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이권우 지음 / 그린비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 책 권하지 않는 사회.


    지식을 얻는 정보의 매체로 가장 각광받았던 책이 점차 그 힘을 잃어가고 있다고 한다. 학생들도 어른들도 다들 책을 읽지 않는다는 말이다. 영화와 TV 등 영상매체로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이유도 있고, 재밌는 책이 없기에 읽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책이 좋다는 점을 알지만, 막상 책을 제대로 읽고,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일은 단시간에, 짧은 순간 이루어지기 않기에 남들에게 권하기도 쉽지 않다.

  도서평론가라는 이름을 스스로 만들어, 많은 책들에 파묻힌 삶을 살았던 작가가 오랜 시간 공을 들여 독서의 달인 『호모 부커스』를 출간했다. 책를 읽으라고 권해야 하는 사회현상을 개탄하며, 책 읽는 즐거움을 전하려 노력하는 정성이 책에 잘 스며있다. 짧은 시간, 효과를 보기 어려운 독서의 매력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설파할까. 그가 전달하려는 이야기 방식이 궁금했다. 책읽는 일은 한물간 것이 아니라, 오늘 더 가치있는 일이 되었는지 말해주고 싶었다는 그의 주장에 공감하며, 다른 이가 책의 효용을 물어볼때 활용하려는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 왜! 책을 읽어야 하며, 어떻게 책을 읽을 것인가, 소상히 알려주는 책.


  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작가는 다양한 접근을 통해 그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우선 비천한 출생으로 높은 지위와 인격수양을 달성한 공자의 일생을 예로 들어가며, 아무 것 없는 공자가 그런 지위에 오를 수 있었던 데는 독서가 가장 큰 힘이었다고 강조한다. 실용과 자본을 중시하는 일반인들의 귀가 솔깃해지게 만드는 주장이다. 그것을 시작으로, 조선시대의 이덕무의 책일화로 넘어갔다가, 때론 저축하는 행위와 빗대기도 하고, 정서적 안정과 치유, 잘 쓰기위해 잘 읽어야 한다며 11가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독서의 이유중에서 가장 공감이 갔던 내용은 책읽기는 자전거타기와 같다는 주장이었다. 아무리 좋은 교사가 지도를 해 주더라도, 결국 스스로 페달을 밟고 굴리고, 어디로 갈 것인지 결정을 해야만 하는 자기만의 스타일로 탈 수 밖에 없는 자전거타기와 책읽기와 많이 닮아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 읽을 것인가? 왕도는 없지만 방법은 있다고 이야기하면서, 겹쳐읽기와 깊이읽기, 토론하기 등을 그 방법으로 제안한다. 책벌레로 알려진 다큐멘터리 작가 다치바나 다카시가 소개한 독서법 중 속독법을 강하게 비판하며, 그런 방법은 도서평론가나 직업적 작가들에 해당하는 일이라며, 천천히 읽기의 매력에 대해 매우 강조하고 있다. 추천도서를 무턱대로 읽으려 하지말고, 자신이 아는 단어가 많은 쉬운 책부터 차근차근, 다양한 책 정보를 활용하고, 독후감을 쓸 것을 권하는 등 쉽게 책에 인문학 도서에 친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잘 소개되어 있다. 
 
  자신의 주장과 관련된 다양한 책들을 소개하며 주장을 강화하고 있다. 인용되거나 소개된 책은 모두 33권을 넘어선다. 한 도시 한 권의 책읽기 운동, 직접 쓴 서평, 대학교수로 학생들에게 독서를 강의한 경험들이 책의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한 권의 책을 읽으면 저자가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알 수 있다는 이야기는 이 책에서도 통용되는 말이다. 그만큼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느낀 독서의 매력을 매우 잘 전달하려는 정성이 잘 담겨있는 책이다. 눈높이도 중학생 이상이면 읽을 수 있게 낮게 형성되어 있다.


 # 독서교육에 무게를!
 
 
  책을 읽으라고 애써 권하지 않은 사회를 꿈꾸는 저자는 학창시절에 책과 관련된 교육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소개한다. 인증제를 도입하려는 행정당국과 그에 반발하는 교사와 시민단체의 입장에서 저자는 억지로 책을 읽으라고 한다고 책을 읽지도 않을 뿐더러, 저절로 책을 읽기를 기대해서도 안된다며, 부분적으로 인증제를 도입하려는 부분에 찬성한다. 좋은 책을 선정하는 소수의 단체의 현행시스템에서 좀 더 넓은 대상이 참여하는 방향으로, 교사들이 푸념만 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책을 집필할 수 있게 행정당국에서 교사들에게 지워진 행정업무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과서 폐지운동을 통해, 참고도서로 토론을 통해 학습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며 자신의 입장을 전개한다. 실효성은 좀 더 깊은 논의를 해 봐야겠지만, 이야기 접근이 독특해서 흥미로웠다. 

    책을 잘 읽는 특별한 비법이 아닌, 방법과 읽어보면 좋은 책들이 잘 소개되어 있는 책이다. 당장 돈을 버는데 필요없는 독서행위에 작은 격려를 받는 느낌이다. 책을 좋아하는 이가 읽는다면, 더욱 힘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