하기 위해, 주변의 사람들에게 사고의 경위에 대해 묻지만, 모두들 조금씩 다른 이야기를 한다. 의구심을 하나씩 풀어가면서, 놀랄만한 일에 조금씩 빠져들게 되는데....
 
 
#  환상과 사회적 맥락,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소설.
 
 
  히가시노 게이고 작품은 본격소설을 쓰던 전반부와 누가, 어떻게라는 추리소설의 무기를 버리고, 왜 사건이 일어났는지, 사회적 현상에 대해 조망하는 후반부로 나뉜다. 치매노인과 핵가족과 제멋대로인 아이에 주목한『붉은 손가락』, 살인자의 악의 평범함에 눈길을 준『악의』등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함께, 독자와의 심리게임을 하는 작가의 추리소설을 좋아한다. 『다잉 아이』역시, 사건의 내용은 초반부에 확인이 가능하다. 하지만, 조금씩 틀어지는 이야기와 변화된 사건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인간의 악의와 죄책감 등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믿어지지 않는 일이 일어났을 때, 미스터리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원인과 결과를 추론하는 작가답게, 비현실적 상황을 최대한 납득가능하게 풀어가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인간의 말에 큰 에너지가 있듯이, 인간의 시선에도 큰 힘이 있다 생각한다. 잊고 싶은 기억을 되돌리지 못하고, 살아가면서 내내 가슴에 안고 살아가는 등장인물을 보며, 내 마음 속의 죄책감과 도덕의식에 대해 돌아보게 되었다.
 
  죽음이란 건 내게 멀리 있는 일이라 생각했는데, 아침에 인터넷 카페에서 지인과 채팅을 하던 중, 지인의 삼촌이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5달 전, 이제는 조금씩 잊었다고 생각했던, 친구의 사고사 소식이 떠올랐다. 슬픔이라는 게, 당신에는 매우 강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잊어가게 된다. 그리고 타인의 사고를 통해, 그동안 연락하지 못했던 이와 다시 연락을 하면서, 내가 살아있음을, 살아있을 때 연결되었던 사람들의 소중함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오늘 하루에도 많은 사고가 일어나고, 자신이 잘못하지 않았는데도 생명을 잃는 사람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저 무료한 일상이라도 생각했던 오늘이 다르게 보인다고 할까. 잊고 살던 삶의 다양한 감정들이 책을 읽은 후 많이 생각났다.
 
  악을 저질르면서도 죄책감이 없는 이를 뻔뻔하다고 말한다. 악한 사람과 함께 지내다보면, 악에 대해 둔감해지는 경향이 있다. 악에 의해 당하면서, 악과 닮아가는 경향도 있다. 괴물과 싸우면서 괴물과 닮아간다고 할까. 살아가면서, 저질렀지만, 때를 놓쳐버린, 지난 행동들을 한 번 돌아보았다.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교통사고 뒤의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이 씁쓸했다. 앞으로도, 충분히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들... 나 역시, 그런 상황이 되었을 때 현실과 타협하지 않을까 생각하니 마음이 무거워졌다.
 
 
  "그럴 때는 어떻게 하죠? 그러니까, 불쾌한 기분을 어떻게 처리하느냐 이 말입니다."
  "어떻게 하고 말고가 있겠습니까. 빨리 잊어버리는 게 상책이죠. 그 뿐입니다."

 
 
  착하게 살긴 어렵지만, 쉽게 나빠지기 쉬운 현실이 눈에 크게 보였다. 도망치고, 외면하고, 회피하려는 마음을 지닌 이의 최후가 기억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