튤슈를 사랑한다는 것은 - 사랑의 여섯 가지 이름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 푸른숲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  똑똑똑.. 사랑 종합선물세트 도착했습니다.

  사랑을 빠지는 걸 뭐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당신은 특정 인물의 행동에 의해 감정의 변화가 극심해 지는 심각한 병에 걸렸습니다. 그 사람이 기뻐하면 마음이 벅찹니다. 당신에게 친절하면 금새 행복해집니다. 기분이 언짢아 보이면 당신도 속이 상하고 마음이 조급해집니다. 내 눈으로만 보는 세상에서 그 사람과 함께 되어 세상을 보는 듯한 느낌, 당연히 내 맘을  이해해줄 거라 믿고, 내 생각대로 해 주었으면 하고 바라게 되는 심리상태... 등... 감정의 기복이 생기는 것을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공통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톨슈를 사랑한다는 것은'이란 제목에서' 사랑'에 관한 6가지의 이야기들이 묶인 사랑 종합선물세트이다. 종합세트들이 다 그렇듯이, 사랑에 대한 조금씩의 맛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왠지 허전한 뭔가가 아쉬움을 남긴다. 그 아쉬움의 여운은 직접 사랑을 하면서 채워나가라는 배려였을까. 한 입 베어물었을 때 상큼한 맛과 기분이 상쾌해지는 사과를 기대했지만, 몸에 좋은 빨간 토마토를 먹는 느낌이라고 할까. 몸은 더 좋아지고 있지만, 느낌은 영 허전하다.

# 점점 캐릭터에 빠져들다.

  6개의 이야기들은 각 등장인물마다 개성있는 캐릭터를 가지고 있다. 가장 높은 산에서 세상을 지배하는 나이많은 '독수리'와 바다에서 펜터마임과 발레를 하며 몸짓으로 사랑을 전하는 바다의 미의 여신 익투스의 서로 이루어 질 수 없는  불가능을 전제로 한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로 시작되는 꾸러미들은 하나씩 열 때마다 각각 다른 맛과 향기로 사랑에 대한  여러가지 맛을 느끼게 한다.

  죽음을 감수하고, 서로를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멋진 사랑이야기를 시작으로,
힘들때 서로를 위로함으로써 시작된 연민에서 시작된 사랑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 자신을 더 사랑해주기 바라는 바램들이 집착이 되어, 참나무에게는 만족하지 못하는 인형을 보며 괴로워하는 고통을, 인형에게는 참나무에 갇혀 자신을 잃어버리는 아픔을 남기고 서로에게 상처만 남기게 된다. 다시 환생에서 남녀로 만난 두 대상들이 이번 생에서는 조금 더 현명하게 사랑을 하기를 두 손 모아 기도한 기억이 떠오른다.

    상대가 존재해야만 사랑과 꿈을 달성할 수 있는 담쟁이 덩굴의 사랑의 열망에서, 선인장, 장미나무 등등의 캐릭터들을 보며 자연스럽게 내 주변의 사랑을 하는 사람의 모습을 살피게 되었고, 찰나에 만난 석판에 새겨진 두 남녀의 사랑이야기에서는 석판에서 벗어나 손가락을 맞닿게 하는데 성공한 남자의 노력에 박수를 쳤던 순간이었다. '사람'이 보기에 아쉬운 작품일 뿐 그들 두 석상의 인물들에게는 서로 만날 수 있어서 행복했을거라 생각한다.

  나비, 시인, 그리고 여자에서는 아기를 낳고 싶은, 종족 보존을 위한 기본적인 갈망과 다른 사랑의 괴리의 모습이 보인다. 모두가 그렇지 않지만,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종족보존의 본능을 나비와 잘 연관시켜서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되도록 만드는 작가의 아이디어와 솜씨, 그리고 나비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깃들어 있어 읽는 내내 즐거웠다. 모두가 현실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환상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지만, 캐릭터 외의 여러가지 모습들은 충분한 과학적 인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담쟁이에 대한 여러가지 고전 이야기와 나비의 생태, 독수리의 생태, 참나무의 생활방식들은 충분한 과학적 지식이 뒷받침되어 있어서 더 환상적인 요소들이 들어갔을 때 글의 매력을 더하게 하였다. '윤회'라는 다시 태어남을 인정하지 않는 이에게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상상력을 넓히면 여러 이야기들은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때론 연인이 속삭이는 애절한 사랑이야기로 귓가에 울리면서 더 마음을 애절하게 만든다.

  한 번씩 볼 때마다 생각할 부분이 달라졌던 재미난 작품이었다. 작가의 생애와 수익금의 일부가 좋은 곳에 쓰인다는 것을 알고 보았을 때는 조금 더 긍정적으로 작품을 보게 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작품 자체의 힘만을 가지고도, 충분히 상상력과 지식이 부족한 나에게는  두 가지를 모두 채워주는 기쁨의 시간이었다.

  플라스틱 인형을 품에안아 뿌리에 담기로 결정한 뒤 참나무와 인형이 내 뱉는 말은 일상 생활의 연인들에게서도 많이 듣는 이야기라서 더 마음에 와 닿았다.

 

  "사랑하기 때문에 너와 하나가 되고 싶었어. 그런데 이것봐. 넌 지금 내게서 악착같이 벗어나려고

    하잖아. 널 강제로 변화시키고 싶은 생각은 없어. 너를 내 안으로 들인 것은 내 의지였지만,

    밖으로 내 보내는 건 내 힘으로도 어쩔 수 없어. 이 상황을 받아들이고 서로에게 좀 더

    관대해지고 맞추어 살아가도록 노력해 보자. 응?"

 

 "네게는 너 자신이라는 것이 있단 말이야. ..중략..왜 날 이해하지 않으려는 거야?   ..중략...

   네가 네 삶을 살아가듯 나도 내 삶을 살아가고 싶다고! "


# 하늘과 바다, 어느쪽을 바라볼 것인가?

  즐거운 이야기보다 슬픈 이야기가 더 사람을 마음을 치유해 준다는 글을 본 기억이 난다.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 이야기들은 그러니까 더 열심히 대화하고 노력해서 사랑을 이루어가라고 속삭여준다.

   어렸을 때 할아버지가 들려주신 재미난 이야기처럼 입으로 소리내어 읽고 들으면 더 생생해지는 입말이 살아있는 재미난 작품 꾸러미들이 모여있다.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지만 풍자의 미학에 스며있는 여러가지 사유들을 잡아낸다면, 담겨지는 생각은 그렇게 쉽게 끝나지 않을거라 생각한다.

    가볍게 읽는다면, 한없이 가벼워 하늘로 함께 올라 갈 수 있다. 깊어지려 하면, 바다 깊은 어둠의 속까지 빠져든다. 위를 바라볼 것인지 아래를 바라볼 것인지는 독자의 선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