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 백탑 아래에서 흥겹게 노닐다.
흐드러진 봄날이었다. 책은 이렇게 시작한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행적을 글로 남기는 작업을 하던, 박종채는 아버지에게 글을 배우지 못한 점을 후회한다. 글쓰기를 가르쳐달라고 하면, 연암은 "매일 경서 한 장과 주자가 쓴 『강목』한 단씩을 읽거라"라며 글 읽기만 강조했다. 그러던 어느날 종채는 지인에게 아버지가 제자의 글을 베꼈다는 소문을 듣게 되고, 오해를 밝히려 마음을 먹는다. 그러던 그에게 『연암협 일기』라는 책이 도착하고, 종채는 이야기에 빠져든다.
연암 박지원의 행적도 알아가고, 글쓰기의 비법도 배운다면 얼마나 좋을까? 백탑 아래에서 서얼들과 흥겹게 어울렸던 박지원의 비밀을 찾아가는 과정에, 스토리 텔링 기법을 넣어, 글쓰기의 비법도 자연스럽게 배우도록 고안된 책이다. 추리소설처럼, 비밀의 단서를 던져주고, 다음을 궁금해하게 만드는 작법이 인상적이다.
# 글을 배우다.
지문이라는 아이가 아버지의 권유로 연암 선생에게 글을 배우는 데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흥미로웠던 점은, 최근에 느리게 읽기에 관한 책을 많이 읽고 있는데, 처음 연암의 가르침의 시작이 천천히 읽기와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자네는 앞으로 공부법부터 바꾸어야 하네. 많이 읽고 외우는 것이 능사가 아니야. 하나를 알더라도 제대로 음미하고 자세히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네. 알아듣겠는가?"
"우선 『논어』를 천천히 읽게. 할 수 있는 한 천천히 읽어야 하네. 그저 읽고 외우려 들지 말고 생각하면서 읽게. 잘 아는 글자라고 해서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하네. 반드시 한 음 한 음 바르게 읽게"
...
느리게 읽으라는 것은 다시 말해 꼼꼼하게 읽으라는 뜻이었다. 꼼꼼하게 읽다 보니 예전에는 별 의심 없이 지나쳤던 구절들이 하나하나 걸렸다. 그럴 때면 더 이상 책장을 넘기지 않고 그 구절들을 뚫어져라 노려보았다. 그런 식으로 한나절을 노려보며 생각을 거듭하다 보면 신기하게도 그 의미가 이해되는 것이었다.
...
'독서는 푹 젖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푹 젖어야 책과 내가 서로 어울려 하나가 된다' 이것이 내가 너에게 주는 첫 번째 가르침이다. - 정밀하게 독서하라.
관찰하고 통찰하라. 원칙을 따르되 적절하게 변통하라. 희중을 정확히 전달하라. 관점과 관점 사이를 꿰뚫는 '사이'의 통합적 관점을 만들라. 법고의 묘, 법고 창신의 묘, 사이의 묘를 익혀라.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수칙 11가지도 도움이 많이 되었다. 명확한 주제의식 갖기와 제목의 의도를 파악하기, 단락 간 일관된 논리 유지와 인과관계에 유의와 시작과 마무리 잘하기, 사례를 적절히 인용하고 운율과 표현을 활용하여 흥미를 더하며, 참신한 비유와 반전의 묘미, 함축의 묘미 살리기와 마지막 여운 남기기의 방법은 마음에 담아 둘 가치가 있었다. 사마천의 분발심을 잊지말라는 글도 기억에 남는다.
연암과 제자의 대립관계를 통해, 이야기는 흥미진지해진다. 글쓰기의 방법도 자연스레 체계적으로 배우게 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연암은 정조의 글체에 비해, 소품이라고 불리는 자연스러운 문체를 새롭게 도입한 인물이다. 글을 쓰는데 치열하게 고민했던 연암의 마음이, 소설을 통해 다시 살아난 느낌이다. 더 많이 공부해야 함을 느꼈던 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