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 7색 - 일곱 개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일곱 개의 세상
지승호 지음 / 북라인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 척박한 땅에서 피어나는 야생초를 닮은 저자.
 
   
  외국의 출판시장은 독자도 넓을 뿐 아니라, 저자가 글을 쓰는 범위가 넓다. 논픽션의 대가 다치바나 다카시나 외국의 유명한 인터뷰 기자와 전문학자들이 내는 책들을 보면 부럽기만 하다. 우리나라도 그랬으면 좋으련만, 출판시장이 여의치 않다고 할까. 척박한 한국 출판의 현실에서 묵묵히 살아버티는 야생초와 같은 저자를 보면, 열심히 응원을 하고 싶어진다.
 
  몇 안되는 인터뷰만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저자가 만난 7가지 빛깔을 지닌 인물에 대한 이야기이다. 많은 이들이 지지하는 건 아니지만, 자신만의 글을 찾아 묵묵히 길을 걷는 7인이라고 할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이도 있지만, 자기만의 신념을 가지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개척하면서 사회에 비타민이 되는 존재를 만나게 되는 일은 흔치 않다. 비타민은 많은 양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부족하게 되면 몸 전체가 병들어 버린다. 많은 이들은 아니지만, 사회의 건강함과 다채로움에 빛을 발한다고 할까. 왼쪽, 오른쪽으로 나누기 쉬운 현실에서 갈래의 연속을 보는 일은 새로운 경험이다.
 
   
# 조금 더 깊이, 그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책은 주제가 정해져있는 텍스트이기에, 저자의 생각을 명확히 알 수 있지만, 그를 깊이 이해할 수 있진 않다.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에 대한 관점이라거나, 여러가지 현안에 대한 개별적인 생각을 잘 알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인터뷰로 그를 이해하는 일이라 생각한다. 좋은 생각을 가진 이도, 좋은 질문을 받았을 때 좋은 답변을 할 수 있다. 책의 매력적인 목소리의 뒤에는 인터뷰 대상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뒤에서 풍부한 배경조사와 정보를 수집해서, 효과적인 질문을 적절히 한 인터뷰이의 정성이 담겨있다. 척박한 현실에서 살기위해 많은 양의 인터뷰를 진행하지만, 일정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는 그의 글뒤에는 숨은 노고가 보여 마음이 아프다.
 
  박노자를 보면 ’권위’에 자유로운 그가 부럽기도 하고, 그만큼 우리 사회에 상식이라 불리는 많은 부분이 ’권위’에 물들여있다는 점을 느끼게 된다. 보고 싶지 않은 부분을 더욱 더 세밀하고 보여주는 거울처럼 불편하지만, 그를 통해 우리사회를 비춰보는 일은 얼굴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만화가 이우일의 인터뷰에서는 시간이 지나게 되면, 그 사람이 생각하는 작은 부분이 변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인 큰 틀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세속화 되었다는 비판 뒤에 숨겨진 고뇌와 자기만의 확신이, 글을 통해 전해진다. 『빨간 스타킹의 반란』과 소개된 작품들이 궁금해 졌지만, 이제 서점에서 구할 수 없다. 작품마다 만날 수 있는 때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유시민과 진중권, 노회찬, 토론프로그램에 많이 보였던 세 사람의 입장차를 통해, 왼쪽에서도 다양한 관점이 있다는 배웠다. 하종강씨의 인터뷰에서는 천대받는 노동운동의 힘겨움을 느낄 수 있었다. 왼쪽과 오른쪽의 대결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 속에서 합종연횡할 수 있게 다양한 정당이 만들어지고, 노동자에 대한 편협된 시각이 유지되는 한, 양극화를 해소하는 길은 멀다는 사실을 배웠다. 이 모든 건 뛰어난 지도자나 누군가가 해 주는것이 아니라,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연대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까지 알게 되었다.
 
  김규항씨의 글 속에 숨겨진 어두움의 의미를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의 글을 읽으면 매우 절망적으로 보이는데, 그 절망 속에 희망이 숨겨져있다는 것도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되었다. 진보 언론은 대중을 선동한다고 하면서 끝없이 대중을 배제한다는 말과 세상에 좋은 성공은 없다는 말, ’사랑의 매? 사랑하면 때리지 말아야지’라는 말이 기억에 오래 남는다. 무엇보다 많이 이들이 관심갖지 않는 아이들의 인권에 대해 많은 노력을 들인 점이 인상적이었다. 그의 견해가 사회가 주류가 되는일은 멀어 보이지만, 그런 그의 외침은 사회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의 견해에 모두 동의하는 건 아니지만 말이다.
 
   
# 어두운 현실이지만, 희망은 있다.
 
   
  비판할 때는 그의 행동에 대해 비판해야지, 그의 인격을 걸고 넘어지는 건 부당하는 점을 알게 되었다. 거짓말을 햇다고, 작은 실수를 저질렀다고 그 사람의 모든 행동이나 앞으로의 행동까지 비난하는 총체적인 비판은 발전적이지 못하다고 할까. 범죄사고가 났을 때, 지탄받은 일을 했을 때, 그의 출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일에 아직도 우리 사회가 지역이라는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되었다. 자본이 모든 걸 결정하는 게임에 섰을 때, 그 사람의 청렴함이나 좋고 나쁨이 아닌, 정책의 방향성의 차이를 통해 지지 방향을 설정하고 지식인에 의지하다가는 그 지식인이 변하게 되었을 때 많은 실망을 하게 된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사회에 대해 많은 걸 알 수 있는 기대를 가지고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알게 되면 알수록 더욱 우울해진다. 알고 나서도, 부조리함을 보고서도 난 얼마나 당당하게 발언하고 행동할 수 있는 것일까, 그들이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버리는 많은 것들을 보니, 안타깝고 답답하다. 10년 전, 전혀 변하지 않을 것 같은 지역주의의 정서도 많이 깨어지고, 불가능해 보이던 정권교체도 이뤄진것처럼, 이성으로 절망하고, 감성으로 희망을 지키려 노력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마음은 아프지만, 아무것도 모른 채, 좋은 세상이다라고 웃는 것보다 슬프더라도 아픈 현실의 부분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하다 생각한다. 내 의식이 바뀌었다고 세상은 바꿔지는 게 아니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