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의사 청진기를 놓다 - 6만 입양아의 주치의이자 엄마였던 홀트아동병원 조병국 원장의 50년 의료일기
조병국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  울지 않으려 했는데...
  
  
  대학시절 토론에 참여했을 때, 입양아의 실태를 접했다. 낙태에 관한 자료를 찾다, 미혼모에 관한 자료를 발견했다.지금도 많은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살아갈 형편이 되지 않아, 집단생활을 하거나 입양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입양에 대해 긍정적이고,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언론과 사회의 성숙한 모습을 보이는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에는 비밀입양이 많고, 파양의 상처가 한 번 상처받았던 아이에게 또다른 시련과 아픔으로 남겨져 있음을 배웠다. 행정편의적인 법제도와 그를 악용하는 사람들, 사랑을 먹고 자라나는 아이에게 가혹한 현실 등은 무력함이 무엇인지 생각나게 한다. 

  좋은 사회는 약자를 밟거나, 내가 약자가 아님을 위안하며 살아가기보다, 약자도 주변의 배려가 있다면 얼마든지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사회이다. 가진것이 없는 내가 할 수 있는 건, 입양을 결정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이를 만나면, 또다른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는 찬사와 격려의 말 뿐이다.
 
  울지 않으려 했다. 슬픔으로 감상에 젖고 싶지 않았다. 프롤로그에 실린 작은 글 하나가 눈물샘을 자극했다. 울다가, 눈물을 닦아냈기를 되풀이한 책이다. 어쩔 수 없는 사정에 의해 엄마의 따스한 손길을 받지 못했지만, 저자와 같이 따스한 온기를 전하는 선한 이들이 많아, 많은 이들이 사랑의 힘으로 기적을 하나씩 만들고 있다 생각한다.  

  50년을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헌신을 다했던 저자의 이야기다. 수많은 사연속에서 가려뽑은 사연들에는 진심과 따스한 마음이 스며있다. 깎지를 껴서 왼쪽이 올라가는 이가 아니더라도, 저자의 사연에는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들어있다.
 
 
#  사랑, 엄마, 고마움.
 
 
  엄마의 사랑은 절대적이다. 세상에 태어나 나만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는, 내게 생명과 같은 음식과 보살핌과 관심과 애정의 손길을 전해주는 엄마. 다양한 사정에 의해 엄마가 없는 이에게 홀트 아동복지회 부속의원에서 50년간 일했던 저자와 사랑의 손길을 전했던 이들이 있어, 해외입양과 국내입양 등 다양한 아이들이 집단생활에서 벗어나 가정에서 생활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농촌에서 농부가 피땀흘러 키운 곡식들이 다양한 유통과정을 거쳐, 다양한 보이지 않는 손길을 거쳐, 밥상위에 올라오는 것처럼, 한 아이를 입양을 보내기까지, 다양한 사연과 다양한 과정, 다양한 사랑의 손길이 있었기에 가능함을 알았다. 공개입양을 하지 못한일이 아이에게 두번째 상처로 다가오는 일과 함께, 말하기 못해서 마음에 늘 짐을 두고 살아온 위탁모의 마음은 입양에 대해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도 입양아와 나와 다른 환경을 지닌 아이에게 관대하지 못한 사회의 풍경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
 
  23편의 이야기에는 입양아의 건강을 돌보면서 생겨난 안타까운 사연과 50년간 변화한 입양의 풍경들, 가난했기에 지켜주지 못해 무력했던 안타까운 사연과 기적처럼 다른 아이를 볼 수 있는 희망을 전해주는 다양한 사연들이 소개되어 있다. 자신과 함께하지 못했던 친부모를 찾기 위해 다시 고국으로 돌아온 입양아와 부모들이 만나는 안타까운 사연에는 마음이 아팠다. 선진국에서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우호적인 시선과 비교대는 국내의 사정에는 마음이 안타까웠다. 모른척 하는 순간, 누군가는 냉정함에 한 번 더 상처를 겪어내며, 살아감을 느꼈다.
  
  각박하고 힘든 세상이라지만, 내 인생을 돌아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여기가 세상의 끝인가 싶을 때 누군가 내미는 다스한 손, 그 작은 온기가 세상살이에 큰 힘이 된다는 걸 안다면, 그리고 내 손에도 누군가를 데워줄 온기가 있다는 걸 안다면 세상살이도 조금은 녹록할 거라고 생각해 본다.
 
  가장 좋았던 건, 프롤로그 마지막에 담긴 저자의 말이였다. 각박하고 힘든 세상이지만, 누군가의 작은 온기가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 되고, 내 손에도 그 작은 온기가 있다는 말, 내게도 누군가를 도울 수 있는 힘이 있다는 당연한 사실을 다시 깨달았다. 50년을 헌신한 저자와 저자 못지않게 긴 세월을 타인을 위해 헌신한 이가 있기에 세상이 아직 따스함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겨울에 어울리는 소설이다. 따스한 손길과 체온, 대가를 바라지 않는 작은 배려가, 누군가의 하루를 행복하게, 어쩌면 평생을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되어줌을, 저자의 삶을 보며 배웠다. 몸으로 쓴 글이기에, 가슴에 뜨겁게 다가온다. 잃어버린 눈물을 찾고 싶은 이에게, 따스한 손길을 잊고 싶지 않은 이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