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 콘서트 - 스토리텔링으로 누구나 쉽게 배우는 회계학 콘서트
하야시 아쓰무 지음, 박종민 옮김, 김항규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회계를 알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경영, 회계, 공학도에게는 낯설고 어렵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경제가 모든 일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는 기업이 내는 정보를 잘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생각한다. 주식 등의 투자를 할 때나, 내가 다니는 회사의 재무상태가 좋은지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건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글로 쓰여있지만, 무슨 말을 써 놓았는지 알아보기가 힘들다. 일단 대차대조표라도 제대로 이해하고 싶은데, 생각처럼 만만치 않다. 문외한이 회계의 기초 개념을 재미있게 알 수 있는 책을 찾은지, 6개월, 실무보다는 개념에 촛점이 맞춰있지만, 회계의 기초를 다지기에 나쁘지 않은 책을 발견했다. 


# 스토리텔링으로 배우는 회계학 콘서트. 


   모피를 제외한 기성복을 만드는 회사의 디자이너로 근무하는 유키는 사장인 아버지의 사망으로 갑작스럽게 회사를 물려받게 된다. 아버지의 유언으로 회사를 맡게된 유키는, 회사가 생각보다 적자가 심하다는 소식과 1년안에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면, 용자를 해줄 수 없다는 주거래지점장의 이야기를 듣게된다. 경영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유키는 어머니가 소개해준 아파트 2층에 사는 회계전문가에게 컨설팅을 받기로 결심힌다. 회계전문가 이즈미씨는 한달에 한 번, 강의는 식사와 함께, 보수는 1년 후 유키가 지급하고 싶은 금액으로 할 것이라는 세 가지 단서를 달고 회계 강의를 시작한다. 은근슬쩍 회사의 경영을 방해하는 경리부장과 생산관리부장에 맞서, 유키는 하나씩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시작하는데..  

  위험에 처한 주인공이 현자를 만나 위기를 극복하는 단순한 스토리를 따라가다 보면, 회계에 관한 정보를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필자의 비유가 뛰어나 쉽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어 좋은 책이다. 착시현상과 숨은그림찾기 등의 하나의 그림을 두가지로 바라볼 수 있는 루빈의 항아리를 보며, 보여지는 데이터 속에서, 적절한 해석을 잘 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회계에 나온 정보는 실제 정확한 정보보다는 정해진 규칙안에서 회사의 의견인 들어간 요약된 근사치라는 점이 흥미로웠다. 최대한 회사의 이익을 위해 규칙을 어기지 않으면서 제출하는 회계정보속에서 투자자는 회사의 실체를 파악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 다른 회계관련된 책과는 다른 개념을 제시해서 흥미로웠다.    


# 비유가 생생히 살아있는 책. 


  고급레스토랑과 좁은 평수의 만두가게에서 추구하는 컨설팅의 차이라던지, 참다랑어 초밥과 전어초밥의 차이, 슈퍼마켓의 심야영업이 증가한 이유, 샤넬같은 고급브랜드가 비싼 이유 등 기초적인 경영정보와 함께, 숫자와 모르는 이름들이 많아 어렵고 난감해 보이는 회계용어를 큰 틀에서 이해하기 쉽게, 간략하게 잘 설명하고 있다.   

  회계의 정보를 바탕으로 회사에서 경영자가 어떤 선택을 하면 좋은지에 대해 틀을 잘 잡아주었다고 할까. 경영자가 할 일은 기회손실을 최소화하는 것과 회계정보는 숫자이지만, 그 뒤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을 통해서, 그 숫자가 반영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각 장의 뒷부분에는 해설이 따라붙어 스토리 속에서 언급됐던 회계정보와 개념을 심화해서 설명하고 있다. 처음에는 해설을 건너뛰고 한 번 살펴본 후, 두 번째 읽을 때 차근차근 공부를 하면, 처음보다 더 어렵지 않게 내용에 다가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것도 모른 채, 제무제표를 보았을 때보다, 한 번 책을 보고, 두 번 살펴본 후 재무제표를 보니, 조금 더 쉽게 회계에 대한 정보가 이해되기 시작했다. 분식회계 등의 장부조작을 한 사람도 나쁘지만, 그 회계조작을 경영자가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경영자로서 실격이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경영자는 현명한 판단과 적절한 인사기용과 회계정보에 대한 이해와 함께 회사의 비전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할까. 경영자의 역량에 따라, 회사의 방향이 여러가지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회계의 첫걸음을 떼기에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문외한에게 특히 더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