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탄생 -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보는 한국 남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전인권 지음 / 푸른숲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 '아버지 세대 이해하기 프로젝트' 첫 번째 만남, 
 
   권위주의 시대에 성장한 한 아이의 유년기를 통해 정체성 형성을 따라가 보다.
  
  
  
 『편견 없는 김대중 이야기』의 서평을 먼저 썼지만, 전인권이라는 정치학자를 알게 된 건 『남자의 탄생』을 통해 알게 되었다. 시대의 아이콘이던 '3김 시대'의 김대중 문제를 당대 우호적이지 않던 시대적 배경속에서도 솔직하고 치우치지 않은 시선이 인상적이었다. 아버지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알 수 있지 않을 까 싶어 그의 책을 찾았는데, 이미 세상을 떠났다는 걸 알게 되었다. 안타까운 마음으로 그의 남은 저작이라도 찬찬히 읽어보기로 했다. 

  권위주의를 싫어했던 민주적이라 생각했던 자신과 다른 권위적인 모습을 보았을 때의 충격으로 이 책을 집필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아버지와 어머니 개인의 삶이 아닌, 가족이라는 공동체 안에서 아버지 역할과 어머니 역할에 충실했던 부모의 삶, 부모와 함께 생활했던 기억들은 현재의 저자를 만들었던 큰 영향이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 권위는 혼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아버지의 질서와 권위는 어머니의 만족의 공간과 복종이 맞물리면서 만들어낸다.
  
     
   아버지 세대가 이런 환경에서 자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버지 말씀에 감히 거역할 생각을 못했던 시절, 학교에서 제식훈련을 통해 질서를 배우던 시절, 성에 대해 성녀 또는 창녀로 생각하는 이분법, 대하기 힘든 어머니와 너무나 내 맘을 잘 알아주는 형제들 중 나를 제일 사랑한다고 믿는 어머니와 함께한 시절이라고 할까. 
 
  돌이켜 보니 세 명 다 똑같이 각 아들의 이상형에 맞게 연기해낸 어머니의 행동을 가부장제도에 항거하기 위한 슬픈 행동이었다는 것과 그로인해 형제간의 우애를 크게 느끼지 못했던 경험까지, '오이드푸스 컴플렉스'를 이야기한  프로이트 이론처럼, 성을 매개로 아버지와의 경쟁관계를 통해 살펴보는 가족에서의 사회화 과정을 살펴보다 보면, 지금과 매우 달랐던 부모세대의 가정의 분위기와 사회의 분위기 한 아이가 어떻게 권위와 우월감에 가득찬 '동굴 속 황제'로 성장하게 되는지 알게 된다.
    
  어렸을 때 젖을 떼는 일과 '권위'와 관련된 미묘한 싸움들, 자장면을 사 먹일때도 신분의 감옥에 자연스럽게 갇혀버린 부모님들의 행동을 통해, 자신이 실패하게 된 연유를 과거의 경험에서 솔직하게 살펴보고 드러낸다. '가족'이라는 묘한 신비감에 싸여있는 공동체의 구조를 밝히려는 시도만으로도 멋졌다고 할까. 거기에 성장이 아닌,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회사원, 가장으로 진급하는 삶을 사는 봉건적 제도속에서 자연스럽게 가부장적제도가 고착화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 아이가 어떤 존재이고 무엇을 더 잘하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존재의 의미'를 사랑하는 방법과 높을 것을 지향하게 하는 법을 가르쳤던 학교의 역할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무엇보다 권위라는 것이 '아버지' 혼자서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와 함께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라고 할까. 우리가 당연하다고 느끼는 사이에 스며있던 한국문화속의 권위는 생각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남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에서 신입생이 들어오면 왠지 어리고, 철이 없어 보였던 행동들, 군대에서 신병이 고참에게 아기처럼 하나하나 배우는 과정들 그 속에 신분이라는 역할과 그 역할로서 신분제 사회를 만드는 사회에서의 학습화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던 점, 스스로 의식하면서 벗어나려 애쓰지 않으면 관습과 습관이라는 과정에서 당연하다 느껴지게 된다고 할까. 

  저자의 통찰력과 설득력 강한 문체로 흠뻑 책 속에 빠졌던 시간이었다. 아버지 세대가 어떻게 사회화과정을 거쳤는지 알게되자, 평소에 이해되지 않던 많은 부분들의 숨겨진 비밀을 알게 되는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 '네 안의 아버지를 살해하라.'
  
  
  
  권위주의에 빠진 사람은 잘된 건 내 탓, 잘못된 건 조상탓을 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이 '황제 속 동굴'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만의 아버지'를 면밀히 관찰하고, 마음에 각인된 '이상적인' 이미지를 살해하라고 이야기한다. 당신만이 이 땅의 유일한 상속자인 것처럼 행동하지 말고, 실제의 아버지와 네 안의 아버지를 이해하고 먼저 내 안의 아버지를 정확하게 살해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쉽지 않지만, 변화를 위해서는 자기부정을 통해 자기긍정을 얻는 방법을 권하는 저자의 주장을 실천해보기로 결심했다.
 
  권위주의는 커뮤니케이션을 대체한다는 저자의 말, 어느 순간 대화로 소통하는 것이 아닌, 당연히 그래야 한다는 신념으로 타인을 바라보고 있는 부분부터 찾아서 바꿔나가는 일을 시작해야 겠다. 지금 시대는 하나의 길을 모두가 함께 걷는 때가 아니라, '따로 또 같이' 각자의 삶의 반경을 넓혀가는 시대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