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주의 How Song - 누구나 노래 잘 할 수 있다
박선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음치, 음악에 귀를 기울이다
 
 
  노래를 잘하지 못한다. 박치보다는 음치라는 생각이 든다. TV에서 판소리 선생님 중 한 분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음치가 없다며, 자기 음역대에 맞는 노래를 골라 잘 부르는 된다는 이야기를 듣긴 했지만, 자신감이 없는 사람이 그러하듯, 힘이 되어주는 말이 되진 못했다.
 
  박선주씨는 노래도 잘 부르는 가수인데다, 뛰어난 프로듀서 겸, 많은 가수를 양성한 보컬 트레이너다. 조금 더 노래를 잘 듣고, 잘 부르고 싶은 마음에, 재능이 없는 나도, 음치 소리는 듣지 않고,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 일이 떨리지 않도록 하고 싶은 마음에 책을 펼쳤다.

  누구나 노래 잘 할 수 있다는 글귀가 마음에 든다. 노래를 편안히 부르는 이승철씨를 예로 들며, 노래는 즐겁게 나누는 대화이며, 즐거움이고, 마음을 전달하고 감동을 주는 장면을 상상한다면, 당신도 가능하다고 그녀는 이야기한다.
 
  세상에 단 하나 밖에 없는 자신의 목소리에 자신감을 갖고, 노래를 잘 하는 특한 비법은 없고, 나의 노래를 듣고 누군가 한 사람이 감동한다면 이미 노래를 잘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목소리 성형은 즐거운 마음가짐으로, 재능은 투자한 시간에 비례하고, 일정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말한다. 특별한 능력을 지닌 사람이 대상이 아니라, 누구나 자신의 재능을 잘 갖추고, 호흡, 발성, 태도, 자세 등 알아야 할 사항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  노래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노래에 대한 부담감을 떨어뜨려 주는 책이다. 그냥 잘하고 싶은 욕망이 아니라, 내가 노래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과 기본적인 사항을 충분히 숙지하고 연습하기만 해도 충분히 노래를 자신감 있게 부를 수 있다라는 생각을 했다. 어깨에 힘을 빼야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다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발표를 하거나, 사람들 앞에 서면 누구나 떨리고 목과 어깨에 힘이 들어간다. 잘하고 싶은 그 욕망이 편하게 연습하고, 잘 되었던 순간까지 망쳐버린다고 할까. 떨지 않기 위해,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고, 애정을 갖고, 진심을 다해 배우려고 노력하다보면, 모창가수가 아닌, 자신만의 색깔을 가진 노래를 부르는 이가 가능하다 생각한다.
 
  기교가 아닌, 가슴으로 감동을 전하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회사에 취직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노래를 불러주는 등 노래를 불러야 하는 일은 생각보다 많다. 노래에 대해 막연한 스트레스로 괴로워하지 말고, 내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감동을 얻는 사람을 위해, 노래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일부터 시작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거라 생각한다.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해서 많이, 잘 듣는 귀가 필요하다는 글이 기억에 남는다. 한 박자를 하더라도 무한반복해서 될때까지 성과를 내는 깐깐한 보컬 트레이너를 생각하며 열심히 연습하다 보면, 좋은 결과와 감사하는 마음을 자연스레 얻게 될 거라 생각한다.
 
  감사와 감동, 두 가지를 배웠다. 열정이 있는 이에게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