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 나이가 들면 지혜로워지는 것이 아니다. 지혜는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다!
  

  지식과 지혜의 차이는 무엇일까? 지식이 항아리에 담긴 물처럼 점점 차오르는 것이라고 하면, 지혜는 양파 껍질을 벗듯이 점점 가벼워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지식은 많을 수록 좋다. 지혜는 간명할수록 좋다고 생각했었다. 저자는 나이가 들어서도 여전한 성품 그대로의 자신을 보며, '지혜롭게' 유리한 방식으로 '지혜'를 정의한다.

  "지혜는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다."

  많은 심리학의 연구 결과와 성과를 통해서 인간은 한계를 인식하게 되고 점점 지혜로워진다는 말이다. 밥을 뜰때 담을 수 잇는 밥의 양은 그릇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안경을 쓰는 이는 자신이 쓰는 안경의 돗수에 의해서 그 만큼 사물을 볼 수 있다. 

  모든 사물은, 그것을 볼 수 있는 창인 '프레임'에 의해서 딱 그만큼만 볼 수 있다는 말에 공감한다. 한계를 자각한다는 말은 프레임을 인식한다는 말이다. 내가 보고 있는 창이 어디까지인지 본다면 그것을 넘어서도 볼 수 있다는 말!! 2분간 감탄하고 다시 책을 집어들었다. 짧은 말로 많은 걸 함축할 수 있는 문장을 보면, 마음이 들뜬다.


# 재미있는 연구 결과들을 읽다 보면, '프레임'이 보인다.

  당연하게 생각되었던 많은 것들이 연구결과를 통해 아니다라고 밝혀진다. 믿어왔던 많은 것들이 무너지면서, 새로운 인식의 틀을 짜게 된다. 말장난 처럼 보일 수 있는 순서의 차이, 중요도의 부각의 차이 등에 대한 실험결과를 읽었다. 알고 나면 당연해지고 매우 현명해 지며 분석적으로 된다. 하지만 매 순간마다 불안해하면서 선택의 갈림길에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자기 편향으로 될 수 밖에 없는 '세상의 중심은 나', 지나간 과거와 미래를 왜곡하는 '현재 프레임', 지혜로운 소비를 방해하게 만드는 '푼돈', '공돈'등의 '이름'프레임 등을 보면서.. 얼마만큼 비이성적으로 판단을 해 왔는지  알게 되었고, 이성만이 아닌 다른 많은 것의 필요성을 자각했다. 함정에 빠지는 덫을 알고 나면, 피하는 방법도 알게 된다.
    

  7번째 장에 나오는 지혜로운 사람의 10가지 프레임은 이제 까지 나온 프레임의 함정에 빠졌을 때 벗어나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어 매우 유용했다.  지혜로운 정보에 사람들과 대화 할 때 도움이 되는 상식까지 함께 얻는 일석이조의 기쁨!!! 지혜를 얻기 위한 지식의 항아리가 텅텅 빈 나에게는 가뭄의 비 내리듯 소중한 정보들이었다.
   

# 관점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 행동경제학 이론의 한국적 해설들..

  
  행동경제학의 주요이론들을 심리적 영향에 무게를 둔 채 잘 설명되어 있다. '행동경제학'과 '경제학 비타민', '마음을 유혹하는 경제의 심리학', '괴짜 경제학 플러스'등을 보았다면 거기에 나왔던 내용을 복습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난 나를 잘 알고 있어'라는 착각과 '넌 나를 이해하지 못해'라는 편향된 시각, '난 합리적인 존재'라는 걸 버리고, 난 '합리화'하는 존재라는 걸 인식한다면,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관대해 질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중요한 건 아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지식이 드러나는 것이다. 지식이 많아질수록, 궤변론자가 되어 상황을 정당화 하지 않을 까 경계하게 된다. '오해와 편견으로 가득 찬 세상'은 그럴 수 밖에 없다. 내 자신의 '편견'의 창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이상 결코 세상은 공평해 질 수 없다. 세상을 원망할 시간에 자신의 프레임을 좀 더 들여다 봐야 겠다고 다짐했다. 곁에 두고 마음의 노예가 될 때, 무기력 해 질때, 세상이 마음대로 대지 않을 때 읽어야 겠다. 지끈지끈하는 두통의 진통제처럼, 지친 마음에 힘이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내가 보는 세상의 틀에 대한 다양한 얘기들 <프레임>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07-29 23:56 
    프레임최인철 지음/21세기북스(북이십일)처음에 이 책을 접할 때는 심리학 서적인 줄 알았다. 물론 사람의 심리에 근거를 두고 많은 사례를 다루고 있기는 하나, 심리학 서적이라고 하기 보다는 자기계발 서적이라고 보인다. 그만큼 대중성 있는 책으로 구성한 듯 하다.그래서 심리학에 대한 조금 깊이 있는 얘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는 별 도움은 안 될 듯 하다. 여기에 나온 사례들 중에서 일부는 나도 기존에 알고 있었던 사례들도 있었다. 이론을 얘기해도 사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