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이의 살림집 - 근대 이후 서민들의 살림집 이야기
노익상 / 청어람미디어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 정착하지 못한 서러움.
 
 
  가진 것 없이 태어난 이가, 집을 장만하고 살림을 꾸려가는 일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자수성가한 부자들을 높게 평가하는 이유 역시, 그런 처지에서 자신의 부를 늘리는 일이 쉽지 않음을 알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잠을 잘 수 있는 방 한 칸, 요리를 할 수 있는 부엌 하나, 나만의 공간은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아파트와 전통가옥 등 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외딴집과 외주물집, 독가촌 등의 가난한 이가 살아가는 살림집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사진작가로 활동하는 저자는 10년의 세월을 이에 관련한 자료를 조사하고, 가난한 살림집에 사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유랑하는 사람들이 정착을 꿈꾸며 살아가는 공간을 하나씩 살폈다.
 
  조선시대, 벼농사를 중심으로 살아가는 마을의 질서가 강한 곳에서, 버림받거나, 형편이 되지 않아 떨어져 나갔던 이들이 겪어야 하는 설움이 그들이 사는 살림집을 통해 생생하게 느껴진다. 일제시대이후 진행된 간이학교와 보통학교, 한국전쟁, 새마을운동, 군사정부에서 시행한 문화주택, 시민아파트, 강제이주 등의 다양한 사건 속에서 가난한 이들이 어떻게 떠밀리며 살아가는지 생생한 사진을 통해 전해준다.
 
 
#  우리에게 남아있는 '텃세'에 대해 생각해보다.
 
 
   외딴 집에서 혼자서 살아가는 아름다운 풍경은, 옛 시대와 맞지 않는 표현임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벼농사라는 마을 사람들이 협동해서 해야 하는 일이 많을수록, 마을 내의 사람들의 인정은 도타워졌지만, 거기에서 멀어진 밭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지배층에 논리와 함께, 소외되면서 힘겨운 삶을 살 수 밖에 없었음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는 '텃세'가 왜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고 할까. 산업화와 정보화 시대를 거치면서, 돈이 텃세의 위력을 많이 없애주고, 공동체의 행사가 사라지면서, 조금 더 혼자서 사는 일이 어렵지 않지만, 사회 전체의 분위기에서 공동체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은 여전히 남아있음을 깨달았다.
 
  분교와 간이역을 가난한 이의 관점에서 다시 바라볼 수 있어서 좋았다. 소외받았던 사람들이 정규 교육을 받아, 더 나은 기회를 받을 기회를 받았다는 설레임을 자극했던 분교의 힘과 기차를 통해 도회지로 떠밀려갔던 사람들의 풍경을 느꼈다. 점점 더 돈이 많은 걸 대신해주는 세상을 살아가게 되는데, 아직도 외주물집과 외딴집보다 못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많은 이들이 있다. 특히 서울같은 대도시에는 옥탑방과 고시촌, 반지하방 등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가난한 이의 살림집을 돌아보는 일이, 과거의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삶이 힘겨웠던 이의 발자취를 찾는 과정이 아니라, 지금 살아가는 이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점점 세상은 좋아지지만, 가지지 못한 이들은 힘겨운 생활을 해야 하는 현실을 사진들을 통해 생생히 느꼈다. 집이 전해주는 기본적인 생활공간의 역활도 해 주지 못한 공간에서 자란 아이들은 그 공간에서의 탈출을 꿈꾸지만, 그들 역시 독립해서도 반지하 등과 같은 공간에서 사는 현실을 확인할 때면 마음이 아프다.
 
  세상에서 전해지는 마음 아픈 뉴스를 볼 때면,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사람이, 따뜻한 인심을 가졌다는 생각을 가지기 어렵다. 가난한 이는 교육받을 기회도 없기에, 자신들의 권리를 찾는 일을 모르기도 하고, 어색해 한다. 그들이 배우지 않았기에 라고 외면하기보다, 그들이 찾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해 더 신경써 줘야 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소월을 빌어본다. 난 얼마나 가난한 이의 삶에 관심을 가졌는지 돌아보면 부끄러워진다. 이기적인 마음이 부끄러움을 알려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